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21:06:04

이중슬릿 실험

이중슬릿에서 넘어옴

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70039> 배경 흑체복사 · 이중슬릿 실험 · 광전효과 · 콤프턴 산란 · 보어의 원자 모형 · 물질파 · 데이비슨-저머 실험 · 불확정성 원리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프랑크-헤르츠 실험
이론 체계 <colbgcolor=#c70039> 체계 플랑크 상수(플랑크 단위계) · 공리 · 슈뢰딩거 방정식 · 파동함수 · 연산자(해밀토니언 · 선운동량 · 각운동량) · 스핀(스피너) · 파울리 배타 원리
해석 코펜하겐 해석(보어-아인슈타인 논쟁) · 숨은 변수 이론(EPR 역설 · 벨의 부등식 · 광자 상자) · 다세계 해석 · 앙상블 해석 · 서울 해석
묘사 묘사(슈뢰딩거 묘사 · 하이젠베르크 묘사 · 디랙 묘사) · 행렬역학
심화 이론 이론 양자장론(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위상 공간) · 양자색역학(SU(3))
입자·만물이론 기본 입자{페르미온(쿼크) · 보손 · (둘러보기)} · 강입자(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기본 상호작용(둘러보기)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초끈 이론(초대칭 이론 · M이론 · F이론) · 통일장 이론
정식화 · 표기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경로적분(응용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조절)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 양자화학(물리화학 틀)
현상 · 응용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퍼텐셜 우물 · 양자 조화 진동자 · 오비탈 · 수소 원자 모형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선택 규칙 · 변분 원리 · WKB 근사법 · 시간 결정 · 자발 대칭 깨짐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솔리톤 · 카시미르 효과 · 아로노프-봄 효과 · 블랙홀 정보 역설 · 양자점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기타 군론 · 대칭성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밀도행렬 · 물질 · 방사선(반감기) · 라플라스의 악마 · 슈뢰딩거의 고양이(위그너의 친구) · 교재 }}}}}}}}}

실험물리학 · 거대과학
Experimental Physics · Big Science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23360> 기반 체계양자역학(양자장론) · 전자기학 · 열역학 · 통계역학 · 상대성 이론 · 고전역학 · 유체역학
활용 핵물리학 · 입자물리학 · 전자공학 · 컴퓨터공학 · 원자력공학 · 항공우주공학
실험 이중슬릿 실험 · 밀리컨의 기름방울실험 · 음극선 실험 · 입자 충격 실험 · 방사선 회절 실험
기구 및 측정 가이거 계수기 · 거품상자 · 계산기(컴퓨터) · 분광기 · 자기공명장치(NMR) · 안개상자
물리 상수 · 차원분석
거대과학 핵개발 · 핵융합 · 레이저 · 입자가속기 · 중성미자 검출기 · 우주개발 · 우주 탐사 · 우주망원경 · 슈퍼컴퓨터 · 인간 게놈 프로젝트
가속기 <colbgcolor=#223360> 분류 고주파 가속기 · 레이저 가속기 · 정전 가속기 · 이온가속기 · 중성입자 가속기 · 전자가속기
선형 SLAC · ILC
원형 사이클로트론 · LHC · 테바트론
검출 ATLAS · CMS · ALICE · LHCb
기타 물리화학
}}}}}}}}} ||

파일:B9064A1F-FC8D-46AE-9196-03C914ABBCD8.png
이중슬릿 실험의 도식.[1]
파일:이중 슬릿 실험.png
입자(왼쪽)와 파동(오른쪽)에 따른 무늬의 차이.

1. 개요2. 역사

[clearfix]

1. 개요

이중슬릿 실험(Double-slit experiment)이란 두 개의 슬릿에서 나오는 결맞은 파동들이 스크린에 도달하는데 까지의 경로차로 인해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관찰한 실험이다.

