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7:54:42

부활의 퓨전!! 오공과 베지터

파일:20190310_040809.png 극장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극장판
1기 2기 3기 4기 (Z 1기) 5기 (Z 2기)
드래곤볼
(1986)
마신성의 잠자는 공주
(1987)
불가사의한 대모험
(1988)
드래곤볼 Z
(1989)
이 세상에서 제일 강한 녀석
(1990)
6기 (Z 3기) 7기 (Z 4기) 8기 (Z 5기) 9기 (Z 6기) 10기 (Z 7기)
지구 통째로 초결전
(1990)
초사이어인이다 손오공
(1991)
궁극의 최강 대 최강
(1991)
격돌!! 100억파워의 전사들
(1992)
극한 배틀!! 3대 초사이어인
(1992)
11기 (Z 8기) 12기 (Z 9기) 13기 (Z 10기) 14기 (Z 11기) 15기 (Z 12기)
불타올라라!! 열전·열전·초격전
(1993)
은하가 아슬아슬!! 압도적으로 강한 녀석
(1993)
위험한 두 사람! 초전사는 잠들지 않는다
(1994)
초전사 격파!! 승리하는 건 나다
(1994)
부활의 퓨전!! 오공과 베지터
(1995)
16기 (Z 13기) 17기
용권폭발!! 오공이 안 하면 누가 하랴
(1995)
최강으로 가는 길
(1996)
신극장판
1기 2기 3기 4기
드래곤볼 Z: 신들의 전쟁
(2013)
드래곤볼 Z: 부활의 'F'
(2015)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
(2018)
드래곤볼 슈퍼: 슈퍼 히어로
(2022)
}}}}}}}}}

부활의 퓨전!! 오공과 베지터 (1995)
Dragon Ball Z: Fusion Reborn
ドラゴンボールZ 復活のフュージョン!!悟空とベジータ
파일:external/jboximg.gurumd.co.kr/2130.jpg
드래곤볼 구극장판
초전사 격파!! 승리하는 건 나다 부활의 퓨전!! 오공과 베지터 용권폭발!! 오공이 안 하면 누가 하랴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1f2023> 장르 애니메이션,모험,액션
원작 토리야마 아키라
감독 야마우치 시게야스
각본 코야마 타카오
작화 감독 야마무로 타다요시
음악 키쿠치 슌스케
주제가 최강의 퓨전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토에이 동화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5년 3월 4일
상영 시간 52분
1. 개요2. 줄거리3. 특징4. 원작과의 비교5. 등장인물
5.1. 주조연5.2. 그 외
6. OST
6.1. 최강의 퓨전

[clearfix]

1. 개요

드래곤볼 Z 극장판의 열두 번째 작품.

한국에서는 투니버스에서 《퓨전의 부활!! 손오공과 베지터》, 대원방송에서 《부활의 퓨전!! 손오공과 베지터!》라는 타이틀로 더빙 방영했다.

2. 줄거리

지옥행 영혼의 악한 기운을 정화하는 정화통을 관리하는 붉은 오니[1]가 음악에 심취해서 딴청피우다가 정화통의 교체를 잊어먹는 바람에 터져나온 정화통 속의 사악한 기운들을 뒤집어쓰고 쟈넨바라는 괴물이 되었다. 그 결과, 망자들은 물론 예전에 죽은 악당들이 전부 되살아나서 지구를 공격하는데...

