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21:01:50

이매고등학교

이매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성남시 CI_White.svg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계원예술고등학교 낙생고등학교 늘푸른고등학교 돌마고등학교 보평고등학교
분당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분당대진고등학교 분당아람고등학교 분당영덕여자고등학교
분당중앙고등학교 불곡고등학교 서현고등학교 성남외국어고등학교 송림고등학교
수내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운중고등학교 이매고등학교
이우고등학교 태원고등학교 판교고등학교 한솔고등학교
푸른색 바탕은 남자고등학교, 붉은색 바탕은 여자고등학교. 흰색 바탕은 남녀공학.
⊙: 자율형사립·공립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이매고등학교
二梅高等學校
Imae High School
파일:이매고등학교_로고.png
<colbgcolor=#34358D> 개교 1993년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남녀공학
운영 형태 공립
교장 전현옥
교감 김영아
교훈 이상, 성실, 창조
교표 파일:이매고등학교_교표.png
교목 느티나무
교화 매화
학생 수 793명[기준]
교직원 수 72명[기준]
관할 교육청 경기도교육청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탄천로 1 (이매동)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학교알리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역사
3.1. 학교 연혁
4. 학교 상징
4.1. 교명4.2. 교육목표 및 교훈4.3. 교표4.4. 교목4.5. 교화4.6. 교가4.7. 교복
4.7.1. 복장4.7.2. 넥타이 및 명찰
5. 학교 특징6. 학교 시설
6.1. 본관
6.1.1. 1층6.1.2. 2층6.1.3. 3층6.1.4. 4층
6.2. 청운관
6.2.1. 1층6.2.2. 2층6.2.3. 3층6.2.4. 4층
6.3. 운동장6.4. 과학실6.5. 컴퓨터실6.6. 학습실
7. 학교 생활
7.1. 주요 행사7.2. 일과7.3.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노선8.2. 철도
9. 출신 인물
9.1. 가수9.2. 배우9.3. 기타
10. 사건·사고11. 기타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2. 특징


3. 역사

3.1. 학교 연혁

졸업식을 추가할 시 각주의 누계는 가장 최근학년도만 입력해주세요.
  • 2020년대{{{#!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23.12.29 제 30회 졸업식(241명)[3]
      2023.01.05 제 29회 졸업식(263명)
      2022.01.10 제 28회 졸업식(269명)
      2021.09.01 10대 전현옥 공모교장 취임
      2021.01.12 제 27회 졸업식(246명)
      2020.01.03 제 26회 졸업식(286명)
}}}
  • 2010년대{{{#!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19.01.04 제25회 졸업식(329명)
      2018.01.05 제24회 졸업식(363명)
      2017.09.01 9대 송광래 공모교장 취임
      2017.02.03 제 23회 졸업식(361명)
      2016.02.02 제 22회 졸업식(351명)
      2015.02.09 제 21회 졸업식(380명)
      2014.03.02 제 20회 졸업식(444명)
      2013.09.01 8대 이민식 공모교장 취임
      2013.02.07 제 19회 졸업식(390명)
      2012.02.09 제 18회 졸업식(476명)
      2011.02.10 제 17회 졸업식(446명)
      2010.02.10 제 16회 졸업식(430명)

