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5bac,#49aaff><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성남시 | }}} |
{{{#!wiki style="color:#005bac,#49aaff;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경기순환 | |||
직행좌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 ||
일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
마을 | 7대일 7영상 |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
3번. | 3-2번. |
1. 3번
1.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판교역동편)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분당요한성당) | ||
종점행 | 첫차 | 05:45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50 | 막차 | 22:35 | ||
평일배차 | 30분 | 휴일배차 | 60분 | ||
운수사명 | 분당마을버스 | 인가대수 | 1대[1] | ||
노선 | 판교역동편 → 백현마을 → 이매촌한신 → 새마을연수원입구 → 서현도서관[A] → 올림픽스포츠센터 → AK플라자2층.서현역 → 시범상가 → 삼환상가 → 범한프라자 → 장안한신라이프빌라 → 장안중학교 → 율동공원 → 분당요한성당 → 분당대진고등학교 → 한라쇼핑 → 올림픽스포츠센터 → AK플라자2층.서현역 → 시범상가 → 서현도서관[A] → 새마을연수원입구 → 이매촌한신 → 백현마을 → 판교역동편 |
1.2. 개요
판교역과 분당요한성당을 잇는 마을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1.3. 역사
- 원래는 3-1번과 노선이 같았다. 당시 노선은 '서현역 2층 - 분당요한성당 - 서현역 2층 - 서현역 - 테크노파크'로 꽤 복잡했는데, 현재의 3-1번과 3-2번이 합쳐진 형태였다. 물론, 이 때는 여수 지구가 조성되기 전이라 이 쪽은 경유하지 않았으며, 서현역에서 탈 때 행선지를 잘 보고 타야 했다.
- 그러다가 3-1번과 3-2번이 나눠지면서 3번도 경로가 단축되었다. 이 때는 3대로 운행했었다.
- 3번과 3-2번의 첫/막차를 맞바꾸었다. 오래 전에는 3-2번의 9대 모두가 3번이었다가 통합 운행을 하면서 바뀌었다.
1.4. 특징
- 2019년식 그린시티 개선형 디젤 1대로 운행한다. 판교역으로 연장하면서 증차분으로 투입된 차량인데, 광고 대신 판교역 연장을 홍보하는 내용만 무척 많다.
- 이러한 홍보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이 노선으로 판교까지 가는 승객이 그다지 많지 않아 노선 연장 2달 뒤부터 다시 배차가 뜸해졌다. 더군더나 요한성당에서 서현역을 직선거리로 꽂아주던 521번이 판교역으로 연장, 증차되면서 이 노선의 수요가 매우 적어져 신차 2대로만 운행하다가 1대가 추가로 감차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1대로만 운행한다.
- 간혹가다 일요일, 공휴일에는 운행을 아예 안할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양방향 모두 서현도서관 근처의 미인가 정류소를 경유하는데, 서현역 2층을 지나 판교 쪽으로 가는 승객의 절반 이상이 여기서 내릴 만큼 서현도서관 셔틀로 변모했다.
- 원래는 3-2처럼 상행 하행 둘다 분당대진고등학교를 경유해서 태현공원쪽에서 분당요한성당을 경유하는 노선이였으나 현재 상행은 분당대진고를 경유하지않고 범한프라자에서 바로 좌회전으로 빠져서 율동공원으로 가도록 바뀌었다.
1.5. 연계 철도역
2. 3-2번
2.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AK플라자2층.서현역)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분당요한성당) | ||
종점행 | 첫차 | 06:00 | 기점행 | 첫차 | 06:15 |
막차 | 00:15 | 막차 | 23:40 | ||
평일배차 | 1~5분 | 휴일배차 | 5~10분 | ||
운수사명 | 분당마을버스 | 인가대수 | 10대 | ||
노선 | AK플라자2층.서현역 → 서현1동주민센터 → 삼환상가 → 분당대진고등학교 → 태현공원 → 장안중학교 → 분당요한성당 → 분당대진고 → 한라쇼핑 → 올림픽스포츠센터 → AK플라자2층.서현역 |
2.2. 개요
서현역과 분당요한성당을 잇는 마을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2.3. 역사
- '청소년수련관 - 서현역' 구간은 520번이 개통하기 전까지 3번, 3-1번, 3-2번 등의 분당마을버스에서 독점했던 구간인데, 520번이 처음 개통했을 때 대기업의 횡포를 막아야 한다는 플랜카드를 전 차량 앞에 달아놓고 운행한 적이 있으나, 이 때의 우려와 달리 지금은 520이나 3-2나 둘 다 미어터지고 있다. 오히려 520번은 광주시에서 오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분당동, 서현동 주민 중 서현역~요한성당 구간을 이용할 사람은 무조건 3-2를 탈 수밖에 없다. '우성아파트 - 서현역' 구간에는 15-1번도 다녔으나, 배차 간격이 무진장 길었으며 가장 중요한 '양영중 - 분당대진고' 구간을 지나지 않아 회사에서도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 그리고 예전에는 3-1번과 '서현역 - 분당요한성당' 구간이 겹쳤다. 다만, 3-1번은 요한성당에서 돌아와 서현역 2층으로 오면 다시 요한성당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같이 서현고등학교 방면으로 돌아서 테크노파크 쪽으로 지나갔다. 즉, 3-1번이 서현역 2층 정류장에서 분당요한성당 행과 테크노파크 행이 따로 있던 것과 달리 3-2번은 처음부터 쭉 '서현역 - 요한성당' 구간만 다녔다.
