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6:56:36

올림피아코스 FC

올림피아코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키프로스의 구단에 대한 내용은 올림피아코스 니코시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158bcc, #0e9fdb, #29bfef, #72cef4, #0e9fdb, #00518a)"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373a3c,#dddddd
파일:PAS 라미아 1964 로고.svg
파일:볼로스 FC 로고.svg
파일:아리스 테살로니키 FC 로고.svg
파일: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 로고.svg
파일:AEK 아테네 FC 로고.svg
파일:아트로미토스 FC 로고.svg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파일:PAS 지아니나 FC 로고.svg
파일:OFI 크레타 FC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AE 키피시아 FC 로고.svg
파일:파나티나이코스 FC 로고.svg
파일:파네톨리코스 FC 로고.svg
파일:판세라이코스 FC 로고.svg
파일:PAOK FC 로고.svg
파일:883px-수페르리가_엘라다_로고.svg.png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파일:키프로스 국기.svg A 카티고리아스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수페르리가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프르바 HNL파일:그리스 국기.svg 수페르리가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리갓 하알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르바 리가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리가 I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프르바 리가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프리미어 리그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수페르리가파일:지브롤터 기.svg 풋볼 리그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프르바 CFL
파일:안도라 국기.svg 프리메라 디비지오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올림피아코스 FC
Olympiacos FC
<colbgcolor=#c10e17><colcolor=#fff> 정식 명칭 Ολυμπιακός Σύνδεσμος Φιλάθλων Πειραιώς
올림비아코스 신데스모스 필라틀론 피레오스
피레아스 팬들의 올림피아코스 클럽
별칭 Τhrylos (전설), Erythrolefki (빨강-하양), Kokkini (빨강)
창단 1925년 3월 10일 ([age(1925-03-10)]주년)[1]
소속 리그 수페르리가 엘라다 (Superleague Greece)
연고지 피레아스 (Piraeus)[2]
홈구장 요르요스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Georgios Karaiskakis Stadium)
(33,334명 수용)
라이벌 파나티나이코스 FC - 영원한 적들의 더비
구단주 파일:그리스 국기.svg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Evangelos Marinakis)[3]
회장 지아니스 모랄리스 (Giannis Moralis)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세 루이스 멘딜리바르 (José Luis Mendilibar)
주장 파일:모로코 국기.svg 유세프 엘아라비 (Youssef El-Arabi)
역대 한국인 선수 황인범 (2022~2023)
황의조 (2022~2023)[4]
공식 웹사이트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UEFA 클럽 랭킹 38위
우승 기록
★★★★
수페르리가 엘라다(1부)
(47회 / 최다 우승)
1930-31, 1932-33, 1933-34, 1935-36, 1936-37, 1937-38, 1946-47, 1947-48, 1950-51, 1953-54,
1954-55,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65-66, 1966-67, 1972-73, 1973-74, 1974-75,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6-87,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2001-02, 2002-03,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9-20, 2020-21, 2021-22
그리스컵
(28회 / 최다 우승)
1946-47, 1950-51, 1951-52, 1952-53, 1953-54, 1956-57,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2-63, 1964-65, 1967-68, 1970-71, 1972-73, 1974-75, 1980-81, 1989-90, 1991-92, 1998-99,
2004-05, 2005-06, 2007-08, 2008-09, 2011-12, 2012-13, 2014-15, 2019-20
그리스 슈퍼컵
(4회 / 최다 우승)
1980, 1987, 1992, 2007
UEFA 컨퍼런스 리그
(1회)
2023-24
그레이터 그리스 풋볼컵[5]
(3회 / 최다 우승)
1969, 1972, 1976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즐라트코 자호비치(Zlatko Zahovic)
(1999년, From FC 포르투, 135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다니엘 포덴스(Daniel Podence)
(2020년, To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1960만 €)
올림피아코스 CFP 산하 스포츠 팀
축구 남자 농구 여자 농구
남자 배구 여자 배구 육상
남자 수구 여자 수구 수영
요트 카누 조정
탁구 펜싱 사격
복싱 킥복싱 태권도

1. 개요2. 특징3. 역사
3.1. 2021-22 시즌3.2. 2022-23 시즌3.3. 2023-24 시즌3.4. 2024-25 시즌
4. 유명 선수5. 선수 명단6. 주요 경기7. 기타8.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Chelsea_Olympiakos_CL07-08_00.jpg
2007-08 UEFA 챔피언스 리그 첼시전.

