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율리우스 쉬렉 | 요제프 베르히톨트 | 에어하르트 하이덴 | 하인리히 힘러 | 카를 항케 | |
| 국가지도자 외 장성급 지도자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초대 슈츠슈타펠 국가지도자 율리우스 쉬렉 Julius Schreck | |
| 출생 | 1898년 7월 13일 |
| 바이에른 왕국 뮌헨 (現 독일 바이에른주 오버바이에른현 뮌헨) | |
| 사망 | 1936년 5월 16일 (향년 37세) |
| 독일국 뮌헨 | |
| 복무 | 독일 제국 육군 슈츠슈타펠 |
| 최종 계급 | 슈츠슈타펠 소장 (여단지도자) |
| 주요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
1. 개요
| 아돌프 히틀러와 쉬렉 |
히틀러의 개인 운전수였으며, 히틀러의 몇 안되는 벗이었던 인물이었다.
2. 초기 행적
뮌헨에서 태어난 쉬렉은 1920년에 나치당에 입당해 아돌프 히틀러와 깊은 관계를 유지했는데, 제1차 세계 대전에 함께 종군한 경험도 있어 독일 의용군의 멤버이기도 했다. 1921년에 돌격대에 들어가 히틀러 개인호위부대인 슈토스트루프 아돌프 히틀러단 창설에 공헌한 그는 1923년의 뮌헨 폭동에도 참가하여 다른 간부들과 함께 뉘른베르크 형무소에 투옥되었다.3. 슈츠슈타펠
1925년에 나치당이 재창당할 때, 쉬렉은 에밀 마우리스와 함께 히틀러를 위한 경호부대 설립에 나섰는데, 이 경호부대가 그 악명 높은 친위대(슈츠슈타펠)다.이후 쉬렉은 자신이 세운 친위대에서 고위 간부직을 맡다가, 히틀러로부터 호위조직 지휘의 명령을 받고 친위대 국가지도자로 임명된다.
다만 쉬렉은 조직 운영엔 별 연이 없었으므로, 1926년에 요제프 베르히톨트에게 국가지도자 자리를 넘긴다. 그래도 친위대장 및 친위대에는 이름을 두어, 히틀러의 개인 운전수로 일했다.
4. 말년
1930년에 친위대가 하인리히 힘러의 지휘하에 확대되면서, 쉬렉은 친위대 상급지도자로 복귀한다. 허나 건강이 안 좋아졌기 때문에 실무에는 관여하지 않았다. 결국 건강상의 이유로 친위대에서 물러나게 된다.그래도 6년은 더 히틀러의 운전수로 일했는데, 결국 1936년 5월 16일에 뇌수막염으로 37세라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처럼 나치 정권이 건재할 때에 죽은 몇 안되는 친위대 고위 장교로, 덕분에 쉬렉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루어졌다. 사후 친위대 여단지도자(소장) 계급이 추서된 건 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