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5:24:19

Arirang TV

Arirang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방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지상파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KBS 1TV 로고.svg | 파일:KBS 2TV 로고.svg) | 파일:MBC 로고.svg | 파일:EBS 로고.svg (파일:EBS 1TV 로고 2023.svg | 파일:EBS 2TV 로고 2023.svg)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G1방송 로고.svg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일:CJB 로고.svg | 파일:JTV 로고.svg | 파일:kbc 로고.svg | 파일:TBC 로고.svg | 파일:KNN 로고.svg | 파일:ubc 로고.svg | 파일:JIBS 로고.svg | 파일:OBS경인TV 로고.png (독립) |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유료
방송
채널
사업자
종합편성채널
파일:JTBC 로고.svg | 파일:MBN 로고.svg | 파일:TV CHOSUN 로고.svg | 파일:채널A 로고.svg
보도전문채널
파일:YTN 로고.svg파일:YTN 로고.svg
|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파일:연합뉴스TV 로고 화이트.svg
복수채널사업자
채널 사용 사업자 문서 참고
일반채널사업자
<colbgcolor=#fff,#1c1d1f>유료방송채널/목록 문서 참고
플랫폼
위성방송
파일:KT스카이라이프 BI.svg
케이블 MSO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헬로tv) |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 파일:CMB 로고.svg | 파일:HCN 로고.svg
케이블 개별 SO
파일:아름방송 로고.svg (경기) | 파일:남인천방송 로고.svg(인천) | 파일:푸른방송 로고.svg (대구) |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 (울산) | 파일:서경방송 로고.svg (경남) | 파일:CCS충북방송 로고.svg (충북) | 파일:금강방송 로고.svg (전북) | 파일:KCTV광주방송 로고.svg (광주) | 파일:KCTV제주방송 로고.svg (제주)
IPTV
파일:KT GENIE TV.png | 파일:U+tv 로고.svg | 파일:B tv 로고.svg
제도
<colbgcolor=#fff,#1c1d1f> 영상물 등급 분류 제도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분류 제도 ·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제도 · 국산영화 의무 상영 제도 · 공동체 라디오
기관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분류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영화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매체별 방송 · 인터넷 방송 · 케이블 방송 · 텔레비전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파일:Arirang TV 로고.svg 아리랑국제방송
Arirang TV
}}}
The World On arirang
개국 1997년 2월 3일
구분 다매체 채널 사용 사업자
유형 공영방송
분야 뉴스, 시사, 예능, 인사이트
방송품질 화질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184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i)]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D184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등)]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실시간 시청 파일:Live 로고.pn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운영주체 국제방송교류재단 방송본부
편성책임 황명수 (방송본부장)
소속 국제방송교류재단

1. 개요2. 역사3. 슬로건4. 수신 방법5. 프로그램
5.1. TV
5.1.1. 연예·오락5.1.2. 교양5.1.3. 보도/시사
5.2. 뉴스
6. 유튜브 채널7. Arirang Radio

[clearfix]

1. 개요

파일:아리랑건물.jpg
서울 서초동에 위치한 Arirang TV 사옥

외국어(영어)로 한국 문화 홍보를 주로 하는 국제방송교류재단 소속 종합편성 채널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방송 관련 국제교류 재단이자 국제방송국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한국의 시사, 문화, 역사를 TV, 라디오, 인터넷 생방송으로 내보내고 있다. 방송국명인 아리랑국제방송은 민요 아리랑에서 따왔으며, 개국 당시 고정 채널 넘버는 50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51 (서초동) 국립국악원 건너편에 있다.

3개의 채널이 24시간 동안 주 언어인 영어로 방송하고 있으며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그리고 인니어의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다언어 자막 서비스). 현재 전 세계 108개국 약 1억 4,400만 시청 가구를 확보한 아리랑국제방송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많은 시청자와 소통하고 있다.

방송 채널의 목적 자체가 해외에 대한민국 및 국내 문화를 알리기 위해서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한국어가 나오는 부분이 있지만 거의 모든 방송이 기본적으로 영어로 나온다. 주 시청자층은 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다.

