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00:30:12

액포



1. 개요2. 특징3. 기능

1. 개요

액포 (Vacuole)

세포 내에 존재하는 막으로 둘러싸인 주머니 모양의 세포 소기관이다. 영어로는 바큘(Vacuole)이며, 이는 '비어 있다'는 뜻의 라틴어 'vacuus'에서 유래했다. 이름처럼 내부가 비어 있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물질을 함유한 세포액으로 채워져 있다.

2. 특징

특히 식물 세포에서 두드러지게 관찰되는 소기관으로, 성숙한 식물 세포에서는 세포 부피의 최대 90%까지 차지하는 중심 액포 형태로 거대하게 발달한다. 이 거대한 액포가 세포질과 핵을 세포막 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반면, 동물 세포에는 액포가 매우 작거나 일시적으로 존재하며, 그 역할도 식물 세포의 액포만큼 중요하지는 않은 경우가 많다.

액포를 둘러싸는 단일 막은 토노플라스트라고 불리며, 이는 특정 물질의 능동 수송을 통해 세포액의 조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세포액에는 물을 비롯하여 당분, 아미노산, 유기산, 무기 이온, 독성 대사 산물, 그리고 꽃잎의 색을 결정하는 안토시아닌과 같은 색소 등이 녹아 있다.

3. 기능

세포 대사 활동에 필요한 영양 물질을 저장하는 창고 역할을 한다. 또한, 세포가 스스로 만들어낸 노폐물이나 독성 물질을 격리하여 세포질의 손상을 막는 해독 기능도 담당한다. 식물이 초식 동물의 섭취를 막기 위해 독성 물질을 액포에 저장하는 것도 이러한 격리 기능의 일환이다. 또한 팽압을 유지하며, 액포가 물을 흡수하면 토노플라스트가 세포질을 세포벽 쪽으로 밀어내어 세포벽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 압력이 식물의 줄기와 잎이 꼿꼿하게 서 있도록 지탱하는 힘이 된다. 어린 식물 세포가 빠르게 성장할 때, 액포가 물을 흡수하여 세포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늘림으로써 세포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물질을 절약하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