이중슬릿 실험은 물질의 파동성과 입자성을 확인하는 실험으로 해석된다. 이는 파동이 고전적인지 양자역학적인지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어떤 물질이 두 개의 미세한 구멍(슬릿, slit)을 통과하는 것을 관찰하면 그 물질이 파동(wave)인지 입자(particle)인지에 따라서 다른 결과가 나온다.

파동은 회절(回折, diffraction)과 간섭(干涉, Interference)의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동시에 미세한 구멍을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며 회절과 간섭이 작용하여 뒤쪽 스크린에 그 무늬가 나타난다.

반면 입자는 명확한 궤적을 가지므로 두 구멍 중 하나만을 통과한다. 하나의 궤적만을 가지므로 간섭을 겪지 않고 간섭 무늬를 만들지 않는다.

2. 역사

그 시작은 영국의 과학자 토머스 영(Thomas Young, 1773~1829)이 빛을 가지고 한 실험이었다. 17세기에 아이작 뉴턴은 빛이 입자임을 주장하였지만 영의 실험으로 빛이 파동성을 띈다는게 입증되었고 빛은 파동으로 인정되었다.

영의 이중슬릿 실험에서 이중슬릿 사이의 간격이 [math(d)] 라면 원래 파동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math(\theta)]만큼 벗어난 방향으로 진행하는 두 파동의 경로차는 [math(d\sin\theta)]이다. 경로차가 [math(n\lambda)] 일때 보강간섭이 일어나므로
[math(\displaystyle n\lambda=d\sin\theta)]
에서 보강간섭이 일어난다. [math(\theta)]가 충분히 작은 경우라면 스크린까지의 길이가 [math(L)] 일때 [math(\sin\theta\approx y/L)] 이므로
[math(\displaystyle y=n\frac{L\lambda}{d})]
를 만족하는 [math(y)]에서 보강간섭이 나타난다.

이중슬릿에 의한 간섭무늬는 파동성을 입증하는 강력한 증거이다. 따라서 이 실험은 훗날 물질파를 검증하는 실험으로 활용되어 양자역학의 태동에 기여하였다. 1905년 아인슈타인광전효과를 자신이 제안한 광양자설을 통해 성공적으로 설명하여 빛이 파동성과 입자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는걸 보였고, 이에 영감을 받은 루이 드 브로이는 파동이라 생각했던 빛이 입자성의 갖는다면 입자라 생각했던 물질도 파동의 성질을 가질 것이라는 물질파 이론을 제안하였다. 이는 양자역학의 기반이 된다.[2] 1927년 클린턴 데이비슨과 레스터 저머가 전자총을 니켈 결정에 쏘는 실험[3]을 하여 전자의 물질파를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그 당시 전자는 입자성을 띄고있다고 여겨졌지만 니켈 원자의 결정 구조가 이중슬릿처럼 작용하여 간섭 무늬가 나타났고, 그 간섭무늬로 계산된 전자의 물질파 파장은 드 브로이의 물질파 이론의 예측과 잘 일치하였다.

루이 드 브로이의 물질파 이론에 의하면 모든 물질은 파동성을 가지며, 이는 거시적인 물체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이는 '이론상'의 이야기로 동시에 두 개의 구멍을 통과할 정도로 유의미한 파동성은 오직 미시세계에서만 가능한 이야기로 받아들여졌었으나, 현재는 분자 수준에서도 이중슬릿 실험에서 파동성이 확인되었다. 분자 단위의 파동성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풀러렌이 있으며, 이외에도 2013년 810개의 원자(C284H190F320N4S12)로 이뤄진 분자#, 2019년에는 15개 아미노산 구조(원자 276개)로 이루어진 박테리아 체내의 생체 분자#까지 이중슬릿 실험을 통과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1] 'b'와 'c'의 두 개의 구멍을 이중 슬릿이라고 부른다.[2] 다만 아인슈타인은 확률적 존재성에 극단적인 거부감을 보였으며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라고 한 말이 유명하다. 후일 닐스 보어는 "신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마시오"라며 받아쳤다.[3] 그 유명한 데이비슨 거머(저머) 실험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