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직행좌석 | 1115-6 | 1650 | 1680 | | ||||||||
시내 | 1-2 | 3 | 15 | 51 | |||||||||
75 | 75-1 | 92 | 93 | ||||||||||
95 | 95-1 | 96 | 96-1 | ||||||||||
마을 | 2 | 2-1 | 2-2 | 5 | |||||||||
5-1 | | 6 | 6-1 | ||||||||||
6-2 | 7 | 8 | |||||||||||
경기도의 시내버스 목록 |
| |||||||||||||||||||||||||||||||||||||||||||||||||||||||||||||||||||||||||||||||||||||||||||||||||||||||||||||||||||||||||||||||||||||||||||||||||||||||||||||||||||||||||||||||||||||||||||||||||||||||||||||||||||||||||||||||||||||||||||||||||||||||||||||||||||||||||||||||||||||||||||||||||||||||||
{{{#!wiki style="margin: -1px -10px" {{{#!folding [ 관련 사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0px" | | | |||||||||||||||||||||||||||||||||||||||||||||||||||||||||||||||||||||||||||||||||||||||||||||||||||||||||||||||||||||||||||||||||||||||||||||||||||||||||||||||||||||||||||||||||||||||||||||||||||||||||||||||||||||||||||||||||||||||||||||||||||||||||||||||||||||||||||||||||||||||||||||||||||||||
NEW BS106.[1] | NEW BS090.[2] | ||||||||||||||||||||||||||||||||||||||||||||||||||||||||||||||||||||||||||||||||||||||||||||||||||||||||||||||||||||||||||||||||||||||||||||||||||||||||||||||||||||||||||||||||||||||||||||||||||||||||||||||||||||||||||||||||||||||||||||||||||||||||||||||||||||||||||||||||||||||||||||||||||||||||
명진여객에서 의정부까지 운행하던 모습. | |||||||||||||||||||||||||||||||||||||||||||||||||||||||||||||||||||||||||||||||||||||||||||||||||||||||||||||||||||||||||||||||||||||||||||||||||||||||||||||||||||||||||||||||||||||||||||||||||||||||||||||||||||||||||||||||||||||||||||||||||||||||||||||||||||||||||||||||||||||||||||||||||||||||||
| |||||||||||||||||||||||||||||||||||||||||||||||||||||||||||||||||||||||||||||||||||||||||||||||||||||||||||||||||||||||||||||||||||||||||||||||||||||||||||||||||||||||||||||||||||||||||||||||||||||||||||||||||||||||||||||||||||||||||||||||||||||||||||||||||||||||||||||||||||||||||||||||||||||||||
경기여객 이관 및 청학리 단축 이후.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청학리) |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3동(강변역) | ||
종점행 | 첫차 | 05:20 | 기점행 | 첫차 | 06:40 |
막차 | 22:00 | 막차 | 23:20 | ||
평일배차 | 30~70분 | 주말배차 | 75~150분 | ||
운수사명 | 경기여객 | 인가대수 | 19대[3] | ||
노선 | 청학리 - 중문마을 - 대원.모아.유승아파트 - 별가람마을 - 별가람중 - 별내고 - 별빛마을 - 별내역 - 별내농협 - 한라비발디 - 갈매스타힐스 - 산마루마을 - 동구릉 - 배탈고개 - 교문사거리 - 구리경찰서 - 광나루역 - 강변역 |
2. 개요
경기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청학리를 출발해 별내신도시, 갈매지구, 구리시청, 광나루역, 강변역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왕복 운행거리는 약 61.6km다.3. 역사
- 명진여객 본사가 의정부터미널 옆에 있던 1990년대에 번호만 같은 노선이 있었다. 1-1번과 교문사거리까지 비슷하게 가다가 금곡동까지 가는 노선이었는데, 1998~9년 경에 '청학리 - 금곡동'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2000년대 초반에 폐선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신 2001년에 교문사거리 이후로 1-1번을 따라서 강변역으로 가는 지선이 생겼는데 이게 하루 10번 다니던 1-6번이다.
- 2012년 7월 9일에 신설된 2번이 전신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 2012년 8월 20일에 2번을 없애고 1-2번을 신설하였다.
- 노선이 비슷했던 17번[4]은 2012년 9월 9일에 폐선되었지만, 72-1번 예비차를 사용했던지라 증차에는 이용되지 못했다. 다만, 10번과 10-1번에서 총 5대를 차출하면서 3대에서 8대로 증차되었고, 이후 10대까지 증차되었다.
- 2013년 6월, 별내지구 지하차도를 경유하던 노선을 지하차도 옆 고가로 빠져 구.별내면사무소, 별가람마을 3블록, 별내현대아이파크 1~2차, 화접초등학교 경유로 바뀌었다.
