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방침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운영 관리 방침 /운영진 선출) · 편집지침 (일반 문서 · 특수 문서 · 특정 분야 (인문사회 · 과학기술 · 문화예술 · 창작물) · 등재 기준 · 표제어) |
FAQ · 도움말 (기능 · 편집 · 문법 (심화 · 수식 · 개발) · 토론 · 스킨 · 소명 · 권리침해 · 게시판) · 자주 하는 실수 · 문서 삭제식 이동 · 더미 · 다른 위키와의 차이점 |
관리자 · 중재자 · 역대 운영진 · 운영진 지원 · 운영 도움말 (관리 · 중재 · 권한) · 접근 제한 (문서 목록) · 운영회의 (시행규칙 · 안건 건의) · 임명 회의 (관리자 · 중재자) · 봇 리스트 · 투명성 보고서 · 소급 적용 규정 일람 |
분류 · 게시판 · 엔진 (업데이트) · 통계 · 데이터베이스 덤프 · 연습장 · 내 문서함 · 문서 작성 요청 |
프로젝트 · 주요 페이지 링크 · 보존문서 · 파일 · 틀 · 템플릿 |
나무위키의 운영자 | |
사측 관리자 | |
관리자 | 중재자 |
각 운영진의 권한은 나무위키:운영진 권한 도움말 참고. 민선 시절의 운영진 구성은 현재와 다르다. 4기 이전의 운영진 구성은 다음 문서를, 5~7기 운영진의 구성은 다음 문서를 참고. |
1. 개요
* 사측 운영자 혹은 사측 관리자는 운영사를 직접 대표하는 운영자를 의미하며, 관리직 운영자에 속한다.
* 사측 운영자는 사용자:umanle와 사용자:관리자로 구성된다.
- 나무위키:기본방침/운영 관리 방침 中
* 사측 운영자는 사용자:umanle와 사용자:관리자로 구성된다.
- 나무위키:기본방침/운영 관리 방침 中
과거의 나무위키의 관리자에는 관선, 민선 2체제가 존재했으며 다중 계정 검사, 임시조치 담당, 기술적 개발이 필요한 업무(오류, 새로운 기능 등 시스템 개발적 문제) 등을 관선이 운영해왔다. 나무위키의 소유 법인인 umanle S.R.L.이 직접 채용한 직원들은 관선이었다. 관선의 담당 운영 권한은 나무위키 유저들이 아닌 umanle S.R.L.에게 있다. 보통 법정공휴일을 제외하고 새벽 1시~3시 사이에 주로 활동한다.
예전에는 관선이라는 표현이 자주 쓰였지만 민선 운영 체제가 끝난 뒤에는 '관선'은 '사측'으로 대체되고, 관선은 현재 사측 관리자에 의해 선출된 운영진을 일컫는 말이 되었다.
2. 권한
사측 관리자는 선출직 관리자의 권한에 더하여 추가 권한을 가지고 있다. 즉 나무위키의 최고 관리자이다.[1] 그러므로 선출직 관리자보다 사측 관리자의 권한이 훨씬 더 강하며, 규정을 토론 없이도 수정할 수 있는 것이나 각종 예외 사항 등 오로지 사측만이 보유하고 있는 권한도 일부 있다.아래는 대표적으로 사측이 행사하는 권한의 예시이다.
- 사측은 규정 개정 토론 없이 규정을 개정할 수 있다.[4]
- 임시조치로 인한 문서 접근 제한, 문서 로그 삭제, 이의 제기의 수용은 사측이 담당한다.
- 특정 문서의 특정 이용자에 대한 접근 권한의 설정, 사용자 문서의 편집 권한의 설정은 사측이 담당한다.
- 중재가 어려운 토론에 사측은 강제 결론 도출을 할 수 있으며, 강제 결론 도출로 반영된 합의안은 일반 토론으로 뒤집을 수 없다. 이에 대해 이의제기를 하려면 문의 게시판에 운영사 문의를 통해 이의제기를 해야 한다.
