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0:00:08

진화하는 무한/위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진화하는 무한
월즈 비욘드 카드팩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기본 카드
파일:전설의 개막 로고.png 파일:진화하는 무한 로고.png 파일:재앙의 계승자 로고.png
[[전설의 개막|
제1탄

전설의 개막
2025.06]]
[[진화하는 무한|
제2탄

진화하는 무한
2025.07]]
[[재앙의 계승자|
제3탄

재앙의 계승자
2025.08]]
}}}}}}}}} 파일:창공의 육룡 로고.webp
[[창공의 육룡|
제4탄

창공의 육룡
2025.10]]

진화하는 무한 카드 일람
파일:섀버wb 엘프 아이콘.svg 파일:섀버wb 로얄 아이콘.svg 파일:섀버wb 위치 아이콘.svg 파일:섀버wb 드래곤 아이콘.svg 파일:섀버wb 나이트메어 아이콘.svg 파일:섀버wb 비숍 아이콘.svg 파일:섀버wb 네메시스 아이콘.svg 파일:섀버wb 중립 아이콘.svg

1. 추종자
1.1. 2코스트
1.1.1. 동경의 마녀 메르비1.1.2. 마법 도서관 사서
1.2. 3코스트
1.2.1. 마나리아 검사 오웬
1.3. 4코스트
1.3.1. 조향의 마법사
1.4. 5코스트
1.4.1. 부정의 영창 바젠트
1.4.1.1. 양파 군단
1.5. 6코스트
1.5.1. 아다만트 알케미스트 노만
1.6. 8코스트
1.6.1. 폭식의 아나테마 라라안셈
2. 주문
2.1. 2코스트
2.1.1. 파멜라의 무도
2.2. 3코스트
2.2.1. 카오스 플레임
2.3. 4코스트
2.3.1. 아이스 피어스


1. 추종자

1.1. 2코스트

1.1.1. 동경의 마녀 메르비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9fcbc8426fc44ee88b6c43be4709ab21.png,
카드명=동경의 마녀 메르비,
일어명=憧憬の魔女・メルヴィ,
타입= -,
레어도= 브론즈,
클래스= 위치,
CV= 토야마 나오,
일러스트레이터= Hachi)]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마녀의 연금솥 1장을 내 패에 넣는다. 내 전장에 초진화후인 추종자가 있다면, 내 전장의 대지의 인장을 +2.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더욱 귀여워질 거야!(もっと可愛くならなくちゃ!)
공격: 귀엽게!(可愛く!)
진화: 어제보다도 프린세스~!(昨日よりもプリンセスー!)
초진화: 소녀의 마음으로 이겨내는 거야!(乙女心で勝ち抜くの!)
파괴: 칭찬해 달라~...!(褒めてよー…!)

비술 위치의 드로우와 인장 수급을 돕는 저코스트 추종자. 그냥 출격으로 가져오는 마녀의 연금솥이 우수한데 공체 합도 2코스트 평균이라서 필드 개입력도 적절하다.
초진화 된 아군 추종자가 있다면 인장을 2개 추가하긴 하지만 적극적으로 쓸 기회는 잘 없고 보너스 능력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드로우를 도와주는 마녀의 연금솥을 수급해주기 때문에 비술을 조금 섞는 주문증폭 덱에서도 채용된다.

1.1.2. 마법 도서관 사서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2201bfa3bd814b82b30e796f15d95ae8.png,
카드명=마법 도서관 사서,
일어명=魔導の司書,
타입= -,
레어도= 브론즈,
클래스= 위치,
CV= 오카모토 노부히코,
일러스트레이터= YaoLiang)]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내 패에서 1장을 선택한다. 그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내 덱에서 주문 1장을 뽑는다.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마법의 책은 읽을 사람을 직접 고르지.(魔法の本は読み手を選ぶ。)
공격: 정숙하게.(お静かに。)
진화: 책이 싫어하고 있잖아!(本が嫌がってるじゃないか!)
초진화: 책의 기분을 생각하라고!(本の気持ちを考えろ!)
파괴: 폐관이라니!(閉館だと!)