    }}}
  • 2000년대{{{#!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09.02.11 제 15회 졸업식(474명)
      2008.02.11 제 14회 졸업식(433명)
      2007.09.01 7대 최원용 교장 취임
      2007.02.09 제 13회 졸업식(453명)
      2006.09.01 6대 이상원 교장 취임
      2006.02.09 제 12회 졸업식(451명)
      2005.11.03 38학급 학칙 변경 인가
      2005.02.04 제11회 졸업식(449명)
      2004.09.01 39학급 학칙 변경 인가
      2004.02.12 급식업체 변경(태자케이더링)
      2004.02.12 제 10회 졸업식(446명)
      2003.07.08 옥상 방수 공사 교육청 시행
      2003.02.08 제 9회 졸업식(435명)
      2002.10.01 음악실 방음 공사
      2002.09.01 5대 이종길 교장 취임
      2002.08.31 한두희 교장 정년퇴임
      2002.04.12 교실 증축(서편7.20공사업) 교육청 시행
      2002.02.04 제 8회 졸업식(479명)
      2002.01.25 학생용 컴퓨터실 설치
      2002.01.23 교실 증축(동편 7차 교육과정) 교육청 시행
      2001.09.14 41학급 학칙 변경 인가
      2001.08.21 교실 조도 개선 사업
      2001.02.10 제 7회 졸업식(630명) 남:255명 여:375명
      2000.08.17 스텐드 차광막 공사
      2000.03.01 학교 급식 실시(삼일푸드)
      2000.02.11 제6회 졸업식(541명) 남:273명 여:268명
}}}
  • 1990년대{{{#!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999.11.24 체육관 증축(청운관) 교육청 시행
      1999.10.20 특별교실 증축(청운관) 교육청 시행
      1999.09.01 4대 한두희 교장 취임
      1999.08.31 3대 김영하 교장 정년퇴임
      1999.02.10 제 5회 졸업식(546명) 남:249명 여:297명
      1998.03.01 3대 김영하 교장 취임
      1998.02.10 제 4회 졸업식(538명) 남:270명 여:268명
      1997.03.24 자매결연 체결 (주)LAKE SIDE C,C
      1997.03.24 골프부 창단
      1997.02.11 제 3회 졸업식(467명) 남:229명 여:238명
      1996.12.31 체육창고 및 구령대 준공 (지하 1층 지상1층 85㎥)
      1996.03.29 하키부 창단
      1996.02.15 제 2회 졸업식(506명) 남:229명 여:238명
      1995.06.17 2대 김진찬 교장 취임
      1995.02.14 제 1회 졸업식(138명) 남:225명 여:251명
      1993.10.02 개교기념행사 (이매제)
      1993.03.01 초대 조영욱 교장 취임
      1993.03.01 이매고등학교 개교
      1993.01.28 '보통과 10학급씩'30학급 학칙 변경인가
      1992.10.08 24학급설립인가 (경기도조례 제 2217호)
}}}

4. 학교 상징

4.1. 교명

이매고등학교
二梅高等學校
두개의 매화
한자로는 두 이(二)와 매화나무 매(梅)자를 사용하며 학교가 위치한 이매동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이매동이라는 지명의 어원은 과거 분당신도시 개발 전 마을 앞 들의 이름이 이무슬들이라 하여 이곳의 지세가 매화꽃이 떨어지는 형국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약 200년 전 순홍 안씨가 입주하여 마을을 이루어 임의술이라 부르다가 1915년 부터 이매동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4.2. 교육목표 및 교훈

교훈
<colbgcolor=#34358D> 이상 성실 창조
理想 誠實 創造
  • 비전 : 존중과 도전으로 꿈을 실현하는 행복한 학교
  • 교육목표 : 미래역량을 키우며 더불어 행복한 二梅人 육성
  • 교육공동체 요구상

    • 학생상 : 꿈을 향해 도전하는 학생
      교사상 : 학생을 사랑하며 전문성을 함양하는 교사
      학부모 : 참여와 소통으로 신뢰하는 학부모

4.3. 교표

교표
파일:이매고등학교_교표.png
모양 : 모든것을 알고 준비하는 정신
색깔 : 파랑(희망·진실·총명)
본교(매화)를 중심으로 모든 어려움을 이기고 목표를 성실히 이행한다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4.4. 교목

교목
느티나무
파일:이매고_교목.png
상징 : 포용·장수·우람
영원무궁토록 번성하고 장수하며 남을 포용하고 서로 협동하며 봉사하는 이매인의 삶을 기르기 위함입니다.

4.5. 교화

교화
매화
파일:이매고_교화.jpg
상징 : 절개·지조
어려움을 이겨내며 이상을 꽃피우는 이매인을 기르기 위함입니다.