- 선출직 운영진에 대한 이의제기는 사측이 처리한다. 단, 감독 관리를 받는 초임 관리자에 대한 이의제기는 해당 관리자를 감독하는 관리자가 처리할 수도 있다.
- 운영에 있어서 방해가 되거나, 규정상 심각하게 문제가 되는 목적으로 발제된 토론이 있으면 사측 관리자가 확인후 해당 스레드를 삭제한다.
2.1. 기술적인 권한 차이
- 선출직 관리자들과 달리 엔진 상에서 다음 권한을 가지고 있다.
- nsacl: 이름공간 ACL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권한을 가진 경우 문서 ACL 수정 권한이 없어도 조정할 수 있다.
- delete_thread: 스레드를 삭제할 수 있다.
일반 운영진 권한 사진과 달리 스레드 이름 옆에 [ADMIN] 스레드 삭제 버튼이 있다. 삭제되면 서버를 건드려야 복구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folding 사진(펼치기/접기)
- grant: 다른 사용자의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운영진을 임명하거나 권한을 회수할 때가 대표적이고, 이메일 탈퇴 등으로 나무위키 로그인이 불가능해졌을 때 문의 게시판에 문의하면 disable_two_factor_login 권한을 일시적으로 부여해 이메일 인증을 거치지 않고 로그인할 수 있게 해 준다. 운영진이나 기타 요청(봇 계정 등)에 따라 no_force_recaptcha 권한을 주어 편집 시에 나타나는 리캡차를 없앨 수도 있다. 아래 사진은 더시드위키에서 찍은 것이며, 위키 별로 줄 수 있는 권한이 다를 수 있다.{{{#!folding 사진(펼치기/접기)
- 로그를 완전히 말소하거나, 편집 요약 강제 수정, 토론 발언 강제 수정 등이 가능하다. 이용자의 기여 행적에 임의적으로 손을 댄다는 특성 때문에 실제로 이 권한이 쓰이는 일은 거의 없다.
- 게시판 관련 권한
- 게시판 개설, 폐쇄(비활성화) 등이 가능하다.
- namubot 처럼 로그 읽기 제한 처리를 할 수 있다.
3. 여담
- 사용자:관리자는 한 사람이 관리하는 계정이 아닌, umanle S.R.L.의 직원이 사용하는 공용 계정이라고 한다. #1, #2[6]
- 한국과 시차가 거의 반대인 파라과이에 본사가 있기 때문에 한국 시간으로는 주로 밤에 위키 업무를 본다. 이 덕분에 선출직 운영진이 일하기 어려운 시간대에도 관리가 용이해 사이트 관리에 비는 시간이 생기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사실 민선 운영진 시절인 2017년 9월 21일~22일에 두 번에 걸쳐 차단된 적이 있었다. 물론 사측 관리자가 잘못을 한 건 아니고, 당시 한 관리자가 광범위한 권한 남용을 시도하여 당시 다른 무고한 전현직 운영진들이 무더기로 차단되던 도중 같이 차단된 것이었다. 그러나 내역에도 나오듯 사측 관리자는 스스로 차단 해제가 가능해서 직접 차단을 풀었으며, 이후 다른 운영진들의 차단도 모두 해제해 주었다. #
[1] 민선 운영자 시절의 최고 관리자와는 다르다. 당연하지만 민선 시기의 최고 관리자보다 더 권한이 강하다.[2] 당사자가 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삭제하는 것도 운영 방해에 속하지만, 이는 선출직 관리자도 제재 할 수 있다.[3] 기본적으로 불소급이 원칙이다.[4] 예를 들어 '추가 바람'과 같은 서술을 금지하는 규정, 대학수학능력시험 관련 편집지침 등이 사측 직권으로 생겨났다.#[5] 이쪽은 the seed의 개발자인 namu가 직접 밝힌 사항이다. #[6] "전 담당자"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게시판 내용을 보면 전에 관리자 계정을 사용한 직원이 진행한 다중계정 검사를 다시 요청하자 아까와는 다른 직원이 맡았던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