3. 특징

  • 부활한 악당들 가운데 베지터에게 죽음을 당한 큐이, 자봉, 리쿰, 바터, 지스 외에도 갈릭 주니어, 타레스, Dr. 위로, 쿠우라, 슬러그의 부하들 및 보자크 본인을 포함한 일당도 보였고. 프리 포스터 한정으로는 슬러그와 쿠우라도 묘사되어[2]있는 것을 보면 역대 극장판의 연장선의 패럴렐이라고 보는게 좋을 지도. 참고로 프리저 뒤에서 적들이 떼거지로 튀어나올때 왼쪽을 잘 살펴보면 파라가스가 있다. 이 때 악당들이 되살아기 시작했을때, 베지터 역시도 육체가 되돌아와 부활해서 오공에게 "카카로트, 어째서 내 육체가 돌아온 것이냐?"라고 묻기도 했다.[3]
  • 드래곤볼 극장판 중 최초로 CG가 사용되었다고 하는데 딱히 대단하게 쓰인 건 아니었다.
  • 프리저는 다시 나와서 애들 데리고 깽판치는데 통상 상태의 손오반에게 한방에 쓰러진다.[4]
  • 처음 퓨전을 시도했을 때 손오공은 정상적으로 했으나 베지터의 실수로[5] 퓨전 실패로 30분동안 열심히 피하느라 바빴다. 그리고는 베지터는 '무슨 퓨전이 이러냐'라고 따졌다. 퓨전이 실패하자 남쪽 계왕은 '저건 오지터가 아니라 베공이구만'라고 비꼬며 놀렸다. 일종의 개그로 보면 될 것이다. 퓨전 실패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면 베공 항목을 참고할것.
  • 전체적으로 지상편과 저승편 파트를 나눠 번갈아 보여주는데, 극장판 자체가 어린이 타겟층을 겨냥해서인지 드래곤볼 극장판 중 꽤나 재밌고 노골적인 개그코드가 많이 들어가 있다. 지상편의 연출은 외곽선이 진하고 폭발이 닥터 슬럼프와 비슷한 애들용 코믹한 느낌의 연출이 대놓고 의도되었다. 죽은 자가 부활할 때 드라큘라가 말뚝이 박힌 채 걸어다닌다던지, 이름만 로미오인 노인이 저승에서 부활한 줄리엣과 재회한다던지...[6] 아돌프 히틀러 닮은 사람이 부활해서 헤처6호 전차 티거 부대로 깽판치다 손오천트랭크스의 초사이어인 변신을 보고 염색까지 하다니 불량하군 이라고 한다던지...
  • 참고로 오지터로 변할 당시, 손오천트랭크스는 지상에 있음에도 저승에 있는 자기 아빠들의 기를 느끼고 자기들도 퓨전하지만, 이상하게도 손오반은 작중 끝까지 자기 아버지나 베지터의 기운을 전혀 느끼지 못한 낌새를 보이는데 뭔가 이상한 부분.
  • 신룡이 결국 소원을 이뤄주지 못했고, 그 이후 아무도 다른 소원을 빌지도 않아서 엔딩까지 그대로 남아 땀을 흘리면서 무슨 소원을 말할지 아직도 못 정했냐며 뻘쭘해 하고 있었다. 신들의 전쟁비루스 조우씬과 더불어 몇 안되는 신룡의 개그씬.
  • 1년 뒤에 한국에서 개봉한 붉은매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포스터가 상단에 있는 본편의 메인 포스터를 표절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www.etorrent.co.kr/d8ead29323e4e71365f1106a327959f4_rNlzS37uEXRL.jpg
  • 2018년 일본에 발매된 블루레이에는 41분대에서 퓨전에 실패한 베공법규를 날리는 장면이 수정되었다. 문제는 아무런 고지가 없이 수정된 데다 패키지에는 원작을 존중해 그대로 넣었다고 서술해서 논란이 되었다. 전작트랭크스의 법규가 수정된 적이 있었다.
  • PSP 드래곤볼 시리즈 중 하나인 드래곤볼Z 진무도회가 이 극장판을 토대로 어레인지하며 스토리를 만들었다. 부우편 이후 원작 기반에 구극장판 요소까지 두루두루 넣은 것이 특징이다. 그 덕에 프리저 앞에서 손오반이 그레이트 사이어맨 포즈를 하며 프리저를 벙찌게 만드는 개그 씬이 등장한다. 그 외에도 최종형태 쿠우라가 얼티밋 오반 상대로 손도 못 쓰고 맞기만 하며[7] 전투력 격차를 보여주는 장면, 카카로트를 찾아헤매는 브로리, 손오반과 비델의 커플행각, 원기옥을 받아들이며 간지를 발산하는 베지터 등 여러가지 장면이 준비되어 있다.
  • 초기 기획안에 따르면 전편의 최종 보스인 바이오 브로리와 오리지널 브로리가 융합한 지옥 브로리가 오지터와 싸운다는 시나리오였으나, 브로리만 너무 울궈먹는다는 이유로 기각되고, 메인 빌런은 쟈넨바로 변경되었다는 소문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는 사실무근의 루머로, 구극장판 시리즈의 각본가인 코야마 타카오가 직접 이를 부정했다. 다만, 브로리 VS 오지터의 구도는 이후 USJ 어트랙션의 브로리 갓이나, 이름만 같은 남이지만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에서 성사되었다. 또한 오지터가 등장하는 게임판인 PS2 드래곤볼Z3와 스파킹 메테오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오지터와 브로리가 격돌하는 모습이 등장한다.
  • 액션 전문 감독 야마우치 시게야스 감독 작품 중에서도 액션 면에서 가장 뛰어나단 평을 받는다. 2018년 드래곤볼 극장판 인기투표에서 1위를 하기도 했다. #