아테네외항 도시인 피레아스(Πειραιάς)를 연고로 하는, 그리스에서 가장 성공한 축구 클럽이자 그리스의 유럽대항전 유일한 우승팀이다. 'Olympiacos'라는 이름은 직역하면 '올림픽의'라는 뜻이다. 1925년에 창단되었으며, 수페르리가 엘라다에 속해 있다. 역사상 단 한 차례도 1부 리그에서 강등되지 않은 몇 안 되는 팀 중 하나이다.

2. 특징

한 마디로 그리스의 FC 바이에른 뮌헨. 세계적인 빅클럽들과 비교해봤을 때 스쿼드나 명성은 B+급 수준이지만, 적어도 그리스에선 올림피아코스와 그 밖의 구단이 있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로 절대적인 인기를 가지고 있다. 그나마 자국 리그에서 가장 라이벌로 알아주는 구단은 아테네의 파나티나이코스 FC가 있다. 파나티나이코스가 1908년에 먼저 창단되었고, 이후 올림피아코스의 강세 속에서도 올림피아코스 다음으로 많은 우승을 기록하면서 무시할 수 없는 2인자이자 라이벌로 자리잡고 있다. 단 2018년경부터는 AEKPAOK가 경쟁력을 갖추고 파나티나이코스가 몰락하면서 양강 체제가 무너진 상황이었다가 2020년대 들어서면서 4파 양상으로 가고 있다.

클럽의 전통적인 상징색은 빨간색과 흰색으로, 창단 이래 이 두 색의 세로 줄무늬 상의를 홈 유니폼으로 채용하고 있다.

피레아스에 있는 게오르기오스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Γήπεδο Γεώργιος Καραϊσκάκης)이 안방 경기장이다(4성급).[6] 올림피아코스 팬들은 홈에서만 열정적인 것이 아니라, 원정 응원에서도 열정을 보여준다.

3. 역사

올림피아코스는 G-14을 대체한 유럽 클럽 협회의 창립 회원이긴 한데 국제 클럽 대회 성적은 그다지 뛰어난 게 없다. 되레 라이벌인 파나티나이코스가 1970-71 시즌 유러피언컵(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진출해 준우승(AFC 아약스에 0:2 패)을 거둔 성과에 밀린다. 역대 챔피언스 리그 최고 성적은 1998-99 시즌에 거둔 8강. 가장 최근에 괜찮은 성적을 낸 것은 2013-14 시즌의 16강이다. 그 밖에도 2007-08 시즌과 2009-10 시즌에 16강을 거두기도 했다.

여담으로 2004-05 시즌 챔피언스리그 조별라운드 최종전 리버풀 원정에서 아직도 회자되는 스티븐 제라드의 극적인 중거리 골의 희생양이 된 바 있다. 종료 직전까지 리버풀에 2:1로 지고 있었지만 홈에서 1:0으로 이긴 상태라 원정다득점으로 챔피언스리그 16강에 진출할 수 있었으나 후반 44분 제라드에게 중거리슛을 허용하면서 다잡은 16강 티켓을 놓치고 UEFA컵으로 내려앉고 말았다. 이 골이 아니었다면 이스탄불의 기적도 없었다.

2015-16 시즌에는 1패만 하고 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2019-20 시즌에는 리그 무패 우승을 달성했다.

3.1. 2021-22 시즌

-유로파 리그 16강 PO 탈락
-리그 우승 (47번쨰 우승)
-그리스 컵 4강 탈락

전 시즌 우승팀 자격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 2021-22 2차예선에 진출했다.[21-22시즌]
UCL 2차예선 상대는 아제르바이잔의 네프트치 PFK. 1차전과 2차전 모두 1-0으로 승리하며 도합 2-0 승리로 3차예선에 진출했다.
UCL 3차예선 상대는 불가이아의 명가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1차전 1-1 무승부, 2차전 2-2 무승부로 승부차기로 이어졌다. 다만 판정에서 다소 논란이 있었으나... 결론은 승부차기에서 1-4로 패배하며 UEFA 유로파 리그/2021-22 시즌 플레이오프로 떨어진다.

