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재무상태표 | |||
자산 | 유동자산 : 당좌자산 · 재고자산 · 매출채권 비유동자산 : 투자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부채 | 유동부채 : 단기차입금 · 미지급금 · 매입채무 비유동부채 : 장기차입금 · 회사채 | |
자본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이익잉여금 | |||
포괄손익계산서 | ||||
수익 | 비용 | |||
매출액 · 금융수익 · 영업외수익 | 매출원가 · 판매비와 관리비 · 법인세비용 | |||
영업이익 · EBITDA · 당기순이익 · FFO · AFFO | ||||
자본변동표 | ||||
유상증자 · 배당 · 자기주식취득 및 소각 | ||||
현금흐름표 | ||||
영업활동 · 투자활동 · 재무활동 | ||||
주석 | ||||
※ DART의 삼성전자 사업보고서의 재무제표 항목 순서로 나열함. ※ 기타 다른 항목들에 대해서는 회계/용어를 참고. |
1. 개요
1. 개요
무형자산(無形資産)은 물리적인 실체가 없지만 자산성이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무형자산의 정의를 만족하고 측정가능하며 경제적 효익을 얻을 가능성이 큰 것을 말한다.기업과 나라에서도 유형자산뿐만 아니라 무형이익에서도 중요시 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에서와 같은 경우는 효율적인 고객 서비스와 의사결정은 기업의 매출에 큰 영향을 가지고 있다.
법에서 인정하는 것으로는 지식재산권,초상권 그리고 산업재산권, 저작권, 컴퓨터소프트웨어, 임차권 등이 있다.
경영학에서는 회사 이미지, 직무만족도, 직원 자발성, 조직 유연성 등과 같은 것들을 무형이익으로 인정하며 이것들은 엄연히 기업이 얻은 이익으로써 간주하여 ROI 평가 등에 반영된다.
국제회계기준에서는 아무래도 형태가 없다보니 자산성을 인정하는 기준이 유형자산이나 재고자산에 비해 매우 까다롭고, 처음 자산성을 인정 받은 이후에도 계속해서 그 자산성을 검토를 하도록 강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