4.6. 교가

1.
남한산 정기 받은 거룩한 터전
희망찬 가슴마다 고운 꿈 품고
힘차게 전진하는 우리의 정열
뭉치자 대한기둥 이매의 건아

4.7. 교복

4.7.1. 복장

  • 동복 / 춘추복 : 바지(치마), 셔츠, 조끼, 넥타이, 자켓(혹은 후드집업)이 하나의 구성이며, 자켓(혹은 후드집업)을 착용하지 않으면 춘추복으로 인정한다.

    • 디자인은 네이비색의 바지와 조끼이고, 셔츠는 남학생은 하늘색 바탕에 흰색 세로줄이 있으며, 여학생은 흰색 일반 셔츠이다. 자켓은 회색이고, 후드집업은 네이비색이다.
  • 하복 : 바지(치마), 반팔셔츠가 하나의 구성이다. 공식적으로 존재하지만, 대부분 생활복을 입고 하복을 입는 여학생도 존재하지만 남학생은 거의 입지 않는다.

    • 디자인은 남학생은 청색에 흰색의 세로줄이 넓은간격으로 배치된 디자인이고, 여학생은 흰색 셔츠에 흑색으로 끝부분 포인트가 있다.
  • 생활복 : 바지, 반팔 카라 티셔츠가 한 세 세트이고, 상의와 하의 모두 남색이다.
  • 체육복 : 여름에는 생활복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동복 체육복은 네이비색 상의 자켓과 바지로 구성된다.
  • 치마 : 동복/춘추복용 치마는 회색이고, 하계용 치마는 남색이다.
  • 허용범위 : 동복/춘추복의 경우 바지를 허리띠 고리가 있으며, 통이 넓지 않고, 교복 바지와 유사한 디자인의 색상이 교복보다 진하거나 같은 사복 바지를 허용한다. (흑색 슬랙스 등)

4.7.2. 넥타이 및 명찰

학년 넥타이 색상 명찰 색상
이매고}}} ||
이매고}}} ||
이매고}}} ||
2024학년도 기준

5. 학교 특징

  • 보평중, 이매중, 매송중, 신백현중이 전체 입학생의 70%를 차지한다. 특히 매송중이매중이 가장 많고 서현중, 송림중,보평중도 많은편이다.
  • 학교 위치가 강가(탄천)이기에 겨울이 되면 약간 추운 느낌이다. 여름에는 정말로 에어컨이 자주 가동되기 때문에 쾌적하게 보낼 수 있다.
  • 아주 예전에 있던 건물 옆에 새로 생긴 부분의 교실의 경우, 겨울에 무지 춥고 여름에 무지 덥다. 이 교실은 대부분 자연계열 반이다. 1층 화단 쪽 교실의 경우 벌레가 엄청나게 많이 나오며 2016년에는 쥐가 나왔다고 한다. 창문 아래 걸려있는 대걸레 안쪽에 벌레가 많이 서식한다.
  • 청운관(별관)앞쪽에 큰 벚꽃나무가 있는데 이 아래에서 사진을 찍으면 재수한다는 소문이 있어 재수나무라고 불린다.[4] 봄의 탄천도 사진찍기 좋은 편으로 굉장히 예쁘다.
  • 단축수업을 안하는 학교로 유명하다
  • 디딤돌이라는 제도가 있다. 교사마다 케바케여서 불공평하다는 소리가 많이 나온다.

6. 학교 시설

6.1. 본관

  • 교무실, 학급 교실이 대부분이고, 일부의 교과특별실이 위치해 있다.
  • 학생들은 몇반쪽으로 부르지만 학교 안내방송 등의 공지에서는 서편, 동편으로 부른다. (앞반쪽이 동편이고, 뒷반쪽이 동편이다.)