2. 역사

1996년 2월 공보처는 김영삼 당시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해외위성방송 '코리아채널' 개국을 추진토록 했고, 4월에는 민법 제32조에 따라 '국제방송교류재단'이 세워진 후 1997년 2월 3일 국내 최초의 해외위성방송 채널 '아리랑 TV'를 개국했다. 1998년 10월 문화관광부로부터 해외홍보방송 운영주체로 지정받고 12월에는 '영상물수출지원센터'를 열었으며, 1999년 아시아/태평양 권역에 첫 해외방송을 개시했다. 2000년에 통번역센터를 세우고 2001년 자회사 '아리랑TV미디어'를 세운 후, 미국 에코스타 디시 네트워크와 재전송 계약을 맺었다. 2002년 KT스카이라이프에도 국내 채널공급을 개시하고 2003년 제주FM 채널을 개국했으며, 2004년 방송권역을 전 세계로 확대하며 아랍 연맹 22개국 및 주변국가에 아랍어 위성방송을 개시했다. 2005년 6월에는 로고를 기존의 명조체에서 현재 쓰이는 비스듬한 유선형 서체 로고로 바꾼 후 9월부터 위성 DMB 방송을 개시했고, 동년도 부산 APEC 정상회의 주관방송사로 선정됐으며 12월 지상파 DMB 방송까지 개시했다.

2006년 서유럽권 대상 아스트라 위성채널과 재전송 계약을 맺고 인터넷 라디오 플레이어 '아리랑 캐스트'를 통해 인터넷 음성방송을 개시했고, 2008년에는 국내 최초로 다언어 서비스(7개 국어)를 개시했다. 2009년 미국 로스앤젤레스부터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개시하고 myLGtv 및 QOOK TV를 통해 IPTV 방송을 개시했으며, 2012년 8월 31일 위성 DMB 방송을 폐국했고, 2015년 UN 채널을 런칭하고 2016년 국내 최초로 영국 SKY 등 위성방송 플랫폼에 진입했다. 2017년 최대 위성라디오 시리우스 XM에도 진입했다. 2023년 12월 31일 지상파 DMB 방송을 폐국했고, 2024년 3월 31일 위성라디오 시리우스 XM을 폐국했다.

3. 슬로건

  • Korea World Network (1997년 12월 3일 ~ 2005년)
  • Korea's Global TV (2005년 ~ 2012년)
  • Korea for the World, The World for Korea (2005년 ~ 2008년)
  • Korea's Multilingual TV (2007년 ~ 2008년)
  • Asia's Heartbeat (2012년 ~ 2016년)
  • The World On arirang (2016년 ~ 2023년)

4. 수신 방법

아리랑국제방송은 세 개의 채널(World, UN, Korea)로 운영하고 있으며, 총 8기의 위성중계기를 사용하여 전 세계 108개국의 1억 4,400만 시청 가구에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알리는 메신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5. 프로그램

5.1. TV

해외를 방문했을 때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한국 채널이다. 특히, 한국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들이 외국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채널이다. 국제방송으로서 국내외 뉴스 뿐만 아니라 산업, 경제, 공공외교 등 시사, 정보, 교양 프로그램 및 한국에 관련된 다큐멘터리도 방영한다.

한국 문화 홍보를 위주로 하는 방송국인 만큼 2010년대부터 한류에 관련된 (특히 해외 K팝 팬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많이 편성되고 있다. 지난 방송은 모두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 가능하다. 영어인데다가 스스로 지난 방송을 제공해 주니 해외 팬으로선 가뭄에 단비인 셈이다.

그 외에 2001~2006년까지 독일 도이체 벨레 및 영국 BBC World News 프로그램을 블록편성한 적이 있었다.

