믹스 (2019) MIX | |||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청춘, 스포츠 | |
원작 | 아다치 미츠루 | ||
감독 | 와타나베 토시노리(渡部穏寛)[1] | ||
시리즈 구성 | 토미오카 아츠히로 | ||
캐릭터 디자인 | 마키 타카오(牧 孝雄) | ||
총 작화감독 | 마키 타카오 타카다 하루히토(高田晴仁) 카라스 히로아키(烏 宏明) | ||
프롭 디자인 | 사토 카즈미(佐藤和巳) | ||
액션 감수 | 마츠다 신지(松田真路) | ||
미술 감독 | 오츠즈키 마나부(緒続 学) | ||
미술 설정 | 츠나도 에이코(綱頭瑛子) | ||
색채 설계 | 하야시 유키(林 由稀) | ||
촬영 감독 | 나미키 사토시(並木 智) | ||
편집 | 코지마 토시히코(小島俊彦) | ||
음향 감독 | 카메야마 토시키(亀山俊樹) | ||
음악 | 스미토모 노리히토(住友紀人) | ||
기획 | 나가이 코지(永井幸治)ytv | ||
치프 프로듀서 | |||
프로듀서 | 이토 카오리(伊藤香織)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코지마 히로아키 | ||
애니메이션 제작 | OLM TEAM KOJIMA | ||
제작 | 요미우리 테레비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 | ||
방영 기간 | 2019. 04. 06. ~ 2019. 09. 28. | ||
방송국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24화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伝説、ふたたび。
전설이 다시 한번.
전설이 다시 한번.
일본의 만화 MIX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제1기. 감독은 와타나베 토시노리.
2019년 4월 YTV/NTV계열을 통해 방영했다. 히로아카와 역전재판이 번갈아가며 방영되던 토요일 저녁 시간대로 배치. 원작이 아직 많이 진행되지 않아서인지 고등학교 1학년 편까지만 다뤄진다.
2. 등장인물
의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주제가
3.1. OP1
OP1 イコール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sumika | ||
작사 | 카타오카 켄타(片岡健太) | ||
작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요시베 나오키 | |
연출 | |||
작화감독 | 마키 타카오(牧 孝雄) 타카다 하루히토(髙田晴仁) 카라스 히로아키(烏 宏明) 니이무라 쿄코(新村杏子) | ||
총 작화감독 | 마키 타카오(牧 孝雄) | ||
원화 | 후루하시 사토시(古橋 聡), 케로리라, 나가하라 케이타, 카와바타 에루킨, 치나 등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 ED1
ED1 君に届くまで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Little Glee Monster | ||
작사 | 이시와타리 준지(いしわたり淳治) | ||
작곡 | 미즈노 요시키 | ||
편곡 | 시마다 마사노리(島田昌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와타나베 토시노리(渡部穏寛) | |
연출 | |||
작화감독 | 마키 타카오(牧 孝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3. OP2
OP2 VS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포르노 그라피티 | ||
작사 | 신도 하루이치(新藤晴一) | ||
작곡 | |||
편곡 | 타나카 유스케(田中ユウスケ)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와타나베 토시노리(渡部穏寛) | |
연출 | |||
작화감독 | 카라스 히로아키(烏 宏明) | ||
총 작화감독 | 마키 타카오(牧 孝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4. ED2
ED2 君に伝えたストーリー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Qyoto | ||
작사 | 나카조노 유키(中園勇樹) | ||
작곡 | Qyoto 미야자키 료(宮崎 諒) | ||
편곡 | Qyoto 츠루사와 유메토(鶴澤夢人)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와타나베 토시노리(渡部穏寛) | |
연출 | |||
작화감독 | 마키 타카오(牧 孝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4. 회차 목록
