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직행좌석 | | | |||||||||
시내일반 | 1 | 1-1 | 1-5 | 1-6 | 1-7 | |||||||
3 | 5 | 7 | 8 | 10 | ||||||||
10-1 | 11 | 12-5 | 23 | | ||||||||
25-1 | 34 | 35 | 36 | 39 | ||||||||
39-4 | 72-1 | 111 | 133 | 360 | ||||||||
출퇴근형 | 10-3 | 1-1출근형 | 23-1통학 | 25-2 | ||||||||
마을 | 201 | 201-1 | 202 | 202-1 | 203 | |||||||
203-1 | 203-2 | 205 | 205-1 | 206 | ||||||||
206귀락 | 206-1 | 207 | 207-1 | 208 | ||||||||
208-1 | 208-2 | |||||||||||
의정부시 진입 관외버스 목록 | 경기도의 시내버스 목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5px" | 직행좌석 | | | ||
일반시내 | 1-1 | 5 | 7 | 10 | |
10-1 | 10-2 | 10-3 | 12-5 | ||
34 | 36 | 39 | 39-4 | ||
72-1 | 111 | 133 | 360 | ||
타 지역 서울 경유 시내버스 목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6px" | 의정부역 방면 | 3 | 23 | 35 | 206 | ||||||||
도봉산역 방면 | 10-2 | 10-3 | 107 | 1100 | |||||||||
노원역·하계역 방면 | 111 | 3600 | |||||||||||
회룡역·망월사역 방면 | 203-1 | 206-1 | |||||||||||
가능역·녹양동 방면 | 23-1 | 205-1 | |||||||||||
잠실역 방면 | G1300 | | | ||||||||||
강남역 방면 | 3600 | }}}}}} |
{{{#!folding [ 관련 사진 펼치기 · 접기 ] | | | |
BS090 F/L 차량. | NEW BS090 차량. | ||
| |||
NEW BS106 | |||
10-2번 | |||
| | ||
NEW BS090 차량. 10-2번 차량에 임시로 스티킹만 붙혀서 다니던 모습. | BS090 F/L 차량. | ||
10-3번 |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송산2동(민락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2동(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
종점행 | 첫차 | 05:1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3:00 | 막차 | 23:30 | ||
평일배차 | 10~15분 | 주말배차 | 20~30분 | ||
운수사명 | 명진여객 | 인가대수 | 13대 | ||
노선 | 민락동차고지 - 무지랭이약수터 - LH브라운빌리지 - 용암마을15~16단지 - 송양초 - 양지마을8단지 - 송양고 - 송양중 - 의정부민락BRT정류소 - 부용마을아파트 - 송산초교 - 이마트 - 송민학교 - 민락IC - (신평화로, 동일로 직통) - 다락원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 |||||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송산2동(민락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2동(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
종점행 | 첫차 | 05:25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15 | 막차 | 22:50 | ||
평일배차 | 출근 6회 퇴근 3회 | 주말배차 | 운휴 | ||
운수사명 | 명진여객 | 인가대수 | 3대 | ||
노선[1] | 민락동차고지 - 용암마을15~16단지 - 양지마을8단지 - 송양중 - 송산초교 - 민락주공2단지 - 송산1동주민센터 - 만가대사거리 - (신평화로 직통) - 쌍암사입구 - 도봉차량기지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2. 개요
민락2지구 ↔ 도봉산역 직통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약 30.4km(10-2번), 약 25km(10-3번)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10-2번, 10-3번)3. 역사
- 민락2지구 수요를 잡기 위해 2015년 3월 9일에 10-1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사실상 10-1번의 민락2지구 직통형 노선으로, 10번과의 연관성은 도봉산역 회차를 빼면 없다시피 하다.
- 2017년 7월 27일에 '청구1차아파트 - 만가대사거리' 구간을 폐지하고 민락IC에서 바로 국도를 진입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민락IC 가는 길에 있는 이마트와 송민학교를 추가로 정차한다. 관련 게시물
- 2017년 8월에 10-2번의 변경 전 경로와 유사하게 운행하는(기존 10-2번 경로가 상가단지에서 청구1차아파트로 직행하는것과 달리 산들마을 4단지~민락주공 2단지를 추가 정차하므로 약간 다르다) 10-3번이 신설되었다. 출근시간에만 운행한다. 관련 게시물 하지만 곧바로 지역주민들의 뭇매를 맞고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다시 운행이 재개되었다.