- 2014년 9월 15일에 1대가 72-1번으로 차출되었다.
- 2015년 3월 초에는 10-2번이 신설되면서 2대가 차출되었다. 수익성 문제 때문인지 한동안 8대로 감차되어서 다녔고 30~45분 간격으로 다녔었다.
- 이후 송산주공9단지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6]
- 이후 1-1번, 10번 등에서 차량을 차출했고 그 과정에서 11대로 증차되었다.
- 2020년 1월 9일에 '민락동종점 - 롯데마트 - 충의중 - 용현초 - 306보충대 - 청학리' 구간[7]이 단축되었고, '별내농협 - 퇴계원사거리 - 사노리나들목 - 돌무들' 구간이 '별내농협 - 주을래마을 - 갈매1.2단지 - 갈매중학교 - 산마루마을 - 돌무들'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그리고 막차가 민락동 22:40(청학리 22:55), 동서울 00:00에서 청학리 22:00, 동서울 23:20으로 크게 당겨졌다. 또한 명진여객에서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었다. 다만, GBIS에는 하루 늦게 반영되었다.
4. 특징
- 1-1번과 중복구간이 많고('용현주공아파트 - 뫼아래', '사노동 - 강변역'), 1-1번에 비해서 수요도 그리 많지 않아[8] 배차 간격은 평일 35~70분, 주말 75~150분으로 제법 넓은 편이다. 일전에 이 노선이 명진여객에 속해 있었을 때에는 평일 35~40분, 주말 1시간 이상 간격으로 운행됐다가 잠시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좁아져 6대로 다녔으나, 또 다시 감차가 이뤄지면서 지금은 평일 35~70분, 주말 1시간 10분~2시간 30분 간격으로 다니고 있다.[9]
- 퇴계원을 거치지 않는 대신 퇴계원사거리, 검문소사거리, 별내농협, 별내역을 거쳐 별내별가람역이 예정된 주공아파트사거리까지 80번과 동일하게 운행했다. 이후 해당 사거리에서 우회전해 남양주 보훈병원 앞으로 지나간 후, 또다시 우회전을 한 뒤, 좌회전을 한 다음 1155번이 다니는 불암로를 잠시 거쳤다 다시 송산로로 합류한다. 이로 인해 굴곡이 많이 심하니 별내로 가는 것이 아니면 1-1번을 타는 것이 좋다. 1001번 역시 '동부거성아파트 - 별내우미린아파트' 구간이 1-2번과 똑같다.
- 의정부 시내버스 시절 민락동 종점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면, 롯데마트에서 승객들을 하차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 차량은 신설 당시에는 중형차량이 대다수였고, 대형차량은 계속 빠지다가 들어가다를 반복했다. 의정부 구간 단축 직전에는 대형 6대 + 중형 5대로 운행했으나 단축 후에는 모두 대형차량으로 교체되었다.
- 구리시 면허로 넘어가면서 운행대수는 11대에서 7대로 줄었지만 막상 인가댓수가 8대가 늘었다. 다른 서울 유출입 노선 인가분을 가져와서 이 노선에 합친 것으로 보이며 갈매지구 수요 변화에 따라서 변동될 것으로 보인다.
5. 연계 철도역
[1] 이 노선에 처음으로 투입된 대형 차량으로, 360번으로 이동하였다가 경기운수 1414호로 면허 전환 후 21번으로 이동하였다.[2] 이 차량도 현재 경기운수 1408호로 전환 후 21번으로 이동하였다.[3] 2020년 1월 중순만 해도 8대 운행이었으나, 평일 기준으로는 4대, 주말 기준으로는 2대로 운행한다.[4] 성모병원 - 롯데마트 - 만가대사거리 - 수락산입구(굴다리) - 마당바위 - 사거리농원 - 덕릉교장 - 당고개역. 2010년에 생겼다가 적자로 인해 2011년에 통근시간대 6회 운행으로 전환하였다.[5] 사실 1155번이 다니던 민락1지구 구간 중에서 만가대 - 청구아파트 - 민락중학교 구간은 중복노선이 여럿 있었다. 독점구간은 용민로를 통과하는 구간으로 편도운행이었지만 1155번이 이 구간을 운행하다보니 1155번이 없어지면서 교통이 불편해졌다.[6] 원래는 보람병원 - 송산주공1/9단지를 경유했으나 이 구간이 삭제되었다.[7] 용민로 구간은 12-3번을 조정하여 12-5번으로 바꾸고 투입하여 대체한다.[8] 다만 별내신도시에서 구리와 강변역으로 가는 노선이 이 노선 뿐이라 출퇴근시간대에는 승객이 많다.[9] 2020년 2월 기준으로 평일에는 4대로 다녔고, 주말에는 2대로만 다녀 배차간격이 매우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