UEL PO 상대는 슬로바키아의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차전에서 3-0 대승을 거두고 2차전에서 2-2 무승부를 따내며 도합 5-2 승리로 유로파 리그 본선 진출에는 성공한다! 이후 1포트를 부여받는다.

조 편성에서 D조에 배정되며 분데스리가의 프랑크푸르트, 튀르키예의 페네르바흐체 SK, 벨기에의 로열 앤트워프 FC와 만난다.
죽음의 조. 유럽대항전에서 항상 선전하는 올림피아코스, 분데스리가의 강호 프랑크푸르트, 외질, 구스타부 등 왕년의 스타들이 모인 페네르바흐체가 한 조에 모였으며, 여기에 지난 시즌 토트넘을 꺾는 이변을 연출한 앤트워프까지 끼게 되었다. 전력 상 앤트워프가 가장 떨어져 보이긴 하나 지난 시즌에 보여준 성과를 생각하면 1~4위 예측이 섣불리 불가능한 조.
페네르바흐체의 김민재가 유럽 대항전에서 어떤 모습을 보일지도 관건이다.

다음은 올림피아코스의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 D조에서의 기록이다.
1차전 앤트워프를 2-1로 꺾고 나쁘지 않은 시작을 끊는다.
2차전, 페네르바흐체에 3-0으로 대승을 거둔다.
3차전 프랑크푸르트에 1-3 패배를 당하며 조 1위 싸움에 적신호가 켜진다.

4차전, 다시 붙은 프랑크푸르트에 1-2 패배를 당한다.
5차전에서 페네르바흐체를 1-0으로 누르면서 조 2위를 확보한다.
6차전에서 앤트워프에 0-1로 예상치 못한 패배를 당한다

총 6전 3승 3패 승점 9점으로 조 2위, 유로파 리그 16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한다.

유로파 리그 16강 PO 상대는 챔스 F조에서 맨유와 비야레알에 밀려 조 3위로 내려온 세리에의 아탈란타 BC.
1차전 아탈란타 원정에서 1-2 패배를 당하며 비상이 걸리더니, 2차전 홈에서 0-3 대패를 당하며 허무하게 일정을 마감한다.

리그에서는 정규리그 26전 20승 5무 1패 승점 65점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찍으며 상위스플릿에 진출한다.
이후 상위스플릿에서 10전 5승 3무 2패, 승점 18점을 추가하며 최종 승점 83점. 2위와 승점이 19점 차이나는 압도적인 리그 우승을 달성한다. 이로써 3시즌 연속 리그 우승.

그리스 컵에서는 16강에서 1차전 2-3 패배, 2차전 2-0 승리로 도합 4-3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진출한다.
8강에서 1차전 1-2 패배, 2차전 연장 혈투 끝에 3-1 승리를 거두며 도합 4-3 승리로 4강에 진출한다.
4강에서 PAOK를 만나고, 1차전 원정 0-0 무승부, 2차전 홈 1-1 무승부 끝에 도합 1-1 원정 다득점 패배로 탈락한다.

3.2. 2022-23 시즌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 탈락
-리그 3위
-그리스 컵 4강 탈락

전 시즌 리그 우승 자격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 2022-23 2차예선에 진출했다.[22-23시즌]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미드필더 황인범과의 링크가 조금씩 나다가 결국 확실해져가는 분위기이다. 국내 독점 보도를 시작으로 파브리지오 로마노까지 보도했으며, 황인범 또한 동아시안컵 소집 해제 후 한국으로 돌아간 뒤 얼마 후 그리스로 출국한다고 한다. 수페르리가 엘라다 팀에 입단한 사상 두 번째 한국인이 되며, 사상 첫 한국인 그리스 1부리그 출전 선수로 남게 된다.[9]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공격수 황의조의 임대영입이 원소속팀 노팅엄 포레스트 FC의 SNS를 통해 발표되었다.
이외에도 이적 시장에서 시메 브르살코, 마르셀루, 하메스 로드리게스등 유명한 선수들을 많이 영입하며 전력을 알차게 보강했다

