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0:46:53

외교통일위원회

외통위에서 넘어옴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 및 상설특별위원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88em"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교육위원회 과학기술정보
방송통신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국방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농림축산식품
해양수산위원회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정보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겸임 상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는 비상설 특별위원회로서 존속한다.
}}}}}}}}}

파일:외교통일위원회 로고.svg

대한민국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外交統一委員會
Foreign Affairs and Unification Committee
<colbgcolor=#f5f5f5,#2d2f34> 약칭 외통위, 외교위
위원장
간사
파일:zsdkl3gasdg.svg
김영배 (재선, 서울 성북구 갑)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구성 위원 21인/21인, 3개 소위원회
교섭단체
파일:zsdkl3gasdg.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비교섭단체
공식 사이트 외교통일위원회
1. 개요2. 상세3. 소관기관4. 소위원회5. 소속 위원
5.1. 제22대 국회
6. 역대 위원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회상임위원회. 약칭은 외통위이다.

2. 상세

외교통일위원회는 외교부, 통일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에 관한 사항을 담당한다(국회법 제37조 제1항 제7호).

역대 위원장은 원내 제1당이 맡아오는 게 관례였다. 제5대 국회를 제외하고 제헌 국회부터 제16대 국회까지는 보수정당이 원내 제1당이었기에 위원장은 보수정당 출신이 맡았지만, 제17대 국회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 역풍으로 인해 열린우리당이 원내 제1당이 되며 열린우리당 출신이 위원장을 맡았고, 제18대 국회제19대 국회에서는 한나라당, 새누리당이 원내 1당이 되어 다시 한나라당, 새누리당 출신이 위원장을 맡았다. 그러다 제20대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원내 1당이 되며 다시 더불어민주당 출신이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하반기 국회에서는 자유한국당이 다시 위원장을 맡기로 결정함에 따라 원내 1당이 외통위원장이 되는 관례가 깨졌다. 이후 제21대 국회 전반기에서는 다시 원내 제1당인 더불어민주당 출신이 위원장을 맡았으나 후반기에는 국민의힘이 다시 위원장을 맡게 되었다.

다른 상임위에 비해 3선 이상의 당 중진급들이 많이 포진해있다. 제21대 국회를 기준으로 더불어민주당은 6선 박병석, 5선 조정식, 4선 김상희, 우상호, 윤호중, 3선 김경협, 이원욱, 박홍근으로 중진 의원들이 많다. 국민의힘도 5선 정진석, 이상민[1], 4선 이명수, 3선 김태호, 안철수, 하태경처럼 중진 의원들이 포진해 있다. 7선이랑 6선이 대부분 21대 총선에 불출마, 낙선, 낙천으로 현재 외통위의 최다선 의원은 21대 전반기 국회의장을 지낸 6선 박병석이다. 초선이라 할지라도 외부경력 면에서 꽤 잔뼈가 굵은 사람이 외통위에 들어온다.[2] 외교, 통일 문제 등 굵직굵직한 현안들을 많이 다루는 곳인 데다 한창 일할 초선, 재선 의원들에게 지역구 주민 민원 들어주는 데 유리해서 인기가 많은 위원회들인 국토위, 문체위 등을 양보하다 보니 그렇다고 한다.

점점 중진 의원들 위주로 구성되는 추세가 이어지다보니, 제20대 국회 후반기에는 말 그대로 말년병장급 위원회가 되고 말았다. # 보도 기사에도 나타나 있듯이 무려 5선 중진바른미래당 정병국 의원이 간사를 맡는 일도 생겨났다.

3. 소관기관

4. 소위원회

  • 법안심사소위원회(8인, 위원장)
  •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8인, 위원장)
  • 청원심사소위원회(3인, 위원장)

5. 소속 위원

5.1. 제22대 국회

||<-5><tablebordercolor=#580009><bgcolor=#fff,#1c1d1f> 파일:국회휘장.svg 외교통일위원회 ||
구성 의원 소속 정당 선수
위원장
간사 김영배
파일:zsdkl3gasdg.svg
재선
간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위원 윤후덕
파일:zsdkl3gasdg.svg
4선
위원 위성락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이재강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이재명
파일:zsdkl3gasdg.svg
재선
위원 조정식
파일:zsdkl3gasdg.svg
6선
위원 차지호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홍기원
파일:zsdkl3gasdg.svg
재선
위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 역대 위원장

회기 성명 정당 선수
15대 후반 유흥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선
16대 전반 박명환
후반 서정화 5선
17대 전반 임채정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4선
후반 김원웅 3선
18대 전반 박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반 원희룡
남경필 4선
김충환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
19대 전반 안홍준 3선
후반 유기준[3]
나경원
20대 전반 심재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반 강석호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윤상현[4][5]
21대 전반 송영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선
이광재 3선
후반 윤재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태호
22대 전반 공석

[1]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여 국민의힘에 입당했다.[2] 제20대 국회에서는 오랜 외교관 경력이 있는 이수혁, 오랜 당직자 생활을 한 이태규가 외통위에서 활동했으며, 21대 국회에서는 탈북민이자 영국 외교관 출신인 태영호가 외통위에서 활동하고 있다.[3] 해양수산부 장관 임명에 따른 사직.[4] 임기 중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합당.
[5] 임기 중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에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