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11:29:21

르노삼성 SM5

SM5에서 넘어옴
파일:르노삼성자동차 로고.svg 르노삼성자동차의 중형 세단 라인업
초대 SM5 SM6
파일:르노삼성자동차 로고.svg
파일:SM5A4.jpg
<colbgcolor=#ffffff> 파일:external/m.renaultsamsungm.com/logo_sm5_2.gif
<colcolor=#000> RENAULT-SAMSUNG Samsung Motors Model 5
RENAULT LATITUDE[1] / SAFRANE[2]
NISSAN CEFIRO[3] / MAXIMA[4] / TEANA[5]
INFINITI I30[6]

1. 개요2. 역사3. 제원
3.1. 1세대3.2. 2세대3.3. 3세대
4. 미디어5. 기타6. 모형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르노삼성자동차[7]전륜구동 중형 세단. 구 삼성자동차의 유일한 모델이기도 했었으며, 현 르노코리아의 토대가 되어주었던 모델.

2. 역사

한 편의 SM5 역사

1998년 처음 출시되어 2020년 단종될 때까지 총 3세대 모델이 있으며, 각각 닛산 세피로, 닛산 티아나, 르노 라구나를 베이스로 만들어졌다. 일상적으로 차종을 말할 때 쏘나타가 코드명으로 YF 쏘나타, LF 쏘나타 등으로 세대 구분을 한다면, SM5는 세피로/맥시마 SM5, 티아나 SM5, 라구나 SM5, 또는 L43 SM5 등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다. L43 SM5가 이후 플래티넘, 노바로 페이스리프트되면서 초기형 L43는 그냥 죠스바로 통칭되고 있다.

1세대와 2세대 가솔린 SM5은 닛산 세피로(맥시마)와 닛산 티아나를 부분변경시킨 차종으로, 전면부 외관 정도를 제외하면 사실상 같은 차종이다. 실제로 초창기 SM5는 대다수의 부품이 일본에서 수입돼서 부산공장에서 조립되었기에 사실상 외제차 취급을 받았다.

3세대로 넘어가면서 르노 베이스로 바뀌었다. 다만 3세대 SM5는 플랫폼을 비롯하여 많은 부분을 르노에서 가져왔지만 차량 설계를 다시 했기 때문에 1,2세대처럼 수입 조립차라는 오명을 듣지는 않게 되었다.

2.1. 1세대 (KPQ, 1998 ~ 2005)

파일:IDyCwA5.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노삼성 SM5/1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2세대 (EX1/DF, 2005 ~ 2010)

파일:슴5b2-2.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노삼성 SM5/2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3세대 (L43, 2010 ~ 2020)[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노삼성 SM5/3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image/057/2015/01/05/142044466054aa43f49134a_99_20150105170005.jpg

3. 제원

3.1. 1세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노삼성 SM5/1세대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2세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노삼성 SM5/2세대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3세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노삼성 SM5/3세대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미디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노삼성 SM5/미디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 1세대의 SR, VQ 엔진의 튜닝 포텐셜이 뛰어나고 내구 마진이 많이 남는 엔진이라 그런지 한 때 초고출력 튜닝 모델이 돌아다니기도 했던 모양이다. 물론 전륜구동의 한계성 때문에 코너링 따위는 개나 줬지만.
  • 수출 사양인 르노 래티튜드의 측면 라미네이트 유리에 새겨진 로고를 보면 르노의 다이아몬드 로고와 르노삼성의 태풍 로고가 동시에 새겨져 있다.
  • 권양숙 여사가 1998년부터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되기 전까지 SM5 1세대를 소유하였다.
  • 과거 KD 운송그룹 소속 노선 중 오지 노선에 SM520이 임시로 투입되었던 전력이 있다.
  • 칠레, 카자흐스탄 등의 국가에서는 1세대 모델이 SQ5와 SQ5 V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하였다.
  • 1997년 10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중국 대련~포르투갈 리스본까지 약 3만 2천km의 실크로드 대장정에 참여하기도 했다.[11]