1.2. 3코스트

1.2.1. 마나리아 검사 오웬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1000060835.png,
카드명=마나리아 검사 오웬,
일어명=マナリアの剣士・オーウェン,
레어도=골드,
타입=마나리아,
클래스=위치,
CV=하타노 와타루,
일러스트레이터=名央)]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수호]
[교전시] 내 패 모두를 1회 주문증폭.
[진화시] 내 덱에서 추종자 2장을 뽑는다.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손가락 하나 닿을 수 없다!(指一本触れさせません!)
공격: 거기까지다!(そこまでだ!)
진화: 단련한 마법은 이 순간을 위해서!(鍛えた魔法はこの時の為!)
초진화: 공주님께 바치는 마법검!(姫様に捧ぐ魔法剣!)
파괴: 원통하다...!(無念…!)
'마나리아 프렌즈 앤&글레어' 조우: 공주님은 제가 지키겠습니다!(姫様は私が守ります!)[1]

적당한 수호 추종자. 공격을 하던 방어를 하던 패에 모든 카드에 주문증폭을 더하긴 하지만 주문증폭 위치의 경우 3코스트 카드들이 거의 포화상태에 가까운 상태라서 채용하기 쉽지 않다.

1.3. 4코스트

1.3.1. 조향의 마법사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6c890c860c4e412e9ae569642cb5e52e.png,
카드명=조향의 마법사,
일어명=調香の魔術師,
타입= -,
레어도= 실버,
클래스= 위치,
CV= 시노다 미나미,
일러스트레이터= sk_kun)]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상대방 전장에서 추종자 1장을 선택한다. 그 추종자에게 3 피해. 내 전장의 대지의 인장을 +1.
[진화시] [출격]과 같은 능력이 발동.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향기가 사람을 바꾸는 법이지.(香りが人を変えるのさ。)
공격: 맡아 봐.(嗅いでみて。)
진화: 새로운 향이라고.(新しい香りだよ。)
초진화: 너로 시험해 보지...(君で試してみよう…)
파괴: 남용했네...(使いすぎ…)

비술위치에서 초중반 정리를 도맡는 비술 추종자. 주증의 앤글과 비슷한 감각으로 투입되고 있다.

플레이버 텍스트를 보면 인칭대명사가 '그'(일본어로는 彼)이다. 즉 남자다.

1.4. 5코스트

1.4.1. 부정의 영창 바젠트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d958086efbcb4916b0eadc7939880c9b.png,
카드명=부정의 영창 바젠트,
일어명=否定の詠唱・バーゼント,
타입= -,
레어도= 실버,
클래스= 위치,
CV= 테라사키 유카,
일러스트레이터= liiko)]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양파 군단 2장을 내 전장에 소환. [진화시] 나는 「크레스트: 부정의 영창 바젠트」를 갖는다.
크레스트
내 턴 시작시, 양파 군단 1장을 내 전장에 소환.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세상을 부정하고 부숴뜨려주겠어!(世界を否定しぶっ壊すわよ!)
공격: 다 터져버려!(爆散なさい!)
진화: 이럴려던 게... 하지만 마음 약해질 순 없어!(こんな筈じゃ… でもめげない!)
초진화: 다정하게 대해줘봤자 멸망시켜버릴 거야!(優しくしたって滅ぼすからね!)
파괴: 기억해 두라고!(覚えてなさいよ!)

출격시 양파 군단 2장을 소환하며 진화시 얻는 크레스트 효과가 메인인 추종자.

크레스트는 매턴 양파 군단 토큰을 한 장씩 소환하는데, 토큰에 기본적으로 돌진이 달려있어 베리어를 쉽게 지우는 등 필드 개입력이 좋고, 공격시 주증이 달려있어 현 환경 10턴 게임을 지향하는 주증위치가 안정적으로 주증을 할 수 있게 되어 환경적으로 좋은 궁합을 자랑한다.

주문 증폭 위치에 비술 카드들이 대거 채용되며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굴리게 되면서 기존에 사용되던 부스팅 카드들이 다수 빠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주문 증폭 수치가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했으나, 이 카드가 그 공백을 메우며 하이브리드 위치 덱이 무리 없이 굴러가도록 만들어주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단점이 없는것도 아닌데, 4~5턴에 바로 나가지 않으면 그대로 패에서 썩어버리며 진화시 크레스트 효과 때문에 필드락에 매우 취약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5코스트진에 말도 안 되는 성능의 앤글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카드 역시 1~2장씩 투입되며 높은 채용률을 보이고 있다.
1.4.1.1. 양파 군단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f7d1af8f9afc46829b7088c4608e2439.png,
카드명=양파 군단,
일어명=オニオン軍団,
타입= -,
레어도= 실버,
클래스= 위치,
CV= 테라사키 유카,
일러스트레이터= Onineko)]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돌진]
[공격시] 내 패 모두를 1회 주문증폭.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예~이! 즐거워~!(イェーイ!タノシー!)
공격: 이얍 이얍!(オラオラ!)
진화: 힘을 합쳐서!(チカラヲ、アワセテ!)
초진화: 흥분되기 시작했어~!(モリアガッテキター!)
파괴: 싫~어~!(イーヤー!)
예이! 따노시!

