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20:17:27

동아여자고등학교

동아여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남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남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광주동성고등학교 광주석산고등학교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광주인성고등학교 대광여자고등학교
대성여자고등학교 동아여자고등학교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문성고등학교 서진여자고등학교 설월여자고등학교
송원고등학교 송원여자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 호남삼육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동아여자고등학교
Dong-a Girl's High School
파일:동아여고 로고.png
<nopad>
개교 1982년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여학교
형태 사립
학교법인 낭암학원
교장 이영운
교감 진상기
교훈 아름다운 女性
교화 백목련
교목 소나무
학생 수 640명[기준]
교직원 수 59명[기준]
관할청 광주광역시교육청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오방로 16-10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4. 학교 시설5. 학교 생활
5.1. 주요 행사
6. 출신 인물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8. 기타

1. 개요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에 위치한 여자고등학교이다.

2. 학교 연혁

  • 1982년 4월 19일 : 학교법인 낭암학원 설립인가
  • 1982년 4월 19일 : 설립자·이사장 낭암 차행렬 선생 취임
  • 1983년 2월 28일 : 동아여자고등학교 본관교사 준공
  • 1983년 3월 1일 : 초대 교장 이현중 선생 취임
  • 1983년 3월 7일 : 제1회 입학식(609명)
  • 2019년 1월 31일 : 제34회 졸업식(363명, 졸업생 누계 16,989명)
  • 2020년 1월 16일 : 제35회 졸업식(260명, 졸업생 누계 17,249명)
  • 2021년 1월 21일 : 제36회 졸업식(222명, 졸업생 누계 17,467명)
  • 2023년 1월 5일 : 제38회 졸업식(208명, 졸업생 누계 17,904명)

3. 학교 상징

4. 학교 시설

  • 고등학교 건물
  • 운동장 : 면적은 2,400㎡이며 동아여자중학교와 공유하고 있다.

5. 학교 생활

5.1. 주요 행사

동그래: 매년 겨울마다 개최되는 학교 축제이다. 진짜 재밌다.

6. 출신 인물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 기타

  • 남구뿐만 아니라 동구, 서구, 북구(!), 심지어 광산구(!!)에서 통학하는 학생도 있다. 광산구 내 학생 수가 수용인원에 비해서 너무 많아서 광주광역시교육청에서 학생들을 학생 수가 남는 학교에다가 배정시키느라 원거리 통학을 해야하는 학생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 제2외국어로 중국어, 일본어와 한문을 교육하고 있다.
  • 교칙을 엄격하게 적용하지 않는다. 교복을 입고 다니는 학생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이다.
  • 2019년 여름방학에 공사를 진행했는데, 진행이 늦어져서 중학교 교실에서 수업을 받았다고 한다.
  • 2021년 6월 책상, 의자, 사물함을 교체했다. [3]
  • 2022년 2월, 마룻바닥을 뜯고 새 바닥으로 교체하였지만 엄청난 먼지와 모래가 발생하여 학생들의 원망을 사고 있다.
  • 학교가 산 속에 있어 비나 눈이 오는 날에 등교하기 특히 힘들다.
  • 축제가 유명하여 광주 모 방송국에서 취재한 적이 있다.
  • 동아여중과 수피아여중에서 많이 진학한다.
  • 3D여고로 대성여고, 대광여고, 동아여고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 언덕 위의 차량 출입이 통제된다. [4]
  • 학교가 산에 있어서 벌레가 매우 많다. [5]
  • 3학년은 화요일, 목요일 점심시간마다 영어듣기를 진행한다.
  • 2022년 동그래[6] 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첫 대면 축제이다.[7]
  • 급식이 맛있다는 평가가 많은 편이다.
  • 2층에는 새로 AI실이 지어졌다.

[기준] 2024년[기준] 2024년[3] 일부 학생들에게는 '퉤퉤한 마룻바닥 위 쓸데없이 화사한 사물함'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4] 허가증이 있다면 7시 30분 이전 혹은 8시 30분 이후 차량 출입이 가능하다.[5] 특히 지네와 알 수 없는 산벌레가 자주 출몰한다.[6] 축제 이름이다.[7] 굉장히 기대하는 사람이 많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