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20:17:58

제1차 국민투표

1962년 국민투표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종류 지난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0대
2022년 3월 9일
제21대
2027년 3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2022년 6월 1일
제9회
2026년 6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재보궐선거 2024년 상반기
2024년 4월 10일
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16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폐지*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folding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
제1차 국민투표
{{{#!wiki style="margin: -7px -12px" 국민투표 신설 제1차 제2차 }}}
사유 5차 개헌을 위한 절차
투표율 85.3%
개표
찬성
반대
78.8% 19.0%
결과
제5차 헌법개정안 가결

제1차 국민투표를 다룬 1962년 12월 17일 대한뉴스

1. 개요2. 배경3. 결과

1. 개요

1962년 12월 17일 치러진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의 국민투표로 12,412,798명의 유권자가 참여했으며 85.3%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2. 배경

5.16 군사정변을 통해 정권을 잡은 박정희에 의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주도했으며 헌법개정안을 통과 시켜 안정적으로 집권하고자 했다. 당시의 박정희는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신분이었다.

3. 결과

압도적인 투표율과 찬성표를 등에 업고 5차 개헌안이 최종적으로 통과되었다.
1962년 국민투표
찬성 78.8%
반대 19.0%

파일:external/www.pa.go.kr/img_revision0405.jpg
헌법개정의 건 공포
1962년 12월 22일 국가재건최고회의로부터 가결통보된 헌법개정의 건을 1962년 12월 26일 제105회 각의에서 공포하기로 의결하였아옵기 이에 공포하고자 재가를 바라나이다
국가재건최고회의의 의결을 거쳐 국민투표로 확정된 헌법개정의 건을 이에 공포한다.
대통령권한대행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육군대장 박정희 (印)
1962년 12월 26일
내각수반 김현철
각원 경제기획원장 김유택
각원 내무부 장관 박경원
각원 재무부 장관 김세련
각원 법무부 장관 조병일
각원 국방부 장관 박병권
각원 문교부 장관 박일경
각원 농림부 장관 장경순
각원 상공부 장관 유창순
각원 보건사회부 장관 정희섭
각원 교통부 장관 박춘식
각원 체신부 장관 배덕진
각원 공보부 장관 이원우
각원 건설부 장관 박임항
각원 내각사무처장 김병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