5.1.1. 연예·오락

Arirang K-Pop 유튜브공식 홈페이지(실시간 시청도 가능)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다시 볼 수 있다.
: 일방향 방송은 가라! 시청자가 화상 채팅에 참여하며 K-pop 스타와 소통하는 뮤직 리퀘스트쇼. 매주 구글 행아웃을 통해 전 세계 K-pop 팬들이 참여하고 있다.
K-Pop 아이돌 위주 토크쇼로 해외팬들에게서 인기를 끌고 있다. 반응이 꽤 좋았는지 원래 1주 1회 하던 방송을 2014년부터 1주 2회로 늘렸으며,[1] 에릭남을 비롯 김병관, 제이미, 재윤, 곽아론, 앨런, 태영 등이 MC 자리를 거쳤다. 이들은 영어가 되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 MC들이 게스트들에게 한국어로 질문을 건네고 이를 영어로 통역하며, 2015년 쯤부턴 번역작가가 게스트의 말을 영어자막으로 실시간으로 쳐주기도 한다. 영어를 할 줄 아는 게스트가 오면 100% 영어 진행. 해외 팬들과 구글 행아웃으로 실시간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한다.
  • Simply K-Pop 공식 홈페이지 매주 금요일 13:00 ~ 14:00 KST
    : K-pop 스타들의 무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객과 소통하는 음악 프로그램.
음악방송으로 뮤직뱅크인기가요 같은 지상파 음방들과는 달리 100% 녹화 방송이다. 인지도가 높은 그룹들보다는 지상파에 나오지 못하는 중견 아이돌 그룹이나 신인들 위주로 편성되는 편이었으나, 2014년 이후부턴 네임드 그룹도 나오는 편이다.
  • I'm Live - 아임라이브 공식 홈페이지 / 유튜브 매주 목요일 13:00 ~13:30 KST
    : 국내 실력파 뮤지션의 라이브로 진행되는 미니 콘서트 프로그램 '아임라이브'. 무대를 360VR로 볼 수 있다.
  • RADIO' CLOCK - 라디오 클락 공식 홈페이지 / 유튜브 매일 15:00 ~ 15:55 KST
    : 모든 것이 보이고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한국 음악, 콘텐츠, 한국 문화예능 토크쇼 Radio’ Clock!
  • SECRET TOUR 공식 홈페이지 매주 월요일 02:00 ~ 03:00 KST
    : 스타들이 가르치는 K-POP 댄스 수업부터 한식을 맛보기 위한 아이돌들의 치열한 배틀까지! 글로벌 소통 라이브 콘텐츠
  • K-Chat : Conversing in Korean 공식 홈페이지 월~금 10:00 ~ 10:10 KST
    : 다양한 일상 생활 속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종합 한국어 프로그램
  • PLAY11ST UP: FEEL LIKE 11 공식 홈페이지 매일 11:00 ~ 12:00 KST
    : 한국의 다양한 장르의 뮤지션들을 초대해 그들의 라이브 공연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라디오&TV 동시)

방영 종료 프로그램
  • Never a Dull Moment - 공식 홈페이지 / 유튜브
    : 절대 지루하지 않은 스타의 빛나는 순간을 담은 본격 '입덕' 유발 프로그램
  • Club.KOM - 클럽닷컴 공식 홈페이지
    : 한국 전통음악인 국악을 매개체로 다양한 퓨전 음악을 들려주는 21세기 아티스트들의 색다른 무대가 펼쳐진다!
  • Quiz Champion : 1997년 10월부터 11월까지 4주간 시범적으로 방영했으나, 시청자들의 반응이 좋아서 1998년 1월에 정규 편성된 후 2006년 1월까지 무려 8년간 장수한 고등학생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 이 프로의 엄청난 인기 덕택에 전 세계 아리랑TV의 시청자가 늘어났을 정도였다.
  • Rolling in K-Pop 공식 홈페이지
    : 전 세계 모든 K-Pop 팬들을 위한 다국어 K-Pop 콘텐츠 Rolling!
  • Travel Track - 트래블 트랙 공식 홈페이지 / 유튜브
    : 한국의 숨겨진 여행지에서 펼쳐지는 솔직담백한 자유 여행!
  • Super Kids :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방영된 초등학생 대상의 퀴즈 프로그램으로 어린이 시청자들의 인기가 상당했다.
  • Quiz Whiz Junior : 2016년에 방영된 Super Kids 후속의 초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
  • CODENAME BUSAN 공식 홈페이지
    : 한국과 K-POP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모든 국적의 사람들을 위한 오디션! 참가자들이 모국에서 숨겨진 재능을 활용해 '부산' 유치를 홍보하는 특별한 미션을 위해 다양한 라운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 DanstarGram On The Road 공식 홈페이지
    : 한국의 댄스 퍼포먼스 버스킹 프로젝트
  • Islands to Love 공식 홈페이지
    : 한국의 아름답운 섬으로 전기자전거로 떠나는 배낭여행
  • TripstarGram 공식 홈페이지
    : K-pop 스타들이 직접 지역을 체험하고 둘러보며 아름다움을 소개

