1. 개요
축척(縮尺)은 일반적으로 지도 상의 축소 비율을 의미한다. 지도상의 거리 a, b와 이것에 대응하는 현지의 거리 A, B와의 비를 말한다. 4학년 1학기 사회 시간에 배우며, 중1 때 또 나온다. 단 중1 때는 6학년 때 비율을 배웠다는 전제 하에서 새로 정의되어 나온다. 지리 문제의 보스격 요소.[1]분자를 1로 하는 분수(예 1 : 1만)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도 상의 거리와 현지의 거리의 비로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1inch 지도(영국의 구제도, 1mile을 1inch로 나타내는 1 : 6만 3,360), 2㎝ 지도(독일, 1㎞를 2㎝로 표시하는 1 : 5만), 500m 지도(소련, 500m를 1㎝로 표시하는 1 : 5만) 등이 그 예이다. 또 구판의 해도에서는 그 지도의 중앙위도에서 위도 1′ 1해리를 1inch, 2inch 등으로 표시한 것, 예를 들면 1해리를 2inch로 한 것(1 : 3만 6,480)외에 메르카토르의 경우에는 기준위도(基準緯度, latitude of reference)에서 경도 10′에 상당하는 수, 예를 들면 10′를 7.8inch로 한 것(1 : 9만 3,479) 등이 있다.
축척을 분수 또는 비로 표시하는 것(1/25,000, 1 : 25,000)을 특히 축척분수라 하고, 이 분모를 축척분모라 한다. 또 1을 분자로 하는 분수에서 축척을 표시하는 경우, 축척분모의 수가 작은 것이 대축척지도, 큰것이 소축척지도이다.
종종 축적이라 잘못 쓰는데, '척도' 할 때 쓰는 척을 써야 한다. 1척, 2척 등의 단위로 쓰는 '자 척' 자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69조 제6항에는 도면에 사용할 수 있는 법정축척을 명시해 놓았다.
-지적도면의 축척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1. 지적도: 1/500, 1/600, 1/1000, 1/1200, 1/2400, 1/3000, 1/6000
2. 임야도: 1/3000, 1/6000
2. 종류
2.1. 대축척지도
축척분모의 수가 작은 축적지도. 좁은 지역을 그린 지도.2.2. 소축척지도
축척분모의 수가 큰 축적지도. 우리나라 전도, 세계 지도가 예.[1] 일례로 수능에서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를 가르치고 있는 이기상 강사조차 가끔씩 본인조차 헷갈릴 때가 있다고 과거에 강의 중 발언한 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