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경기순환 | ||
직행좌석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낙양동(낙양동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30 |
막차 | 22:50 | 막차 | 00:20 | ||
평일배차 | 10~30분 | 주말배차 | 25~40분 | ||
운수사명 | 명진여객 | 인가대수 | 8대[1][2] |
경유 정류장 | ||
의정부 | ↔ | 서울(도심) |
낙양동공영차고지 | 도봉산역(중) | |
송산주공1.9단지 | ||
효자중.고등학교 | ||
경기도청북부청사 | ||
의정부우체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6번승강장)(중) | |
e편한세상신곡포레스타뷰 | ||
신곡현대아파트 | ||
구306보충대. 탑석센트럴자이 | ||
만가대.솔뫼중학교 |
2. 개요
낙양동공영차고지와 금오지구에서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연결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3. 역사
- 2021년 상반기, 의정부시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사업의 신규 노선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낙양동공영차고지 - 서울역', '녹양동 - 잠실역'[3] 총 2개 노선의 신설을 신청하였다.
- 2021년 11월 21일, 운영사의 입찰모집을 공고하였다.
- 2021년 12월 15일, 명진여객의 단독응찰로 인하여 재공고하였다.
- 2022년 3월에 운수사가 명진여객으로 확정되었다.
4. 특징
- 대광위 노선번호 부여 규칙을 따라 노선번호가 1102번으로 선정되었다.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와 경기도 공공버스가 공동 참여하여 개통하는 노선이다.
- 의정부에선 잠실 행 G6000번, G6100번에 이어서 이번에는 처음으로 서울역행 노선이 신설되었다. 즉, 의정부시에서 3번째로 신설되는 직행좌석버스이다.[5] 또한, 명진여객 최초의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 의정부시 경로는 1-1번과 거의 유사하다. 다만 이 노선은 보람병원 대신 송산주공1.9단지를 경유한다. 또, 극동.동성A - 의정부 시장 - 신곡파크비스타 구간 대신 신곡포레스타뷰를 경유하여 굴곡없이 바로 용현동 쪽으로 가고, 일부 정류장만 정차한다. 따라서 1-1번보다 금오지구 ↔ 용현동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 G6000번, G6100번과 다르게 이 노선은 의정부시 경로에 대해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거의 없다. 전술한 두 노선들은 여러 택지지구를 경유하다보니 선형에 굴곡이 생기고, 정류장 사이 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개통 초반 시민들의 마찰이 많았는데[6], 1102번은 두 노선보다 택지지구를 많이 경유하지 않으며, 선형도 매우 좋은 편.
- 낙양동공영차고지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소요시간은 다음과 같다.
- 평상시 시간대: 80~90분
- 출퇴근 시간대: 95~105분
- 주말 아침 새벽[7]: 65~75분
- 송산 주공 1. 9단지, e편한세상신곡포레스타뷰에서는 서울 방향 정류장이 G6000번과 서로 맞은 편이다. 경기도청 북부청사도 서울 방향 정류장이 G6100번과 서로 맞은 편. 이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양주 1101번과 신평화로(만가대) - 서울역 경로가 모두 겹친다. 다만, 종로2가, 숭례문, 명동국민은행, 을지로입구역 등을 경유하는 1101번과 달리 1102번은 도봉산역을 제외하고 서울시에 정차하는 중간 정류장이
아예없다.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승강장도 다르다. 1101번은 5번, 1102번은 6번 승강장이다.
- 상술 한 듯, 서울시 정류장이 달랑 2개 밖에 없어서 개통 전부터 불만과 우려의 시선을 받고 있다. 1101번도 개통 초기에 수유와 혜화를 정차해달라는 민원이 많았지만, 지금은 불만이 좀 잠잠해진 이유가 종로2가, 숭례문, 명동국민은행, 을지로입구역 등 서울 도심 곳곳을 경유해서 목적지까지 도보 및 환승이 편리해서이다. 그래서 1102번도 수유, 혜화는 정차 못하더라도 최소한 1101번처럼 서울 도심 정류장들은 경유해야되는거 아니냐며 시민들의 불만이 많다. 이 때문에 개통 전에만 1102번 추가정차 관련 국민신문고 민원이 4건[8]이나 접수될 정도. 의정부시도 이 노선의 문제점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는 있는지, 개통 후에 서울시, 대광위와 추가정차 협의를 진행 할 예정이라고 직접 답변했다. #1 #2
4.1. 기대효과
- 이 노선은 1호선과 중복이 있는 편이다. 하지만 금오지구에서는 의정부 경전철, 그 외 경유지는 마을버스, 시내버스를 통해 1호선에 환승을 해야되는 점과 출퇴근 시간에 시내/마을버스, 경전철, 지하철 만석으로 인하여 불편하게 이동해야 된다는 점을 이 노선이 크게 개선 할 듯.