5.1.2. 교양

  • Arirang Special 공식 홈페이지
    : 아리랑국제방송이 제작한 독특하고 특별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선보이는 방송
  • 1 DAY 1 Korea 공식 홈페이지 월~금 07:30 ~ 07:40 KST
    : 한국의 사회문화, 예술계 주요 인사, 음식, 영화, 공연 등을 조명하여 시청자들에게 한국의 일상문화를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기획된 일일 문화 프로그램 시리즈
  • K-stage 'PAN' 공식 홈페이지 매주 목요일 13:30 ~ 14:00 KST
    : 한국 음악의 매력을 진솔하게 느낄 수 있는 국악 방송

방영 종료 프로그램
  • Arirang Prime
  • Catchy Korea
  • Documentary A
  • Exploring Korean Literature
  • FDI Focus
  • Foodie on MOTORBIKE
  • Gangnam Insider's Picks
  • Gugak the Music of Korea
  • HOME EXPLORERS
  • Invest Korea Alive
  • Forest in DMZ
  • K-UNBOXING
  • UNBOXING K-LIFE
  • Korea Travelogue
  • Korea World Class
  • 1Day 1Fim K-Cine Flex
  • See What I See 1, 2, 3
  • TRAILS in Korea
  • TRANSFORMATION IN ARCHITECTURE
  • Travel Note
  • Discover World
  • Perform arts Reload
  • Bravo! K-Scientists
  • The Grand Heritage
  • Wow! Lucky Box
  • World Tour in Korea

5.1.3. 보도/시사

  • Arirang NEWS
    주로 한국의 뉴스를 영어로 방영하고 있으며 분야는 정치, 세계, 경제, 외교, 북한, 생활/문화, 과학, 스포츠, 날씨 등 다양. 낮 12시와 밤 9시 하루 두 번 진행 중.
    12시 공식 홈페이지 21시 공식 홈페이지
    북한 관련 뉴스를 영문으로 방영하기에 CNN이나 France24와 같은 외국 국제방송사에서 인용하는 경우도 많다.
  • NEWS CENTER 공식 홈페이지
    : 아리랑국제방송의 메인 뉴스 프로그램. 저녁 6시에 진행.
  • AI HEADLINE NEWS 공식 홈페이지
    : 국내 최초 AI가 진행하는 생방송 뉴스. 최고수준의 AI 기술로 구현된 Ari가 보도한다.

    • 낮 4시, 밤 10시 편성. 라디오에서도 들을 수 있다.
  • NEWs GENERATION 공식 홈페이지
    : MZ세대가 주목하는 따끈따끈한 시사 이슈를 세계 각국의 2030 출연자들과 풀어보는 소프트 뉴스
  • THE DAILY REPORT공식 홈페이지
    : 국내외 뉴스
  • DIPLOMAT TALKS 공식 홈페이지 매주 월요일 17:00 ~ 17:30 KST
    : 주한 외국인 대사나 외교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에 대한 관점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이슈에 대해 소개
  • The Roundtable 공식 홈페이지 매주 화요일 17:00 ~ 17:30 KST
    : 세계적 선도 국가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하는 프로그램
  • THE GLOBALISTS 공식 홈페이지 매주 수요일 17:00 ~ 17:30 KST
    : 글로벌 오피니언 리더들의 삶과 경험을 되돌아보며 한국의 미래 비전이 무엇인지, 국가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 이야기하는 프로그램
  • SmartBiz Accelerators 공식 홈페이지 매주 목요일 07:00 ~ 07:30 KST
    : 다양한 국내 중소기업을 소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의 기술경쟁력과 전망에 대한 정보를 제공
  • Global Insight
  • Peace Insight

5.2. 뉴스

편성시간 / 프로그램명
  • 09:00 / NEW DAY at Arirang
  • 09:30 / NEWs Generation
  • 12:00 / Arirang NEWS
  • 14:00 / THE DAILY REPORT
  • 14:30 / ISSUES & INSIDERS
  • 16:00 / AI Headline News
  • 18:00 / NEWSCENTER
  • 18:30 / WITHIN THE FRAME
  • 21:00 / Arirang NEWS
  • 22:00 / AI HEADLINE NEWS
  • 12:00(토) / Weekly News Highlights

종영 프로그램
  • In Focus
  • Biztech Korea
  • K-BIZ 4
  • News Makers
  • Peace & Prosperity
  • SMEs on the rise 공식 홈페이지
  • The Point
  • WHAT is

6. 유튜브 채널

7. Arirang Radi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irang Radio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015년 3월에 다시 1주 1회로 바뀌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