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bgcolor=#fff,#1F2023> 1구역 구성남 (수정구, 중원구(도촌동 제외) 지역) | 일반고 | (수정구) 복정고등학교 | 위례한빛고등학교 | 풍생고등학교 | 효성고등학교 (중원구) 동광고등학교 | 성남여자고등학교 | 성일고등학교 | 숭신여자고등학교 |
| 자율형 공립고 | (수정구) 성남고등학교 | ||
| 특성화고 | (수정구) 성보경영고등학교 (중원구) 성남테크노과학고등학교 | 성일정보고등학교 | ||
| 2구역 분당학군 (분당구, 중원구 도촌동 지역) | 특목고 | 계원예술고등학교 | 성남외국어고등학교 | |
| 일반고 | 낙생고등학교 | 늘푸른고등학교 | 돌마고등학교 | 보평고등학교 | 분당고등학교 분당대진고등학교 | 분당영덕여자고등학교 | 분당중앙고등학교 | 불곡고등학교 서현고등학교 | 송림고등학교 | 수내고등학교 | 야탑고등학교 | 운중고등학교 | 이매고등학교 태원고등학교 | 한솔고등학교 | ||
| 자율형 공립고 | 판교고등학교 | ||
| 특성화고 | 분당경영고등학교 | 분당아람고등학교 | 양영디지털고등학교 | 이우고등학교 |
1. 개요
城南學群 / Seongnam School District 82. 구역 구분
분당신도시가 개발되며 학구열이 높아짐과 동시에 다수의 학교들이 생겨나며, 평균적으로 15개 내외의 고등학교를 보유한 다른 지역과 달리 36개라는 고등학교가 존재하게 되어, 분당 지역과 옛 시가지 지역(중원구 및 수정구)를 각각 다른 구역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원서를 작성할 때 학군 내 모집과 구역내 모집이 나뉘어 1순위로 학군내에서 5지망을 고르고, 2순위에서 구역내 고등학교를 지망 순위별로 작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원서를 작성할 때 학군 내 모집과 구역내 모집이 나뉘어 1순위로 학군내에서 5지망을 고르고, 2순위에서 구역내 고등학교를 지망 순위별로 작성하게 된다.
2.1. 1구역 (수정구, 중원구(도촌동 제외) 지역
- 도촌동은 제외되며 2구역으로 속한다. 지리적으로 분당구 야탑 일대가 가깝기 때문이다.
- 광주대단지 사건으로 발달한 성남 구 시가지 지역에 해당하며, 이 지역에 위치한 학교 대부분이 같은 시기에 세워졌다.
2.1.1. 1구역 소속 고등학교
- 특목고
- 없음
- 자율형공립고
- (중원구)
- 특성화고
- (수정구)
- (중원구)
2.2. 2구역 (분당구, 중원구 도촌동 지역
- 분당신도시개발로 발달한 분당구 일대 지역에 해당하며, 이 지역에 위치한 학교 대부분이 비슷한 시기에 세워졌다.
2.2.1. 2구역 소속 고등학교
- 일반고
- 자율형공립고
2.2.2. 명성
통상적으로 최고 학군지로 불리는 강남 8학군과 같이 높은 명문대 진학률과 학구열을 자랑한다.
학군 내에서 가장 명성이 있는 학교는 낙생고등학교로, 최근 들어 서울대를 매년 20명[2] 이상 보내는 학교가 있다. 그와 함께 낙서중대라는 단어가 한때 지역에서 유행했는데, 낙생고등학교, 서현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분당대진고등학교를 부르는 단어로, 분당 학군 내에서도 입결이 좋기로 유명한 학교들을 부르는 단어이다.
학군 내에서 가장 명성이 있는 학교는 낙생고등학교로, 최근 들어 서울대를 매년 20명[2] 이상 보내는 학교가 있다. 그와 함께 낙서중대라는 단어가 한때 지역에서 유행했는데, 낙생고등학교, 서현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분당대진고등학교를 부르는 단어로, 분당 학군 내에서도 입결이 좋기로 유명한 학교들을 부르는 단어이다.
대치동에 본점을 둔 대형학원들 대부분이 분당에 분원을 두고 있으며, 대치동에서 현강을 뛰는 선생님이 분당에서도 현강을 하는 경우가 있어, 점점 대치동과의 교육 격차가 좁아지고 있다. 또한 분당선 및 신분당선, GTX-A 노선을 이용하면 30분 내로 대치동 학원가에 갈 수 있는 상당한 접근성을 갖고 있어, 대치동에서 수업을 듣는 학생들도 있다.
학구열이 매우 높아 어려서부터 조기 교육을 받는 경우가 다수이며, 일반고등학교에 진학하면, 교내 석차 등급 5등급(9등급제 기준) 학생이 모의고사에서 1등급을 받는 기이한 현상을 목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재수생 비율이 높다.(여담으로 낙생고는 높은 재수생 비율로 인해 낙생은 4년제 고등학교다 라는 말이 돈다) 학교를 다니다 보면 자퇴하는 학생도 상당히 많고, 아예 수업을 듣지 않고 내신도 버린 채로, 논술 및 정시만을 준비하는 일명 정시러들이 아주 많다. 이를 입증하는 사례중 하나로, 고3 수능철이 다가오면, 많은 수의 학생들이 학원 및 독서실을 목적으로 질병결석, 조퇴, 지각을 하는데, 고3의 나이로 고등학교 인근 병원을 방문하면, 간혹 정말 아픈건지 진료확인서가 필요한건지 묻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재수생 비율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