바젠트의 출격 및 크레스트 효과로 소환되는 추종자로, 전작의 양파 군단과 카드 이름, 일러스트까지 동일하나, 대사는 따노시 빼고 약간 바뀌긴 했다. 전작에선 2코 1/1에 돌진도 없었지만, 비욘드로 오면서 레어도가 실버로 내려간 대신 1코 1/1에 돌진도 생겼다. 공격시 원본처럼 내 패를 1회 주문증폭하는데, 스탯이 요정급인 1/1 돌진이니만큼 다음 턴까지 살아남을 가능성은 굉장히 낮으므로 사실상 일회용 효과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그래도 돌진이 추가되어 전작과 달리 상대 필드에 추종자가 있다면 무조건 주증을 1회 해줄 수 있고, 바젠트의 크레스트 부여 시 매 턴마다 무료로 돌진 1뎀/주증 1회가 추가되는 것이니만큼, 전작에서보단 훨씬 유용한 토큰.

따노시! 가 워낙에 임팩트가 넘쳐서 일본 유튜버 스트리머들이 한번씩은 따라하는 대사이기도 하다.

1.5. 6코스트

1.5.1. 아다만트 알케미스트 노만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1000060836.png,
카드명=아다만트 알케미스트 노만,
일어명=アダマントアルケミスト・ノーマン,
레어도=레전드,
타입=마나리아,
클래스=위치,
CV=타케우치 료타,
일러스트레이터=Mayoko)]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출격] [대지의 비술 1] [모드] 1개를 선택하여 그 능력을 발동.
(1) 수호 골렘 1장을 내 전장에 소환. 그 추종자는 [배리어]를 갖는다.
(2) 내 덱에서 3장을 뽑는다.
(3) 내 리더를 4 회복.
[진화시] [출격]과 같은 능력이 발동.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출격: 가능성조차 연금해 내겠습니다.(可能性すら錬金せしめん。)
모드1: 깊은 탐구가 원석을 갈고닦습니다.(研鑽が原石を磨きます。)
모드2: 변성하십시오, 아다만티아.(変成なさい、アダマンティア。)
모드3: 금보다도 귀중한 원석이여.(金より求めし原石よ。
공격: 한없이!(限りなく!)
진화: 빛나는 미래를 만드십시오.(輝く未来を創りなさい。)
초진화: 무한한 반응, 지금 이곳에.(無限の反応、今此処に。)
파괴: 깨져버렸군요...(壊れましたか…)
'마나리아 프렌즈 앤&글레어' 조우: 정진하십시오. 현자의 원석들.(精進なさい、賢者の原石。)

출격 및 진화시 인장을 하나씩 소모하여 전개, 드로우, 힐 중 선택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추종자.

효과 밸류 자체가 매우 좋다. 베리어 수호 골렘이 생각보다 단단하게 게임에 작용하며, 선택으로 한 턴에 무려 8힐이나 할 수도 있다. 비술 카드들의 투입으로 의외로 부족해진 드로우 소스를 채워주는 3드로우는 덤. 저렴한 비용으로 상황에 맞춰 원하는 효과를 선택하는 점과 자체 스텟도 꽤나 준수하기 때문에 매우 고밸류 카드로 평가되어 진화하는 무한 환경에서 비술은 물론 주증 위치에서도 가리지 않고 투입되고 있다.

주증위치의 경우에는 생각보다 비는 턴이 많아 애매하게 넘기는 턴이 잦았는데, 이 카드의 발매로 쉬어가는 턴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10턴을 갈 수 있게 되어 주증위치에서도 높은 채용률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카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주증에 드로우 계열의 비술 카드들을 섞게 되면서, 초반이 약했던 주증위치의 단점도 어느 정도 보완이 되었기에 일석이조라고 볼 수 있다.비술 지원인데 주증이 더 잘 써먹는 아이러니 이후 노만 뿐만 아니라 라라안셈까지 투입한 덱리도 생겨나며 주증위치보단 사실상 하이브리드 위치에 가까운 덱타입이 되었다.