6.1.1. 1층

  • 서편 계단 이후에 있는 서편은 학생 출입 금지 구역이다.
  • 1-1, 1-2 학급이 있다. (동편 출입구쪽에 있어 찾기 어려울 수 있다.)
  • 서편 뒤쪽 출입구쪽에 매점이 있다.
  • 동편 뒤쪽 출입구(교문에서 가장 가까움)는 폐쇠되어있고, 거의 개방하지 않는다.
  • 보건실이 있다.
  • 진로 교과실이 있다.

6.1.2. 2층

  • 주로 1학년이 사용한다.
  • 서편 가장 안쪽에 어학실이 있다. (수업 목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간혹 상담실로 이용되곤 한다.
  • 대회의실이 있다. (간혹 1학년 자습실로 이용된다.)
  • 교무실이 있다.
  • 1학년 학급이 있다. (1반, 2반 예외)

6.1.3. 3층

  • 주로 2학년이 사용한다.
  • 서편 가장 안쪽에 컴퓨터실이 있다. (2개)

6.1.4. 4층

  • 주로 3학년이 사용한다.
  • 3학년이 사용하는 자기주도 학습실이 있다.

6.2. 청운관

  • 대부분의 교과특별실이 있다.
  • 승강기가 없다. 덕분에 다리를 다치면 이동수업하기 힘들다.

6.2.1. 1층

  • 서편 출입구를 이용하면 지하처럼 내려가야 한다.
  • 급식실이 있다.

6.2.2. 2층

  • 하키부 숙소가 있다. (일반 학생들의 접근이 어려운 곳에 있음.)
  • 도서관, 음악실, 가사실이 있다.

6.2.3. 3층

  • 과학실(물리지학실, 화학실, 생물실[5])이 있다.
  • 미술실이 있다.
  • 체력단련실이 있다. (일반 학생들 이용 불가)
  • 교무실이 있다.

6.2.4. 4층

  • 강당이 있다.

6.3. 운동장

  • 육각형 모양으로 모양이 독특하다.[6]
    파일:이매고_운동장.png
  • 주변 학교에 비해 상당히 넓은 운동장이다.
  • 운동장 모래 상태가 좋지 않아 비가 오면 진흙탕이 된다.
  • 운동장 테두리를 청운관 이동 통로로 이용한다.
  •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에는 운동장에서 모래폭풍을 관측할 수 있다.
  • 1990년대에는 주변 다른 학교와 달리 운동장 가운데에 잔디가 깔려 있었다. 그 시절 답게 당연히 잔디에는 출입불가.

6.4. 과학실

  • 과학실(화학실) - 약품을 정리하다 보면 개교 이후로 새로 사지 않은 오래된 약품들이 많다.
  • 과학실(물리-지학실) - 창문으로 옥상으로 나갈 수 있으나 걸리면 혼난다. 옥상에서 생물실로도 들어갈 수 있다. 근데 요즘은 철저히 봉쇄되어 있어 화재나 폭동이 일어나지 않는 한 발을 들일 수 없다.
  • 과학실(생물실)
    아직 해당 설명이 올라오지 않았다.

6.5. 컴퓨터실

  • 정보실로도 불리며, 본관 3층 서편 가장 안쪽에 위치한다[7]. 제 1 컴퓨터실과 제 2 컴퓨터실이 있다.

6.6. 학습실

  • 과거에는 전학년에 있었으나, 현재는 3학년만 운영한다. (2학년은 선택교과실, 1학년은 대회의실 사용)

7. 학교 생활

  • 디딤돌 제도가 있다. 반성문과 같으며 4회 부여받을 경우 학생생활교육위원회에 회부되어 징계를 받는다.

7.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8]

"이매제" : 2학기에 동아리발표제와 운동회를 섞어 한다. 2년에 한번꼴로 축제를 한다.(운동회와 동아리발표제는 매년 함.)