6. 모형

  • 1세대 SM5는 크로바미니카에서 1:35 스케일로 출시되었으며, 딜러버전도 발매되었다.[12] 일반 모델의 포장박스에는 SM520이지만, 상품명과 제품은 SM525V이다. 실차처럼 당시에 판매될 때에는 물론이고 단종된 지 시간이 지난 지금도 수집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여담이지만 해당 모형의 대시보드는 SM7의 모형이 같은 회사에서 최초로 발매되었을때 재사용되었다가, 이후 개량을 거치면서 제대로 된 대시보드를 달고 나왔다.
  • 2세대는 미카에서 출시되었으며, 전기형 EX1 모델이 딜러버전으로 우선 등장했다. 다만 짧은 생산기간으로 인해 경매에 간간히 등장하는 SM525V 딜러버전에 비해 보기 힘들어 엄청 희귀한 편이다. 후기형 임프레션 모델은 딜러버전과 같이 일반 모델도 발매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싸이렌 미니카도 출시되었다. 싸이렌 미니카의 경우 르노삼성 로고를 약간 변형시켰다. 또한 임프레션 딜러버전처럼 일반 모델에 핸들을 제외한 실내를 회색으로 도색하고 안개등 도색, 범퍼그릴,B필러를 무광검정으로 칠하고 유리에 프릿과 열선이 프린팅되어 아크릴 패키징에 담긴 모델도 존재하였다. 딜러버전과 다른점은 실내형태가 일반모델과 같으며 그릴, 라이트, 몰딩 크롬도색이 삭제됐으며 하판도 태엽이 삭제된 딜러버전과 달리 일반모델처럼 태엽이 있다. 해당버전과 일반모델하고 구별하자면 하판이 회색인게 특징이다. 겉상자도 딜러버전과 다르고 아크릴 위 스티커도 태풍의 눈 로고가 그려진 스티커를 붙은 딜러버전과 달리 해당버전은 제조사인 미카 스티커가 붙었다.
  • 3세대도 미카에서 출시되었으며, 초기형과 플래티넘 모델 둘 다 일반 버전과 딜러버전이 동시에 발매되었다. 다만 노바의 경우, 오직 딜러버전과 싸이렌 미니카로만 발매되었으며 일반 모델은 발매되지 않았다. 그리고 노바를 기반으로 한 싸이렌 미니카는 그릴이 도색되어 있지 않아 로고가 아예 없다.

7. 관련 문서

  • 르노 사프란/래티튜드 - 샤프란 1세대는 르노 고유모델이었으나 2세대부터는 SM5의 리뱃징 모델이다. 래티튜드 역시 3세대 SM5의 리뱃징 버전이나 SM7의 인테리어가 적용되었고 대한민국 시장과 달리 V6 엔진 사양도 적용되어 SM7의 포지셔닝도 겸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르노삼성자동차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fdb515> 차급 생산 차량 수입 차량
마이크로 카 - 르노 트위지[1]
소형차 - 르노 조에, 르노 클리오/4세대
준중형차 르노삼성 SM3(Z.E.) -
중형차 르노삼성 SM5(SM530L), 르노삼성 SM6 -
준대형차 르노삼성 SM7 -
소형 SUV 르노삼성 XM3 르노삼성 QM3, 르노 캡처/2세대
준중형 SUV 르노삼성 QM5 -
중형 SUV 르노삼성 QM6 -
LCV - 르노 마스터/3세대
}}}}}}}}} ||

