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내버스 등급 | |||||
일반 | 마을 |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85c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경기도 | }}} |
[[틀:경기도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5ca><colcolor=#fff> 고양시 | ||
광명시 | |||
김포시 | |||
남양주시 | |||
부천시 | |||
수원시 | |||
안산시 | |||
평택시 | |||
포천시 |
1. 개요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일반좌석버스에 대한 내용이다.2. 상세
버스 및 노선도 색깔은 ●하늘색. 직행좌석버스보다는 좌석버스가 서는 버스정류소가 훨씬 많으며 직행좌석버스와는 달리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노선은 명성 830번 단 하나 뿐이다.[1] 요금은 성인 기준으로 현금 2500원, 카드 2450원.대부분 경기도 내 시, 군에서는 경영상의 이유로 일반버스나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됐다. 하지만 김포시의 20번, 22번의 경우, 일반버스에서 좌석버스로 승격했다.[2]
2019년 말에 평택 8000번이 개통되어 3년만에 평택시 좌석버스가 부활했다.
일반적으로 좌석버스에 투입되는 버스는 도시형 좌석버스(NSAC 좌석형, BS106 좌석형, 유니시티)가 대부분이지만 경쟁이 심한 노선과 급행버스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개통한 노선(8000번)은 고급좌석버스(유니버스, FX116)를 투입한다. 다만 이례적으로 200번은 중형 좌석버스(그린시티)를 투입한다.[3]
차량 도색은 ●하늘색이다. 고급형 차량을 투입한 경우는 직행좌석버스 도색을 하기도 하며 경원여객 301번, 320번, 평택여객 8000번이 대표적이다. 단, 선진버스 21번은 제외. 이쪽은 제대로 된 도색을 한다.
과거에는 지역별로 도색이 달랐다. 구 서울 좌석버스 도색을 거의 적용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1996년에 경기도에서 정한 공통 도색(평행사변형 도색)이 있기 때문에 이를 적용한 회사가 적지 않았다. 다만 그 와중에도 이를 지키지 않는 회사들도 있어서, 소신여객, 수원여객, 신원여객[4]의 경우는 전혀 특이하게 도색을 했다. 심지어 시외버스 도색도 있었다.[5]
2024년에 경기도가 일반버스에도 준공영제를 도입하면서 2개 이상의 지역을 운행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진출하는 노선은 좌석버스와 동일한 하늘색 도색을 적용하여 좌석버스와 요금 혼동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경기도는 현대자동차의 도시형 고상버스가 2023년을 마지막으로 단종되면서 단계적으로 좌석버스를 운행 형태에 맞춰서 일반버스나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6][7]
나머지 좌석형 노선들도 경기도 준공영제에 도입하면 전부 시내버스로 전환될 확률이 매우 높다.[8]
3. 목록
<rowcolor=#ffffff> 지역 |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분) | 운수회사 |
<colbgcolor=#0085ca> 김포 | <colbgcolor=#0085ca> 21 | 구래리 | 구래역 - 마산역 - 뉴고려병원 - 김포경찰서 - 고촌역 - 개화역 | 김포공항 | 20~40 | 선진버스 |
고양 | 85 | 고양동 | 중부대 - 관산동 - 원릉역 - 화정역 - 행신동 - 김포공항 | 송정역 | 20~40 | 서울여객 |
830 | 덕이동 | 탄현동 - 일산시장 - 일산동구청 - 백석역 - 강변북로 - 당산역 | 타임스퀘어 | 70~90 | 명성 | |
921 | 탄현동 | 중산동 - 풍산역 - 일산동구청 - 백석역 - 행신동 - 강변북로 - 홍대입구역 | 공덕역 | 70~90 | ||
포천 | 138 | 경복대 | 포천시청 - 송우리터미널 -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터미널 | 의정부역 | 8~10 | 포천교통 |
138-5 | 도평리 | 노곡리 - 일동시장 - 만세교 - 포천시청 - (이후 138번과 동일) | 의정부역 | 20~30 | 선진시내버스 | |
광명 | 200 | 광명역 | 창의경영고 - 광명보건소 - 철산역 - 광명북중고 - 목동중 | 진명여고 | 20~40 | 화영운수 |
수원 | 300 | 수월암리 | 진위역 - 오산역 - 병점역 - 수원터미널 - 수원종합운동장 - 의왕시청 | 범계역 | 6~10 | 삼경운수 |
안산 | 301 | 본오아파트 | 사리역 - 상록수역 - 목감동 - 광명사거리역 - 개봉역 - 영등포역 | 여의도 | 40~100 | 경원여객 |
320 | 반월공단[9] | 안산역[10] - 선부동 - 월피동 - 목감동 - (이후 301번과 동일) | 여의도 | 20~40 | ||
남양주 | 330-1 | 비금리 | 수동면사무소 - 마석역 - 평내호평역 - 금곡동 - 구리역 - 상봉역 | 청량리역 | 30~45 | 대원운수 |
330-2 | 차산리 | 창현지구 - 마석역 - (330-1번과 동일) | 비금리 | 25~30 | ||
330-3 | 비금리 | (330-1번과 동일) - 마석역 - 창현지구 | 차산리 | 25~30 | ||
부천 | 700 | 부개역 | 송내역 - 부천터미널 - 신중동역 - 목동 - 당산역 - 영등포역 | 여의도역 | 12~17 | 소신여객 |
평택 | 8000 | 안중출장소 | 안중터미널 - 오성면사무소 - 평택역 | 평택지제역 | 15~25 | 평택여객 |
[1] 그나마 이 노선도 유료구간이 아닌 개방구간(일산IC-자유로IC)을 달린다.[2] 그나마 이 쪽은 태장로(김포우회도로) 경유 노선이기 때문에 무정차 구간이 길어 충분히 명목이 있었다. 결국 둘 다 폐선되었지만.[3] 이는 폐선된 3000번에서 쓰던 차를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이다.[4] 수원여객과 신원여객은 110번 뿐이었으나, 신원여객이 망하면서, 노선 자체가 용남고속을 거쳐 경원여객으로 넘어갔다.[5] 태화상운 707, 태화상운 717, 성우운수(구 용일여객) 909번, 성우운수(구 용일여객) 900번이 그렇다. 경원여객의 그러한 경우는 일반버스로 형간전환한 30번이 그렇다.[6] 다만 고상형 좌석버스는 단종됐으나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등에도 투입할 저상형 좌석버스가 2024년 10월 2일에 출시됐으며 좌석버스 등급이 사라지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일반시내버스 노선 중에서도 좌석버스를 투입한 노선들이 많기에 상관없다는 의견도 있으며, 부천 청우운수가 일반시내버스 노선인 60번에 일렉시티 좌석버스를 투입했다.[7] 실제로 일반좌석버스 노선 수도 상당히 적은데다가 이래저래 중간에 끼인 애매한 포지션인 만큼, 별도의 등급을 두어 유지하기보다는 형간전환 성공 시 일반시내버스, 실패 시 직행좌석버스로 분할하는 것으로 보인다.[8] 다만 수원 300번이나 포천 138번처럼 경기도 준공영제로 편입됨에도 여전히 좌석버스 등급인 노선도 있다.[9] 출퇴근시간 한정[10] 평시 기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