4. 원작과의 비교

  • 시기상으로 드래곤볼 대전집 6권에는 마인부우와의 싸움 중의 시간으로 되어있다. 하지만 원작 기준으로 봤을 때,
    1. 우선 베지터가 죽어있는 상태[8], 그리고 초사이어인3의 오공이 저승에 있는 상태[9]를 봤을 때 오천과 트랭크스는 퓨전하여 한창 정신과 시간의 방에서 슈퍼부우와 전투를 치르고 있을 때이기 때문에 확실한 패러렐. 한가하게 둘이 소풍 나와서 드래곤볼이나 찾고 있을 틈 따윈 없었다.
    2. 거기다 오반과 비델이 지상에서 여유롭게 히어로 활동을 하고 있는데, 오반은 슈퍼 부우에게 패배해 사망상태로 오인받고 계왕신계에, 비델은 피콜로를 따라 신계에 가 있을 시점이라 상황이 맞질 않는다.
    3. 또 손오공은 작중에 초사이어인3로 변신하고는 '나를 이렇게 만든 건 마인부우 다음으로 니가 처음이다.'라고 말한다. 원작 시간대에 끼워 맞추자면 1에 나온 대로 꼬마들에게 퓨전을 전수하고 저승으로 복귀했을 즈음인데, 손오공은 저승으로 돌아오자마자 바로 오반의 위치를 수소문 해 계왕신계로 갔을 상황이다.
    패러렐 세계관이니 굳이 맞춰보자면, 손오공이 초사이어인3 상태에서 마인부우를 없앴거나 퓨전이 완성되어 오천크스가 초사이어인3를 수행할 필요도 없이 마인부우를 없앤 후의 시기라고 보면 얼추 맞을 수는 있다.
    4. 원작에서 마인부우를 쓰러뜨리기 위해 천사고리를 달고 지상으로 복귀한 베지터는 오공이 퓨전 이야기를 했을때 이미 오공이 오천크스를 트레이닝 하기 위해 피콜로와 시범을 보여주는것을 보았기 때문에 민망한 포즈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오공이 오천이와 트랭크스에게 퓨전을 전수한 후의 시기라면 퓨전에 대해 처음 듣는다는 베지터의 반응은 역시 원작과 맞지 않는다. 다만 이 극장판의 베지터는 염라대왕이 냅다 정화하려 했기 때문에 육체도 없는 채로 그걸 보지 못했을 수도 있다.
  • 이 극장판의 악역인 쟈넨바는 설정상 극장판 악당들 중 가장 강하다고 한다.[10] 쟈넨바는 초사이어인 3 손오공을 떡발랐고, 힐데건은 초사이어인 3 손오공에게 패배했기 때문에 쟈넨바의 순위가 더 높다고 한다.

5. 등장인물

5.1. 주조연

5.2. 그 외

6. OST

6.1. 최강의 퓨전


엔딩 크레딧에서 올라온 본작의 주제가. 가수는 카게야마 히로노부.

가사
ドラゴンボール
드래곤볼

ドラゴンボール
드래곤볼

戦いの歴史を変えろ! 最強のフュージョン
싸움의 역사를 바꿔라! 최강의 퓨전



Yes! 魂の底に Yes! 鎮めてた炎
Yes! 영혼의 밑바닥에 Yes! 진정시킨 불꽃

静けさを引き裂いて
고요함을 깨뜨리고

揺り起こすのはどいつだ?
흔들어 깨우는 것은 누구냐?



Yes! 時が流れても Yes! 夢があふれても
Yes! 시간이 흘러도 Yes! 꿈이 흘러넘쳐도

悲しみがあるかぎり
슬픔이 있는 한

また俺達の出番さ
또 우리가 나설 차례지



強敵に出逢うほど
강적을 만날수록

ヒーローは強くなる
히어로는 강해지지



(いくぜ!)覚悟してろよ
(가자!) 각오해 둬

(今だ!)愛を叫べば
(지금이다!) 사랑을 외치면

嵐が吹く!
폭풍이 몰아친다!