7.2. 일과

이매고등학교 시정표
교시 시간
아침자율학습 (미라클모닝) 07:55 ~ 08:35
등교시간 8시 50분
조례 08:50 ~ 09:00
1교시 09:00 ~ 09:50
2교시 10:00 ~ 10:50
3교시 11:00 ~ 11:50
점심시간 11:50 ~ 12:50[9]
4교시 12:50 ~ 13:40
5교시 13:50 ~ 14:40
6교시 14:50 ~ 15:40[10]
7교시 15:00 ~ 16:50

7.3.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이매역, 성남역과 버스정류장이 있다.[15]

8.1. 버스 노선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성남역.이매고교.아름마을.효성선경아파트(07303·07159) ||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경기도 시내버스 (일반)
경기도 마을버스
서울시 간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성남역(07082) ||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경기도 시내버스 (일반) [광주]
경기도 시내버스 (일반) [성남]
서울시 간선버스


8.2. 철도

성남역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경강선
(K410)
GTX-A
(X109)

이매역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경강선
(K411)
청량리 방면
야 탑
← 1.7 ㎞
수인·분당선
(K227)
인천 방면
서 현
1.4 ㎞ →
서현역
파일:SBLine_icon.svg
청량리 방면
이 매
← 1.4 ㎞
수인·분당선
(K228)
인천 방면
수 내
1.1 ㎞ →

9.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1. 가수

9.2. 배우

9.3. 기타

10. 사건·사고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11. 기타

  • 서현역, 이매동, 판교역(현대백화점 판교점)[21]이 차로 10분 거리에 있다.(걸어서는 20분)
  • 광주시도촌동 등지의 학생들은 눈이나 비가 오면 지각할 확률이 높다.
  • 2017년 12월 18일에는 폭설로 인해 광주의 교통이 마비되어 시험시간이 30분 미뤄지는 해프닝도 발생하였다.[22]
  • 학교에서 휴대폰을 걷지 않는다. 그치만 사용하면 디딤돌을 준다.
  • 2000년에 이 학교에서 김보석 학생이 도전 골든벨에 출연, 14대 골든벨을 울렸다.
  • 매점을 운영하고 있다.


[기준] 2024년 3월 2일[기준] 2024년 3월 2일[3] 누계 : 12,208명[4] 그 앞에서 사진찍고 서울대 가신 선배도 있으니 소문은 소문으로만 받아들이자.[5] 과거 개교 당시에는 5차 교육과정이였고, 6차 교육과정부터 생긴 생물Ⅰ과목의 영향으로 생명실이 아닌 생물실로 표시되어있다.[6] 육각형인데는 이유가 있다. 국제규격에 해당되는 축구장과 농구장을 넣기 위해서이다. 실제로 설계도를 보면 가능하다.[7] 2학년 10반 옆[8] 1학기 초반에 이매인의 학교 생활이라는 책자를 나눠주는데 개최행사와 대회 내용이 모두 나와있다.재학생은 그것을 참고하도록 하자.[9] 공식적으로 급식실 이동 시간은 3학년 11:50, 2학년 12:00, 1학년 12:10 이다.[10] 일반적으로 7교시가 있는 날에 6교시~7교시 사이 20분은 청소시간으로 이용된다.[11] 2024학년도 1학기 기준 2과목(고급 수학Ⅰ, 체육 전공 실기 심화)개설[12] 2024학년도 1학기 기준 3과목(생명과학실험 A, 생명과학실험 B, 화학 실험)개설[13] 2024학년도 1학기 기준 3과목(인공지능과 피지컬 컴퓨팅,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개설[14] 거점학교는 해당 권역에서 과목을 개설한 학교이다.[15] 학교 위치가 도로 끝에 있는지라 이매역은 8분, 성남역은 6분거리에 있다. (도보기준)[연장중] 2028년 월곶 방면으로 연장될 예정이다. (현재 공사중)[예정] 2024년 6월 29일 구성역이 개통 예정이다.[연장중] 2028년 월곶 방면으로 연장될 예정이다. (현재 공사중)[19] 성지고등학교로 전학했다.[20] 자퇴하였다고 한다.[21] 판교역은 15~20분거리[22] 30분이 미뤄져도 시험시간에 늦게 온 학생도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