- 7월 6일자 방송은 휴방.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2]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明青のエース 메이세이의 에이스 | 토미오카 아츠히로 | 와타나베 토시노리 (渡部穏寛) | 와타나베 토시노리 | 니시무라 히로시 (西村 広) 카도타니 토모미 (角谷知美) | 마키 타카오 (牧 孝雄) | 日: 2019.04.06. 韓: 2019.04.17. |
제2화 | おれが兄貴でおまえが弟 나는 형, 너는 동생 | 히구치 타츠토 (樋口達人) | 이시다 토오루 (石田 暢) | 키타무라 토모유키 (北村友幸) 코스게 카즈히사 (小菅和久) | 日: 2019.04.13. 韓: 2019.04.24. | ||
제3화 | 明青学園あんて 메이세이 학원 따위 | 후쿠시마 요시후미 (福嶋幸典) | 시바타 타쿠미 (柴田 匠) | 히로오카 토시히토 (広岡トシヒト) 시게타 토오루 (繁田 亨) 니이무라 쿄코 (新村杏子) 오오타 신노스케 (太田慎之介) | 카라스 히로아키 (鳥 宏明) | 日: 2019.04.20. 韓: 2019.05.01. | |
제4화 | [ruby(交換, ruby=トレード)]してえなァ 트레이드하고 싶다 | 야마다 켄이치 (山田健一) | 야마나카 쇼헤이 (山中祥平) | 카도타니 토모미 이토다 아카네 (井戸田あかね) 스가와라 미유키 (菅原美幸) | 타카다 하루히토 (髙田晴仁) | 日: 2019.04.27. 韓: 2019.05.08. | |
제5화 | ピッチャーだろ? 투수잖아? | 후데사카 아키노리 (筆坂明規) | 호소다 사오리 (細田沙織) 니시무라 히로시 | 마키 타카오 | 日: 2019.05.04. 韓: 2019.05.15. | ||
제6화 | 春がくれば 봄이 오면 | 토미오카 아츠히로 | 쿠지 고로 (久慈悟郎) | 오가와 코지 (小川浩司) 요시다 하지메 (吉田 肇) 이이즈카 토시오미 (飯泉俊臣) | 카라스 히로아키 | 日: 2019.05.11. 韓: 2019.05.22. | |
제7화 | 心配? 걱정돼? | 호죠 치나츠 (北条千夏) | 와타나베 토시노리 | 와타나베 토시노리 미야자와 료타 (宮澤良太) | 키타무라 토모유키 히로오카 토시히토 사토 카즈미 (佐藤和巳)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9.05.18. 韓: 2019.05.29. |
제8화 | うちのお兄ちゃん 우리 오빠 | 히구치 타츠토 | 이시다 토오루 | 니이무라 쿄코 오오타 신노스케 | 마키 타카오 | 日: 2019.05.25. 韓: 2019.06.05. | |
제9화 | 大ニュースでしょ 엄청난 뉴스거리지? | 후쿠시마 요시후미 | 시바타 타쿠미 | 스가와라 미유키 카도타니 토모미 이토다 아카네 | 카라스 히로아키 | 日: 2019.06.01. 韓: 2019.06.12. | |
제10화 | ただの散歩 보통의 산책 | 호죠 치나츠 | 야마다 타쿠 (山田 卓) | 니시무라 히로시 시게타 토오루 호소다 사오리}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9.06.08. 韓: 2019.06.19. | |
제11화 | 投げてみろ 던져 봐 | 야마다 켄이치 | 쿠지 고로 | 히로오카 토시히토 쿠스노키 토모코 (楠木智子) 사토 카즈미 | 마키 타카오 | 日: 2019.06.15. 韓: 2019.06.26. | |
제12화 | なめてませんか 얕보지 마세요 | 히구치 타츠토 | 야마나카 쇼헤이 | 카도타니 토모미 이토다 아카네 스가와라 미유키 | 카라스 히로아키 | 日: 2019.06.22. 韓: 2019.07.03. | |
제13화 | 兄弟だから 형제니까 | 토미오카 아츠히로 | 후데사카 아키노리 | 니시무라 히로시 시게타 토오루 키타무라 토모유키 후쿠시마 토요아키 (福島豊明)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9.06.29. 韓: 2019.07.10. | |
제14화 | 負けてます 지고 있어요 | 후쿠시마 요시후미 | 와타나베 토시노리 | 이시다 토오루 | 오오타 신노스케 니이무라 쿄코 히로오카 토시히토 쿠스노키 토모코 | 마키 타카오 | 日: 2019.07.13. 韓: 2019.07.24. |
제15화 | あの顔がみたくて 그 얼굴이 보고 싶어서 | 야마다 켄이치 | 코레모토 아키라 (是本 晶) | 오노 히로미 (小野ひろみ) 사토 카즈미 호소다 사오리 | 카라스 히로아키 | 日: 2019.07.20. 韓: 2019.07.31. | |
제16화 | 活気があって 활기 있어서 | 토미오카 아츠히로 | 시바타 타쿠미 | 스가와라 미유키 이토다 아카네 카도타니 토모미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9.07.27. 韓: 2019.08.07. | |
제17화 | やっぱり誰かに 역시 누군가에게 | 히구치 타츠토 | 쿠지 고로 | 니시무라 히로시 히로오카 토시히토 키타무라 토모유키 | 마키 타카오 | 日: 2019.08.03. 韓: 2019.08.14. | |