1.6. 8코스트

1.6.1. 폭식의 아나테마 라라안셈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1000060805.png,
카드명=폭식의 아나테마 라라안셈,
일어명=暴食のアナテマ・ララアンセム,
타입=아나테마,
레어도=레전드,
클래스=위치,
CV=오카사키 미호,
일러스트레이터=HSN)]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오라]
[유언] [대지의 비술 2] 폭식의 아나테마 라라안셈 1장을 내 전장에 소환.
[초진화시] 상대방 전장에서 추종자 2장을 선택한다. 그 추종자를 파괴.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파일:1752845015.webp
출격: 생기 넘치지? 지금은 꽉 차있거든!(張りがあるでしょう? 今は満ちてる!)
공격: 아싸!(やったぁ!)
진화: 통째로!(まるっと!)
초진화: 앙~ 할 테니까, 들어 와?(あーんするから、入ってね?)
파괴: 부족해~...(足りなーい…)

월즈 비욘드의 오리지널 레전드/캐릭터인, "아나테마"의 일원. 다만 플레이버 텍스트를 보면 알 수 있다시피 다른 아나테마들과 달리 아나테마를 자칭하지만 이계 출신이고, 능력도 다소 이질적인 모양. 그래서인지 일반적인 판타지적 소환/효과 연출을 지닌 다른 아나테마들과 달리, 아케이드 게임 연출을 연상시키는 소환/효과 연출 및 사운드 이펙트가 특징적이다. 비용(대지의 인장 2개)을 대가로 조건부로 부활하는 유언도 아케이드 게임들에 자주 있는 컨티뉴 기능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필드 버티기는 잘 하지만 피니시가 부족한 비술위치에 새로운 필드 버티기 요원 겸 떡대를 얹어주었다(???). 나름 출격 효과로 필드 개입은 잘 되는 비술 위치의 추종자들을 생각하면 초진화로 2+1체 정리를 하며 단일 제거기 내성이 있는 8/8 추종자를 남긴다는 건 언뜻 보면 8코스트라기에는 심심한 효과 일 수도 있지만.....

이 추종자의 진가는 한번 내고 비술 스택을 유지하기만 하면 무한정 부활할 수 있다는 것. 비술 스택을 잘 유지해서 6~8 정도만 가지고 있어도 최소 3번은 직접 추종자로 부딪혀서 파괴해야 하는데, 수호도 없는 5/5라 생각하고 무시하기도 쉽다. 그렇다고 광역 파괴는 보통 비싼 데다가 한 번밖에 못 잡고(사교의 잔, 긴세츠&유즈키 등) 한 방에 처리하는 방법은 소멸뿐이지만 현 환경 대표 소멸기인 오딘은 대상 지정이기 때문에 오라가 달려있는 라라안셈은 지정하지 못한다. 한 방에 잡는 유일한 방법은 라라안셈의 체력을 3 이하로 깎은 뒤 철권 신부 초진화의 광역 소멸 뿐이나, 철권 신부 자체가 잘 투입되지 않기 때문에 보통은 열심히 추종자와 진화 포인트를 마구마구 교환해야 한다. 그렇게 생긴 빈틈을 5데미지 짤딜로 누적시키면서 오딘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비술 위치의 주요한 후반 운영으로 자리잡으며, 이런 운용에서만큼은 나름 쓸모가 있기에 1~2장 정도 투입되고 있다.

극강의 카운터는 나이트메어의 메두사, 무칸과 네메시스의 오르키스처럼 한 턴에 적 추종자를 여러 번 파괴 가능한 필살 내지는 그 계열 효과의 추종자들. 메두사만 해도 라라안셈을 한 턴에 최대 3회 파괴해 비술 6스택을 먹게 하고, 무칸과 오르키스는 콤보가 필요하긴 해도 심하면 한 턴에 라라안셈을 5번 이상이나 잡아(...) 비술 스택이 8 이상 쌓여있어도 대부분 소모하게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비술 스택을 워낙에 퍼먹다 보니 라라안셈이 나온 순간부턴 비술 위치는 비술 위치인데도 대지의 인장이 부족해지는 일이 발생하곤 한다. 라라안셈을 낸 순간부터 비술 위치가 최대한 빨리 명치를 달려야 하는 이유로, 장기전으로 가면 오히려 라라안셈이 잡아먹는 인장들 때문에 다른 카드들의 대지의 비술을 써먹기가 힘들어져, 뒷심에서 밀리기 십상이다. 비술 위치의 후반전 뒷심 카드여야 하는데, 오히려 비술 위치의 뒷심이 약해지는 이유기도 하다는, 굉장히 아이러니한 포지션인 셈.

