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0:36:24

1132번 지방도

일주동로에서 넘어옴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지방도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일반 지방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939499> 순환 <colcolor=#000,#e5e5e5> 1132 일주도로 · 1136 중산간도로
제주 1112 비자림로 · 1117 제1산록로
서귀포 1119 서성로
남북 1115 제2산록도로 · 1116 한창로 · 1120 대한로 · 1121 제안로 · 1122 제성로 · 1131 5.16도로 · 1135 평화로 · 1139 1100도로
추자 1114 추자로 }}}}}}}}}
국지도 | 지방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1. 개요2. 특징

1. 개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지방도 중 하나. 제주 제1우회도로라고도 한다.

원래는 12번 국도였으나, 제주도가 제주특별자치도로 바뀌면서 제주도에 있던 모든 국도가 지방도로 강등[1]되어 1132번 지방도로 바뀌었다. 한때 국도로 다시 환원하자는 주장도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이후 이 도로가 아닌 새만금 동서도로가 12번 국도로 지정되어 2020년 11월 25일 정오부터 차량 통행이 허용되었다. #

2. 특징

제주일주도로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말 그대로 제주도의 해안 지역을 4차선 도로로 한 바퀴 빙 둘러 지나간다. 도로명주소 체계에서는 제주시내동 구간(동광로-서광로-도령로 일부)[2]과 조천읍 신촌진드르교차로-구좌읍 동남교차로 구간[3]을 제외한 구간을 일주동로와 일주서로로 나눠서 부르고 있다.[4] 따라서 제주도의 해안 경치를 즐기는 지방도 여행을 하고 싶다면 이 길을 이용하자. 제주도의 읍면 소재지를 많이 지나가는데, 제주도의 지리적 특성상 현무암 지대에 흡수된 물이 해안가 지역에서 솟아나오는지라, 큰 마을들은 대부분 해안가에 조성되어 왔기 때문. 일주도로 시내버스올레꾼들의 영원한(?) 친구다. 이 도로는 구제주를 남북으로 가르듯이 제대로 관통하므로 정체가 자주 일어난다. 또한, 공항로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주국제공항에서 쏟아져 나오는 렌터카들로 인해 도령로 구간 역시 제대로 막힌다.

시내 구간을 벗어나 시외 구간으로 진입하면 중간에 여러 번 나오는 어린이보호구역 때문에 제한속도가 70 또는 60 km/h → 50 km/h → 30 km/h(어린이보호구역) → 50 km/h → 70 km/h 또는 60 km/h로 바뀌는 패턴이 반복되기 때문에 표지판을 잘보고 운전하는 게 좋다.

[1]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412조 제5항[2] 동광로-서광로의 기준은 광양사거리다. 동광로와 일주동로는 국립제주박물관교차로를 기준으로 나뉘며, 서광로와 일주서로는 일주서로(신광사거리)-도령로-서광로(신제주입구교차로)로 나누어진다. 개편 전에는 제주시 구간은 연도로(연동~하귀)-도령로 일부-서광로-동광로-삼사석로(국립제주박물관~삼양검문소) 이렇게 나누었다.[3] 이 구간은 일주동로 대신 조천우회로가 1132번 지방도로 새로 지정되었다.[4] 일주동로와 일주서로의 기준은 서귀포시 대륜동에 있는 서귀포버스터미널/제주월드컵경기장 앞 삼거리에서 나누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