제18화 | こんな雨の日に 이렇게 비가 내리는 날에 | 호죠 치나츠 | 와타나베 토시노리 | 시게타 토오루 니이무라 쿄코 오가와 아카네 (小川 茜) 야마다 카나리 (山田佳奈莉) | 카라스 히로아키 | 日: 2019.08.10. 韓: 2019.08.21. | |
제19화 | うらやましいか? 부러워? | 후쿠시마 요시후미 | 야마나카 쇼헤이 | 코레모토 아키라 와타나베 토시노리 | 카도타니 토모미 스가와라 미유키 이토다 아카네 히로타 아카네 (廣田 茜) 이나데 하루카 (稲手遥香)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9.08.17. 韓: 2019.08.28. |
제20화 | 神頼みなんですね 신에게 부탁하는 거군요 | 호죠 치나츠 | 후데사카 아키노리 | 사토 카즈미 오노 히로미 시게타 토오루 호소다 사오리 히로오카 토시히토 | 마키 타카오 | 日: 2019.08.24. 韓: 2019.09.04. | |
제21화 | もしも… 어쩌면 | 히구치 타츠토 | 쿠지 고로 | 니시무라 히로시 오오타 신노스케 히로오카 토시히토 키타무라 토모유키 쿠스노키 토모코 | 카라스 히로아키 | 日: 2019.08.31. 韓: 2019.09.14. | |
제22화 | 妹思いなんですよ 여동생을 소중하게 생각해요 | 야마다 켄이치 | 시바타 타쿠미 | 카도타니 토모미 히로타 아카네 스가와라 미유키 이나데 하루카 이토다 아카네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9.09.07. 韓: 2019.09.18. | |
제23화 | 時間の問題だな 시간 문제군 | 와타나베 토시노리 | 이시다 토오루 | 시게타 토오루 니이무라 쿄코 히로오카 토시히토 미야자키 아사미 (宮崎麻美) 오노 히로미 | 카라스 히로아키 | 日: 2019.09.14. 韓: 2019.09.26. | |
최종화 | 似てると思わないか? 닮지 않았어? | 토미오카 아츠히로 | 와타나베 토시노리 | 오오타 신노스케 사토 카즈미 오가와 아카네 카라스 히로아키 카도타니 토모미 키타무라 토모유키 콘도 루이 (近藤瑠衣) | 마키 타카오 | 日: 2019.09.28. 韓: 2019.10.09. |
5. 평가
작품의 평가는 꽤 미묘. 캐릭터들의 작화 수준은 꽤 높고 야구 신의 연출의 완성도는 높으나 일상부분의 완성도와 캐릭터들의 심리묘사 연출이 떨어져 터치의 애니메이션을 만든 스기이 기사부로 감독이 보통 사람이 아니었다는 사실만 재인식시켰다.시청률은 상당히 잘 나왔는데 주간 애니메이션 시청률 10위권에서 계속 머물렀고 최고 시청률은 무려 5.8%까지 찍었다. 애니메이션 작품 기준 굉장히 선방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청률에 고무되었는지 2022년 8월 6일 2기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6. 기타
- 애니박스판 번역 상태가 좋다고 보기 힘든데 아방 프롤로그에서의 배터리야 이해할 수 있다 쳐도[3] 노려라, 목표로 해라.는 의미의 메자세를 눈떠라로, 1기 엔딩 가사 중엔 난반사를 그 반사로 번역했다. 7화에서 3학년 투수 트리오를 언급할 때 우완, 사이드암, 좌완을 우익수, 중견수, 좌익수로 번역했으며 8,9화의 가능한 길게.를 의미하는 Be long을 아래로 번역하는 등 자잘한 오역이 많다. 14화에서는 같은 화에서 2번째 타석 병살이라고 했는데도 몇 분 뒤 1루수에게 일직선으로 날아가는 병살타구를 의미하는 퍼스트 라이너를 첫 라이너로 번역했다.
왈도체?오역은 아니지만 켄죠 언급 때 종종 같이 언급되는 전 명칭을 스미공고가 아니라 스미코로 번역하거나 알기 쉬운 아구 입문서를 사오는 장면에서 가타카나로 적힌 알기 쉬운을 생략하는 등 아쉬운 부분도 제법 등장한다. 16화의 자기 어필 대사 중 뜬 공으로 통용되는 비구를 직역했다. 19화에서는 힘으로 누르라는 대사를 보통 통용되는 구위는 커녕 그냥 직역해도 충분한 데 체력으로 누르라고 번역하고 덧칠, 표시는 보충해서 그린다는 의미를 알 수 없는 단어로 번역했다.야구만 모르는 게 아닌 거 같다 진짜 왈도첸가나중엔 포수인 catcher를 투수로 오역하기 까지 한다. 이쯤 되면 가타카나를 읽을 순 있는건지 의문일 정도.
- 참고로, 애니메이션은 시작시점이 터치로부터 30년 후로 설정되었는데, 애니메이션의 늦은 방영시기를 반영한 듯.
7. 둘러보기
요미우리 TV 제작·닛폰 테레비 계열 토요일 오후 5:30 방영 애니메이션 | ||||||
역전재판 그 「진실」, 이의 있음! 시즌 2 (2018년 10월 - 2019년 3월) | → | MIX (2019년 4월 - 2019년 9월) |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4기) (2019년 10월 - 2020년 3월) |
[1] 감독 대표작: 도쿄 구울:re[2]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 흔히 배터리 하면 투수(1) - 포수(2) 콤비보다는 다른 의미를 먼저 생각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