UCL 2차예선 상대는 이스라엘의 마카비 하이파 FC. 1차전에서는 1-1로 비겼다.
원정에서 비겼기에 홈경기는 유리하다고 봤건만 웬걸, 홈에서 0-4로 참패하면서 도합 1-5 패배, [[UEFA 유로파 리그/2022-23 시즌|유로파 리그] 3차예선으로 떨어진다. 황인범은 올시즌 챔피언스 리그에 나올 일도 없어졌다. 홈팬들이 그야말로 분노하고 난리가 났다. 결국 UEFA 챔피언스 리그 2차 예선 탈락 여파로 인해 페드루 마르팅스가 4년 3개월 만에 물러났고, 카를로스 코르베란 감독이 취임하였다.#

UEL 3차예선 상대는 슬로바키아의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차전 1-1 무승부, 2차전 2-2 무승부로 이어진 혈투 끝에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UEL PO 상대는 키프로스의 아폴론 리마솔 FC.
1차전에서 1-1로 경기를 마쳤고, 2차전에서 또 다시 1-1 무승부로 도합 2-2, 또 다시 연장 혈투 끝에 승부차기 까지 가서 3-1로 승리하며 본선 진출에 성공한다. 이후 1포트를 부여받는다.

유로파 리그 G조에 배정받으며 아제르바이잔의 가라바흐 FK, 분데스리가의 SC 프라이부르크, 리그앙의 FC 낭트와 한 조로 묶인다. 그렇게 유로파 리그에서 성사된 코리안 더비. 황인범, 황의조의 소속팀 올림피아코스와 정우영의 소속팀 프라이부르크가 유럽 대항전 같은 조에서 만나게 되었다.
3명의 한국 선수가 같은 조에서 뛰게 되며, 특히 황의조는 본인과 링크가 있었던 리그 1 소속팀 낭트와 조별리그에서 만나게 되었다. 여기에 극심하게 먼 원정 거리를 자랑하는 가라바흐까지 끼면서 코리안 더비와는 별개로 이 조 또한 E조처럼 예측이 어려운 조로 뽑히고 있으며, 네 팀 모두 얼마든지 1위 경쟁이 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조이다.

다음은 올림피아코스의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 G조의 경기 기록이다.


1차전 낭트 원정에서 후반 추가시간에 극장골을 얻어맞으며 1-2 패배를 당한다.
2차전 홈에서 맞이한 프라이부르크전. 황인범은 결장, 황의조는 선발출장, 정우영은 62분에 투입되면서 30분간 코리안더비가 펼쳐졌다. 그리고 0-3으로 대패한다!
정우영은 나쁘지않은 플레이를 보여준반면, 황의조는 유로파리그에서 2경기 연속 선발출장해서 평균 5.95평점을 기록하는 부진으로 유럽대항전 무대의 벽을 실감하고 있다. 물론 팀 전체가 못해서 제 몫을 해줄수 있는 여건이 별로인것은 감안해야 하지만..
카를로스 코르베란 감독이 유로파리그에서 부진하다고 9월 19일에 감독 취임한지 겨우 2달도 안된 48일 만에 경질해버렸다. 새로운 감독으로 로랑 블랑이 거론됐으나 이전에 팀을 맡은 적이 있었던 미첼 감독이 재부임했다.

3차전 카라바흐전에서 또 0-3으로 대패하면서 다음 라운드 진출에 적신호가 제대로 켜졌다. 감독 교체의 의미를 딱히 찾지는 못한 듯 하다.
4차전 카라바흐 원정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유로파 리그 16강 진출 실패가 확정된다.
5차전 프라이부르크 원정에서 드디어 첫 승을 기록하나 했으나 후반 추가시간 3분에 극장골을 얻어맞으며 1-1 무승부.
6차전 낭트전마저 0-2로 패배하며 유종의 미 조차 찾지 못한다.

총 6전 0승 2무 4패 승점 2점이라는 최악의 성적표로 조 4위를 기록하며 유로파 컨퍼런스리그조차 진출하지 못하며 탈락한다.

리그에서도 후반기 들어서서 우승권과 멀어지는 상태인데다 황인범 등 일부 선수들을 제외하고 다들 부진한 상태를 보이자 일부 서포터즈들이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정규시즌 26전 16승 8무 2패 승점 56점 리그 3위로 상위스플릿에 진출했지만,
상위스플릿 10전 5승 2무 3패로 승점 17점만을 추가하며 최종 승점 73점. 순위를 뒤집지 못하고 리그 3위로 시즌을 마무리한다.