- 2017년 8월 31일에 72-1번에서 1대를 가지고 오면서 9대로 늘어났다. 10-2번은 10번을 야금야금 감차하면서 증차되고 있었다.
- 시기 미상으로 10-3번이[2] 기존 출근시간 2회 운행에서 4회 운행으로 증회되었다. 다만 06:00 ~ 09:00의 정각에 출발하게 되어 배차간격은 60분으로 늘어났다.
- 2018년 10월 1일부터 10-1번과 함께 BRT차선을 이용하게 되면서 쌍암사입구, 장암역삼거리, 도봉차량기지앞 정류소를 무정차 통과한다.
- 2019년 4월 8일에 10-3번이 30분 간격으로 상시 운행하는 걸로 변경되었다. 10-1번 감차분 5대 중에서 3대가 이 노선의 몫으로 배정되었다.관련 게시물 단, 주말과 공휴일에는 그대로 운행하지 않는다.
- 날짜 미상으로 10-3번이 더이상 BRT차선을 이용하지 않고 가변차로 정류장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 2020년 1월 2일부터 10-3번이 평일 출퇴근시간에만 운행하는 것으로 환원되었다. (출근 6회, 퇴근 3회) 관련 게시물
4. 특징
- 민락2지구 승객들이 정말 많이 탄다. 퇴근시간때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정류장 가보면 10-2번을 타기위해 뱀처럼 쭉~ 길게 한줄로 서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럴만 한게 민락2지구에 광역버스가 많은 것도 아닌지라 지하철에 의존 할 수 밖에 없는데 그 지하철 역을 제일 빠르게 이동시켜주는 노선이 해당 노선이니 많이 탈 수 밖에 없다.
- 기존에는 코스트코만 경유하고 이마트는 경유하지 않았으나 노선 개편으로 이제는 이마트도 경유하게 되었다. 다만 23번과는 달리 우회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 송산주공아파트(2.5.6.7단지)와 어룡역을 한 바퀴 돌고 나오는 10-1번과 달리 바로 국도로 진입한다. 즉, 민락2지구만 지나고 곧바로 민락IC로 빠진다는 소리. 10-1번이 10번의 급행 노선으로 신설된 걸 생각하면 아이러니.
- 위에 나와있는 10-3번은 2012년에 폐선된 10-3번과 전혀 무관하다. 과거의 10-3번는 10번 경로에 신곡지구 미경유하고 국도를 무정차 직통하여 현재 10-3번과 국도를 경유해 직행노선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과거 10-3번은 고정차가 존재했으나 현재 10-3번은 111번 or 10-2번 차량으로 운행한다. 과거의 10-3번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의정부시 폐선 버스 목록 참고.
- 현재 10-3번은 기존 10-2번 노선[3]를 요구하는 주민들을 위해 신설되었다. 이렇게 변경된 노선에 불만을 가지는 이유는 기존보다 소요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 실제로 변경된 노선이 변경전 노선(현 10-3번)보다 도봉산까지 5~10분 더 소요된다.
- 다른 10번 시리즈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에서 회차한다. 차량 주박도 여기에서 한다.
- 신설 당시에는 대형차량와 중형차량, 이중엔 06년식 글로벌 900 3대가 섞여서 다녔으나, 지금은 17년식 NEW BS090 3대와 11년식 로얄시티 F/L, 그리고 NEW BS106 가스차 여러대도 들어왔다. 그리고 명진여객 최후의 구형 글로벌900 보유 노선이었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도봉산역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역
[1] 10-2번 노선 변경 전 경로와 유사하며, 111번과는 기점부터 쌍암사입구까지 완전히 중복된다.(산들마을 4단지~민락주공 2단지 구간은 기존 10-2번이 정차하지 않았던 구간이다).[2] 노선변경 전 10-2번 경로와 유사하게 운행한다.[3] 111번처럼 산들마을 4단지, 송산동주민센터 경유하고 만가대에서 국도진입하는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