- 금오지구에서는 이 노선 덕에 강남역 행[9], 잠실역 행[10], 서울역 행[11] 모든 노선을 보유하게 되었다. 또한, G6X00 시리즈보다 금오지구 정차 정류장이 훨씬 많기 때문에 이용이 편리하다. 다만, 부용천 이북 단지들은 10분 도보해야된다.[12] 출근 시간대에 경전철 탑승시 만석 차량이 자주오는 동네이기 때문에 1호선 대체용 수요가 많을 걸로 보인다.
- 용현지구[13]에서는 1102번을 통해 처음으로 직행좌석버스 노선이 들어왔다. 그 쪽에서 1호선을 탈려면 시내, 마을버스를 먼저 타야되는데 출근 시간 이미 만석인 경우가 많아서 편리함을 선택하는 승객들이 1호선 대체용으로 많이 이용 할 걸로 보인다.
- 의정부시 신규 아파트단지인 e편한세상신곡포레스타뷰, 탑석센트럴자이도 경유한다. 두 아파트 세대수 총합이 4000세대가 넘을 정도로 대단지이나, 직행좌석버스가 좀 부실한 편이였는데[14] 1102번이 이를 보충 한 걸로 보인다. 신곡포레스타뷰에서는 56번보다 도봉산역까지 훨씬 더 빠른 이동이 가능하다.
- 송산 주공 1. 9단지에서는 1102번을 통해 G6000번에 이어 두 번째로 직행좌석버스가 들어왔다.[15] 그러나 1호선 셔틀버스 수준급인 203번 버스가 있어서 해당구간에서 수요가 있을 지 의문.
4.2. 시간표
- 2022년 5월 26일 기준.
- 평일 출근시간 전세 2회가 추가되었고, 막차시간이 변경되었다. (22:20→22:50)
- 개통 확정 시간표이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도봉산역, 서울역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역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의정부 경전철: 경기도청북부청사역, 새말역[16]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3864>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 | |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1101양주 1102의정부 1403포천 3000김포 3002광명 3302광주 3401이천 4101용인 4103성남 6501시흥 6502시흥 7101파주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rowcolor=#fff,#000> 외부 경유지 | 의정부 내부 | 노선번호 | |||
잠실역 | 민 락 1, 2 지 구 | 고산지구 | ||||
신 곡 동 | ||||||
시내 | ||||||
노원역 | 신 곡 동 | |||||
장 암 동 | 민락1지구 | |||||
강남역 포천시 | 3100 | |||||
서울역 | 도봉산역 | 용현동 | ||||
포천시 | 회 룡 역 | 시내 | ||||
장 암 동 | 용현동 민락1지구 | |||||
신곡동 민락2지구 | ||||||
수원시 성남시* 의왕시* | 남양주시* 구리시* 21 제외 | 시내 | ||||
신곡동, 장암동 | ||||||
강변역 | 시 내 | 용현동 | ||||
포천시 | ||||||
부천시,안양시,양주시 김포시*,시흥시* | 가능동 | |||||
신곡동, 가능동 | ||||||
민락1,2지구 가능동, 녹양동11 | ||||||
시내: 의정부역, 제일시장, 부대찌개거리를 지칭. *: 일부 노선 해당 지역을 고속도로(톨게이트, EX-HUB)만 정차 8401: 구리남양주TG. 8401, 8409: 가천대, 불암산TG, 청계TG, 의왕TG. 8906: 김포TG, 시흥TG. |
[1] 평일 출근시간 한정으로 전세차량 2대 추가 투입.[2] 주말 및 공휴일에는 6대 운행.[3] 녹양동-흥선동-시청-롯데캐슬-장암동-신평화로-세종포천고속도로-강변북로-잠실역 경로로 신청하였다.[4] 의정부시 문의 결과, 사업 계획을 보충하여 내년 사업에 재신청할 예정이라고 한다.[5] 8409(8401)번은 경기순환버스이고, 운수업체가 관내업체가 아니고 입찰로 다시 신설되었음으로 제외.[6] 물론, 두 노선 모두 굴곡에 비해 소요시간이 짧은 편이라 현재는 불만이 거의 사그라진 편.[7] 공휴일(빨간날) 제외.[8] 개통 전에는 노선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가 많이 낮다는 걸 감안하면 4건은 꽤 많은 수치다. 거기다가 전화 민원이나 타 사이트 민원은 아예 포함되지 않은 수치.[9] 포천 버스 3100[10] 의정부 버스 G6000, 의정부 버스 G6100[11] 의정부 버스 1102[12] 부용천 이북 단지들은 3100번을 제외하고 나머지 직행좌석버스들을 이용하기에는 좀 불편한 편.[13] 영석고등학교, 구.306보충대 쪽 큰 길[14] 신곡포레스타뷰는 G6000번이 있긴하나, 서울 도심행 노선도 요구해왔다.[15] 8401번이 예전부터 있긴 했으나, 경기순환버스이고 운행횟수가 적기때문에 논외.[16] 의정부우체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