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5 04:07:20

성주여자고등학교

성주여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성주군 CI_White.svg 경상북도 성주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명인고등학교 성주고등학교 성주여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colbgcolor=skyblue><colcolor=white> 성주여자고등학교
星州女子高等學校
Seongju Girls’ High School
파일:성주여자고등학교.gif
개교 1956년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여자고등학교
형태 사립
교장 이우재
교감 이승탁
교훈 푸른 꿈 굳센 의지
교화 백목련
교목 반송
학생 수 268명
(2023년)
교직원 수 30명
(2023년)
관할청 경상북도교육청
주소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주여중고길 19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성주여고건물.png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
3.1. 교훈3.2. 교표3.3. 교화3.4. 교목3.5. 교가
4. 출신 인물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
5.1.1. 주의사항
6. 여담

1. 개요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2. 학교 연혁

  • 1955년 1월 28일 재단법인 경심학원 설립인가
  • 1956년 3월 16일 성주여자고등학교 설립인가(3학급)
  • 1956년 4월 5일 개교, 초대 채명득 교장 취임
  • 1964년 2월 15일 재단법인 경심학원에서 학교법인 경심학원으로 조직 변경
  • 1979년 10월 19일 성주여자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87년 11월 6일 전국토 공원화 운동 전국 최우수교 대상 수상
  • 1989년 5월 10일 학교법인 성주교육재단으로 법인명 변경
  • 1989년 11월 30일 하키부 창단
  • 1990년 3월 30일 장관변경(중.고 분리)
  • 1999년 2월 25일 제6대 이희영 재단이사장 취임
  • 1999년 9월 1일 제4대 강선태 교장 취임
  • 2000년 1월 13일 급식소 준공
  • 2001년 7월 21일 하키부 숙소 승리관 준공
  • 2001년 12월 25일 정보관 준공
  • 2002년 3월 1일 성주여자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2005년 7월 4일 고등학교 본관(하버드동) 준공
  • 2005년 10월 4일 학교법인 석암학원 명칭 변경
  • 2008년 4월 17일 석암생활관 준공
  • 2014년 3월 1일 명품고교 선정 (경상북도교육청, 2014.3~2017.2)
  • 2015년 12월 24일 석암홀 준공
  • 2017년 3월 1일 제8대 김호연 교장 취임
  • 2019년 9월 1일 제9대 이익수 교장 취임
  • 2021년 9월 1일 제10대 이우재 교장 취임

3. 학교 상징

3.1. 교훈

푸른 꿈 굳센 의지

3.2. 교표

파일:20200917_100013.png
  • 3개의 원 - 지ㆍ덕ㆍ체의 삼위일체
    청색 - 진리
    백색 - 순결
    트임 - 인재배출

3.3. 교화

파일:20210615_045849.jpg

3.4. 교목

파일:20210615_045838.jpg

3.5. 교가

파일:20200917_100404.png

4. 출신 인물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주버스정류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성주버스정류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성주버스정류장#|]][[성주버스정류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1. 주의사항

  • 시외버스(대전, 서울행)은 읍내에서 타면 안되고, 걸어서 15분 정도 거리인 성주임시버스정류장에서 타야 한다.
    • 현 상황으로 인해 3회만 운행중이며, 전회프리미엄이다.
  • 2022년 12월 기준 동서울의 노선은 결행으로 인해 서울남부행을 타는 수밖에 없다. → 출발 시간에 따라 직통 혹은 대전복합 경유로 나뉜다.
  • 순환버스는 앞을 경유하지만, 앞에서의 승차는 불가능하다. → 성주군청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한다.

6. 여담

  • 학교 안에 흥선대원군이 서양과의 통상을 배제하기 위해 만든 척화비가 있다. 1792년 정조 때 건립된 전공비인 쌍충사적비도 성주여고 입구 근처에 있으며 성주여고에서 관리한다.
  • 요즘 학교들에 비해 규정이 엄격한 편(귀걸이,화장,체육복,후드티,파마,염색,치마수선 불가능) 이라 재학생들의 만족도가 굉장히 낮다.
  • 가스라이팅과 엄격한 규정 때문에 특히 2, 3학년들 중에 전학생과 자퇴생의 비중이 굉장히 많다. 도망가..! 오지마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