[1] 2019년부터 국내 생산으로 전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dc143c><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dc143c>
파일:닛산 로고.svg파일:닛산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373a3c,#ddd><rowcolor=#373a3c,#ddd>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경차 데이즈 · 데이즈 하이웨이 스타 · 룩스, 룩스 하이웨이 스타 ·
NV100 클리퍼 · NT100 클리퍼 · 사쿠라
하이퍼미니 · 피노 · 모코 · 오티 · 킥스 · 클리퍼 리오 · 픽소
소형차 마치/마이크라 · 노트 · 티다 · 베르사 · 알메라 블루버드(1,2세대) · 서니 · Be-1 · S-카고 · 파오 · 피가로 · 마이크라 C+C · 체리 · 플래티나 · 아프리오 · 무지카 1000 · 마치 박스 ·
로렐 스피릿 · 바이올렛 · 스탄자 · 오스터 · 라티오 · 체리 캡
준중형차 센트라 · 실피 · 리프 · AD · 란니아 랭글리 · 리베르타 빌라 · 프레세아 · 서니/서니 캘리포니아 ·
블루버드 실피 · 루시노 · 알메라 클래식 · 츠루 · 오스틴 A40 소머셋 · 오스틴 A50 케임브리지 · 윙로드 · 펄사 · 서니 트럭
중형차 알티마 · 스카이라인 블루버드(3~10세대) · 핀타라 · 산타나 · 로렐 ·
세피로/세피로 왜건 · 프리메라 · 레퍼드(1,2세대) · 르네사 · 스테이지아 ·
크루 · 티아나 · 아베니르 · 엑스퍼트
준대형차 - 글로리아 · 세드릭 · 레퍼드(3,4세대) · 70형 · 푸가 · 맥시마
대형차 - 프레지던트 · 시마 · 인피니티 Q45
스포츠카 페어레이디 Z 닷선 스포츠 · 실비아(실에이티) · 180SX · 가젤 · 서니 RZ-1 · NX 쿠페 ·
오텍 자가토 스텔비오 AZ1 · 스카이라인 GT-R · EXA · 미드4
슈퍼카 GT-R R390 GT1공도용, 비매품
레이스카 - GT-R LM 니스모 · ZEOD RC · 델타윙 · R391 · R390 GT1 · 스카이라인 슈퍼 실루엣 · 사우루스 주니어 · R383 · R382 · R381 · 프린스 R380 · 스카이라인 터보 C · GTP ZX-터보 · R85V · R86V · R87E · R88C · R89C · R90CP · R90CK · R90CP · R90CK · R91CP · R91CK · R92CP · P35
소형 SUV 매그나이트 · 쥬크 · 킥스 라신 · 테라노(3세대)
준중형 SUV 캐시카이 · 로그 · 엑스트레일 · 아리야 미스트랄/테라노 II · 듀알리스
중형 SUV 무라노 · 테라 테라노(1,2세대) · 엑스테라 ·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
준대형 SUV 패스파인더 테라노 레글루스
대형 SUV 패트롤 · 아르마다 -
MPV 세레나 · 엘그란드 · 리비나/그랜드 리비나/리비나 제니스 큐브 · 프레리/리버티 · 퀘스트 · 티노 · 프레사쥬 · 바사라 · 라페스타
LAV 타운스타 큐비스타
LCV / 상용밴 NV200/NV200 바네트 · NV300 · NV350/NV350 캐러밴 · NV400 호미 · 바네트 · 로코 · 아틀라스 맥스 · 프리마스타 · 인터스타 · NV1500/NV2500 HD/NV3500 HD
픽업트럭 타이탄 · 나바라/프론티어/NP300 · NP200 주니어 · 유트
트럭 아틀라스/NT450 아틀라스 · NT400 캡스타 180 · 캡올 · 호머 · C80 · 클리퍼 · 아틀레온 · NT500
버스 - 에코/시빌리언
구급차 파라메딕 -
의전차량 - 프린스 로얄
파일:닛산 NMC 로고 화이트.svg
파일:인피니티 로고.svg · 파일:Infiniti_IPL_Logo.jpg
닷선의 차량
}}}}}}}}} ||




[1] 3세대.[2] 2, 3세대.[3] 1세대.[4] 4세대.[5] 2세대.[6] 1세대.[7] 現 르노코리아.[8] 생산은 2019년부터 종료되었다.[9] 이호성처럼 빚이 수십 억대에 달해 법원에서 압류 명령이 들어온 사람은 기본적으로 자기 명의의 차량을 가질 수가 없다. 확인 즉시 은행에서 압류해가서 경매에 팔아버리기 때문이다.[10] 빅딜 무산의 올바른 예이다. 대우전자는 동부대우전자로 넘어가서 새 상표로 클라쎄를 달고 김태희를 광고모델로 기용했으나 자체유통망도 기본적으로 성능이 딸리니 백약이 무효였다. 대우자동차는 쌍용자동차를 무리하게 끌어들였기에 삼성자동차까지 합체할 여력이 없었다.[11] 해당 대장정에 참여했던 SM525V는 현재 100km SM5 택시가 전시된 르노삼성자동차 갤러리에 전시되어 있다.[12] 딜러버전은 일반버전과 다르게 풀백기어가 적용되지 않았고 전륜의 조향기능(!)까지 적용되었다. 또한 내,외부 디테일도 훨씬 우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