상술한 효과들로 흙르테카이[2], 라라짱셈 등의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2. 주문

2.1. 2코스트

2.1.1. 파멜라의 무도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1000060806.png,
카드명=파멜라의 무도,
일어명=パメラの舞踏,
레어도=골드,
타입=-,
클래스=위치,
CV=나카무라 에리코,
일러스트레이터=Akefumi)]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내 전장 대지의 인장을 +1. 나는 「크레스트: 파멜라의 무도」를 갖는다.
크레스트 : [카운트다운 1] 내 턴 종료시, 내 덱에서 카드를 1장 뽑는다. [대지의 비술 10] 전장의 추종자 모두는 공격력/체력이 2배가 된다.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흐린 하늘따위 날려버려 주겠어!(曇天なんかボコボコよ!)
파멜라

인장 쌓기+드로우 카드로 쓰인다. 대지의 인장 10개를 소모해서 필드의 아군 추종자들 공체를 2배로 상승시킨다. 하지만 생각외로 인장을 10스텍이상 쌓기도 어려운 편이라서 2번째 효과는 볼 기회가 없는 편인데, 우스운 점은 가끔 보는 경우도 주증위치가 보지 비술위치가 볼 일은 없다는 것(...) 비술위치의 경우 인장을 쌓는 만큼 쓰기도 하고, 특히 비술 후반의 핵심인 라라안셈이 인장 먹는 하마인지라 10스택 쌓기가 하늘의 별 따기인데, 주증위치는 하다 보면 인장은 쌓이는데 쓸 수단은 제한적이고 사용량도 적어서 어쩌다 보니 10스택을 쌓게 되는 경우가 없지 않다.

2.2. 3코스트

2.2.1. 카오스 플레임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4e14693d6bbc4ca8ac50c4844bf14121.png,
카드명=카오스 플레임,
일어명=カオスフレイム,
타입= -,
레어도= 실버,
클래스= 위치,
CV= -,
일러스트레이터=-)]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X는 0부터 시작. [주문증폭시] 이 카드의 X를 +1.
상대방 전장의 추종자 모두에게 X 피해를 분배한다.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훨씬 저렴한 코스트로 필드를 정리할 수 있는 광역기 마법 카드. 다만 데미지가 0부터 시작하고 이 데미지가 여러 추종자들에게 분배되기 때문에 3턴에 칼 같이 낸다고 강력한 필드 청소를 기대할 수는 없다. 다만 주문증폭 위치의 경우 초반에 필드를 전개하는 로얄과 나이트메어를 상대하기 위해서 투입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일러에 그러진 괴수는 전작 SFL팩의 거대 키마이라. 효과는 원본에서 리더 공격이 배제된 너프 버전으로 계승했는데, 리더 공격 능력이 유지되었다면 당연히 이 카드 1장으로 원턴킬을 할테니 어쩔 수 없는 조치.

2.3. 4코스트

2.3.1. 아이스 피어스

[include(틀:섀버wb/카드,
파일=a898a6171183450f828bf95f0a3ca659.png,
카드명=아이스 피어스,
일어명=アイスピアース,
타입= -,
레어도= 브론즈,
클래스= 위치,
CV= -,
일러스트레이터=-)]
{{{#!wiki style="margin: 1rem 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상대방 전장에서 추종자 1장을 선택한다. 그 추종자를 파괴.
[대지의 비술 1] 상대방 리더에게 2 피해.
}}}
<colcolor=#555,#bbb>
플레이버 텍스트
{{{-1 {{{#!wiki style="padding: 30px 12px; text-align:left; font-size: 0.9rem; color:#555;" dark-style="color:#ddd;"

[1] 아군 대상으로만 재생된다.[2] 전작의 네크로맨서 클래식 팩 골드 추종자인 승부사 모르데카이에서 따온 별명. 무한 부활하는 효과를 지닌 추종자들의 원조격이라, 라라안셈처럼 조건부로 무한 부활 가능한 유언을 단 추종자들이 X르데카이 식의 별명으로 불리곤 했다. 참고로 저 모르데카이는 유언 효과가 조건 없이 무한 부활이지만, 대신 라라안셈처럼 오라가 달리진 않아서 소멸에 매우 취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