그리스 컵에서는 16강 1차전 4-1 승, 2차전 2-2 무승부로 도합 6-3 승리로 8강에 진출한다.
8강에서도 아리스를 상대로 1차전 1-0 승리, 2차전 1-0 승리로 도합 2-0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으나, 4강에서 AEK에 1차전 0-3 대패. 2차전 2-1 승리를 했으나 도합 2-4 패배를 당하며 탈락한다. 결국 무관시즌.

3.3. 2023-24 시즌

-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우승
- 리그 3위
- 그리스 컵 16강 탈락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친선 경기
2023년 7월 29일 토요일 23:00(KST)
캐로우 로드 (노리치)
주심: 샘 바넷
관중: 12,590명
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
2 : 0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노리치 시티 올림피아코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친선경기
2023년 7월 27일 목요일 03:45(UTC+9)
아이브록스 스타디움 (영국, 글래스고)
주심: 스티븐 맥린
관중: 29,007명
파일:레인저스 FC 유니폼 엠블럼.svg
1 : 3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레인저스 FC 올림피아코스
51' 제임스 태버니어(PK.) 파일:득점 아이콘.svg 44' 코스타스 포르투니스
56, 70' 주앙 카르발류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정규 리그에서는 PAOKAEK 아테네에 이어 26전 18승 3무 5패, 승점 57점으로 3위를 기록하며 상위 스플릿에 진출했다. 1위 PAOK와는 승점 단 3점 차이로, 스플릿 라운드에서의 경기력에 따라 2년만의 리그 우승을 노려볼 수도 있는 상황.

그러나 상위 스플릿에서 10전 5승 2무 3패로 승점 17점만을 추가하며 그대로 3위를 유지(1위 PAOK와 승점 6점차)하며 우승에 실패했다.

그렇게 다음 시즌은 2024-25 UEFA 컨퍼런스 리그에서 보게 되는 줄 알았으나...

전 시즌 리그 3위 자격으로 2023-24 UEFA 유로파 리그 3차예선에 진출했다.[23-24시즌][11]

UEL 3차예선 상대는 벨기에의 KRC 헹크. 1차전에서는 1-0으로 승리했다. 2차전에서 1-1로 비기며 도합 2-1로 승리,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헀다.

UEL 플레이오프에서 세르비아의 FK 추카리치키에게 승리하며 1차전 3-1 승리, 2차전 3-0 승리로 도합 6-1 대승을 거두며 유로파 리그 본선 진출에 성공한다! 이후 2포트를 배정받는다.

그렇게 A조에 당첨되면서 전 시즌 컨퍼런스 리그 디펜딩 챔피언인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분데스리가의 SC 프라이부르크, 세르비아의 FK TSC 바치카 토폴라와 만나는 암울한 조편성을 받는다. 웨스트햄의 독주가 예상되는 조. 그래도 그리스 최강팀인 올림피아코스와 최근 들어 유럽대항전에 자주 모습을 보이는 프라이부르크 사이에서 2위와 3위가 결정 될 것으로 보인다. 바치카 토폴라는 승점자판기를 면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다만 웨스트햄의 원정 2경기 응원 금지가 변수가 될 수 있다.

다음은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 A조에서의 올림피아코스의 기록이다.

1차전 홈에서 프라이부르크에 2-3 패배, 그리고 반드시 이겨야했던 2차전 토폴라 원정에서 2-2 무승부를 캐며 전망이 암울해진다.

그런데 3차전 홈에서 웨스트햄을 2-1로 떄려잡으며 다시 기회를 잡아낸다!

4차전 웨스트햄 원정에서 0-1 패배, 5차전 프라이부르크 원정에서 0-5 대패를 당하며 2위 싸움은 물 건너 간다. 그래도 6차전에서 토폴라를 5-2로 때려잡으며 조별리그에서의 유종의 미를 거둔다.

총 6전 2승 1무 3패 승점 7점으로 조 3위를 기록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023-24 16강 플레이오프로 떨어진다.

이어진 컨퍼런스 리그 16강 PO 상대는 UECL F조에서 2위를 한 페렌츠바로시 TC. 1차전과 2차전을 모두 1-0으로 승리하며 도합 2-0 승리로 16강에 진출한다!