ドラゴンボール(俺は太陽)
드래곤볼 (나는 태양)

ドラゴンボール(おまえは月)
드래곤볼 (너는 달)

溶けあえば奇蹟のパワー
서로 녹아들면 기적의 파워




ドラゴンボール(指をあわせ)
드래곤볼 (손가락을 맞대고)

ドラゴンボール(心重ね)
드래곤볼 (마음을 겹쳐라)

戦いの歴史を変えろ! 最強のフュージョン
싸움의 역사를 바꿔라! 최강의 퓨전






Yes! 嫌いあいながら Yes! 認めあいながら
Yes! 서로 싫어하면서 Yes! 서로 인정하면서

俺達の友情は
우리들의 우정은

熱い[ruby(閃光, ruby=ひかり)]に変わった
뜨거운 [ruby(섬광, ruby=빛)]으로 변했지



Yes! サイヤの力に Yes! 夢が宿る時
Yes! 사이어의 힘에 Yes! 꿈이 깃들 때

誰もまだ信じない
누구도 아직 믿지 않는

凄い戦士になるのさ
굉장한 전사가 되는 거지



ゴジータの名を呼べば
오지터의 이름을 부르면

伝説の始まりさ
전설이 시작되지



(急げ!) 容赦しないぜ
(서둘러!) 용서 안 한다

(唸れ!) 神秘のエナジー
(신음해라!) 신비의 에너지

悪を砕け!
악을 부숴버려!



ドラゴンボール(怒りを抱き)
드래곤볼 (분노를 안고)

ドラゴンボール(痛みを知り)
드래곤볼 (아픔을 알고)

胸に咲く優しさの薔薇
가슴에 피는 상냥함의 장미



ドラゴンボール(限りのない)
드래곤볼 (한계 없는)

ドラゴンボール(そのパワーに)
드래곤볼 (그 파워에)

神々も驚くだろう! 復活のフュージョン
신들도 놀라겠지! 부활의 퓨전



ドラゴンボール(俺は太陽)
드래곤볼 (나는 태양)

ドラゴンボール(おまえは月)
드래곤볼 (너는 달)

溶けあえば奇蹟のパワー
서로 녹아들면 기적의 파워



ドラゴンボール(指をあわせ)
드래곤볼 (손가락을 맞대고)

ドラゴンボール(心重ね)
드래곤볼 (마음을 겹쳐라)

戦いの歴史を変えろ! 最強のフュージョン
싸움의 역사를 바꿔라! 최강의 퓨전



본작 개봉 후 약 20년 뒤 출시된 게임 드래곤볼 스파킹! 제로 PV 합체전사편에서 사용됐다.


[1] 극장판에서 소개된 이름은 사이키 귀신[2] 각각 오른쪽, 왼쪽의 거의 센터급으로 배치되어있는 쿠우라, 프리저를 포함한 거의 모든 악당들은 나오지않는다.[3] 악인의 영혼은 정화되기 때문에 육체가 없다는 설정. 베지터는 악인이었지만 원작에서는 선해지고 있고, 마인부우를 대비한 전력으로서 염라대왕이 특별 케이스로 육체를 만들고 비장의 수로 아껴두고 있다. 일종의 융통성을 발휘한 셈. 하지만 극장판에서는 육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4] 드래곤볼 극장판은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지 않은 모습을 절대로 극장판에서 선행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얼티밋 상태는 아니다. 얼티밋 오반이 애니메이션에 나온것은 1995년 4월 26일으로 이는 부활의 퓨전 개봉시기보다 약 2달 느리며 영상을 보면 잘 알겠지만 얼티밋 오반의 눈매는 초사이어인같은 각잡힌 형태인데 프리저를 잡을 때에는 평소의 그 둥글둥글한 눈매였다.[5] 오공은 검지손가락을 내밀고 베지터는 주먹을 쥐었다.[6] 로미오와 줄리엣을 보면 알겠지만 로미오와 줄리엣 둘 다 자살하는 결말이였는데, 여기서는 모종의 이유로 로미오만 살은 거 같다.[7] 쿠우라는 셀편, 얼티밋 오반은 부우편 등장인물이다. 게다가 얼티밋 오반은 부우편 기준 단일개체 최강자다 보니 쿠우라는 상대가 되지 못하는 것.[8] 즉 자폭으로 뚱보 마인부우를 가루로 만들어버린 후의 시간대.[9] 오천, 트랭크스에게 퓨전을 전수하고 저승으로 돌아온 후.[10] 지금은 폐쇄됐지만 극장판 홈페이지에 극장판 악당 순위를 1위 쟈넨바 2위 힐데건 3위 브로리라고 올려놓은 게시글이 있었다. 물론 드래곤볼 신극장판은 제외.[11] 성우는 브로리와 동일한 시마다 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