2.4. 특징
- 3-2번은 2018년 기준으로 하루에 13,000명 이상이 이용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탑승객 수가 15,000명을 훌쩍 넘긴 안양 5-1번과 함께 경기도 마을버스 승객수 1위를 앞다투는 노선으로써를 최다 수요를 자랑하는 경기도 마을버스 노선 중 하나이다.
- '서현역 - 대진고' 구간이 편도 구간이긴 한데, 일방통행인데다가 반대편 정류장이 100m도 안 되는 곳에 있어서 사실상 왕복 구간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진짜 편도 구간은 '대진고 - 요한성당' 구간.
- 3번의 지선 노선이다. 한때 3번과는 율동공원을 경유하지 않는다는 차이밖에 없었지만, 3번이 판교역으로 연장되면서 옛말이 되었다.
- 수요가 좋은 만큼 신차도 투입 1순위 노선이기도 하다. 2008년에는 BS090 F/L NGV, 2012년에는 경기도 마을버스 도색 그린시티 가스차가 5대 투입되었다. 그러다가 2014~2016년 사이 그린시티 디젤이 대량으로 들어오고 73번 시리즈에 있던 디젤차들을 3번과 이 노선으로 보내면서, 전 차량이 디젤로 바뀌었지만 2018년에 8042호가 그린시티 CNG 신차로 들어왔다. 그 후 2019년 5월에는 그린시티 개선형 디젤 신차 8039호가 들어오고, 2020년 1월에는 8040호 개선형 그린시티 신차가 들어오면서 8042호는 73번 맞춤형 노선으로 갔다. 또한 2023년 1월 둘째주에 예비차량으로 2019년식 개선형 그린시티 디젤차량[4]과 2013년식 그린시티 디젤차량[5]를 운행하였다.
- 분당동과 서현동 주민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노선으로, 수요 자체는 시간을 가리지 않고 매우 많다.[6] 출근시간에는 서현역 방면으로 서현역과 효자촌[7]으로 가기 위한 승객들로 붐비는 편이다. 보통 대진고 정류장에서부터 넘치기 시작하며 청소년수련관 정류장쯤 오면 간혹 승객들을 다 못 태우고 뒷 차에 넘겨주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8]
- 분당대진고등학교, 서현고등학교 등 여러 학교들을 거쳐서 통학수요도 상당한 편이다. 퇴근 시간대에 이르면 서현역 방면으로는 학교를 마친 학생들의 수요가 있고 분당요한성당 방면은 서현역에서 퇴근 인원들로 꽉 채워서 출발하는데, 단순히 좌석만 꽉 채운다는 것이 아니다. 보통 대기시간은 5~10분 정도 되는데 그 사이에 좌석은 물론이고 입석까지 아주 꽉꽉 채우는 경우가 허다하며 안에 승객이 넘치는 것을 확인하고 아예 다음 버스를 타려고 옆에서 따로 대기하는 사람들도 꽤 있을 정도다. 즉 이쪽 방면으로 오후 6시 이후에는 기점인 서현역 정류장이 아닌 이상 절대 자리 잡는 것은 불가능한 수준이다. 다만, 정말 사람이 많은 출퇴근 시간 한정으로 2~3분 만에 출발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훨씬 쾌적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좌석을 확보할 가능성도 높다.
2.4.1. 3-2번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20년 | 6,774 | |
2021년 | 9,779 | △ 3,005 |
※ 하차 인원 미포함 |
주말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20년 | 4,698 | |
2021년 | 7,065 | △ 2,367 |
※ 하차 인원 미포함 |
2.5. 연계 철도역
3. 구 3번
성남시 버스 목록/폐선 문서 참조.[1] 원래는 경기 70아 6350, 6351 2대가 운행하였으나, 어느 시점부터 6351만 3번에서 운행하고 있다. 6350 차량은 3번 노선도 및 스티커가 제거된 채로 1월 둘째주 경 3-2번에서 예비차량으로 운행되었다. 이에 6350 차량은 분당마을버스의 예비차량으로 격하된 것으로 보인다.[A] 현재 미인가 정류소이다. 안골입구사거리에서 서현역 방향으로 조금 걸어가다 보면 길가에 조그만한 마을버스 3번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A] 현재 미인가 정류소이다. 안골입구사거리에서 서현역 방향으로 조금 걸어가다 보면 길가에 조그만한 마을버스 3번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4] 경기 70아 6350, 3번 감차분[5] 경기 70아 6094[6] 분당동의 경우는 대진고 위쪽에만 해당[7] 효자촌 정류장은 서현동에서 교통의 핵심지로 손꼽히는 곳이다.[8] 대체노선으로 520번이 있으나, 이 버스는 애초에 광주시내 구간(신현리~태재고개)에서 서현역·정자역 등지로 가려는 승객들이 꽉 찬 상태로 분당에 들어오기 때문에 3-2번보다 훨씬 심각하게 미어터진다. 이러한 현상은 서현동 일방통행길 골목이 주정차 차량들로 비좁음에도 불구하고 520번 전 차량이 중형→대형차로 바뀌는 원인이 되었다. 그 비좁은 틈새를 대형차가 주춤주춤거리면서 통과하는 모습을 보고 있자면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