컨퍼런스 리그 16강 상대는 이스라엘의 마카비 텔아비브. 그런데 1차전, 자신들의 홈에서 1-4 대참패를 당하며 8강 진출에 적신호가 켜지..는 줄 알았으나, 세르비아에서 열린 2차전[12]에서 6-1로 대역전을 하면서 도합 7-5로 대역전승, 8강에 진출하는데 성공했다. (그것도 2차전 4-1 승리로 인해 이어진 연장 혈투 끝 승리다.)

컨퍼런스 리그 8강 상대는 김민재가 있었던 튀르키예의 페네르바흐체 SK. 1차전을 2-3으로 패배한다. 그리고 2차전을 1-0으로 승리하며 도합 3-3, 또다시 연장 혈투 끝에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3-2로 승리하며 극적으로 4강 진출에 성공한다.

컨퍼런스 리그 4강에서 잉글랜드의 아스톤 빌라 FC라는 어려운 상대를 만나며 기적이 멈추는듯 했다. 그러나 원정에서 열린 1차전에서 대부분의 예상을 비웃 듯 아유브 엘카비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4-2로 승리하는 이변을 만들어내더니, 홈에서 열린 2차전도 아유브 엘카비의 멀티골로 2-0로 승리하며 합산 스코어 6-2.
구단 역사상 처음이자, 수페르리가 엘라다 역사상 두 번째로 유럽 클럽 대항전 결승 진출[13]을 이뤄냈다.

컨퍼런스리그 결승전 상대는 2시즌 연속으로 컨퍼런스 리그 결승전에 진출한, 64년만의 유럽 대항전 우승을 노리는 세리에의 ACF 피오렌티나. 그리고 또 다시 연장 혈투 끝에 1-0으로 승리를 거둔다.

그렇게 구단 역사상, 그리고 그리스 클럽 최초로 유럽 클럽 대항전 우승을 달성해낸다.

그리스 컵에서는 라이벌 파나티나이코스 FC에 1차전 1-1 무승부, 2차전 0-0 무승부로 이어진 연장 혈투 끝에 승부차기에서 6-7로 패배하며 탈락했었다.

이른 탈락으로 아쉬움을 삼켰었지만 컨퍼런스 리그 우승으로 아무래도 좋은 상황이 되어버렸다.

3.4. 2024-25 시즌

-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 진출 (진행 중)
- 리그 진행 전
- 그리스컵 진행 전

전 시즌 컨퍼런스 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2024-25 UEFA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에 직행한다.[24-25시즌]

4. 유명 선수

5. 선수 명단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올림피아코스 FC 스쿼드[주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올림피아코스 FC 2023-24 시즌 스쿼드
등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비고
1 GK 파일:그리스 국기.svg 알렉산드로스 파스찰라키스 Alexandros Paschalakis
3 D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프란시스코 오르테가 Francisco Ortega
6 M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시키뉴 Chiquinho
7 MF 파일:그리스 국기.svg 코스타스 포르투니스 Kostas Fortounis
8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센테 이보라 Vicente Iborra
10 M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젤송 마르틴스 Gelson Martins
11 FW 파일:모로코 국기.svg 유세프 엘아라비 Youssef El-Arabi
12 FW 파일:기니 국기.svg 알가심 바 Algassime Bah
14 MF 파일:그리스 국기.svg 아타나시스 안드루초스 Athanasis Androutsos
16 FW 파일:코소보 국기.svg 쥐메르 뷔튀치 Zymer Bytyqi
17 MF 파일:그리스 국기.svg 마리오스 브루사이 Marios Vrousai
19 MF 파일:그리스 국기.svg 요르고스 마수라스 Giorgos Masouras
21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펩 비엘 Pep Biel
22 FW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스테반 요베티치 Stevan Jovetić
23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호지네이 Rodinei
27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오마르 리차즈 Omar Richards [2]
29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프란 나바로 Fran Navarro [3]
32 M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산티아고 헤제 Santiago Hezze
45 DF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요티스 레초스 Panagiotis Retsos
56 FW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다니엘 포덴스 Daniel Podence [4]
66 DF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프 아부 시세 Pape Abou Cissé
74 DF 파일:그리스 국기.svg 안드레아스 은토이 Andreas Ntoi
77 FW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이반 브르니츠 Ivan Brnić
85 MF 파일:말리 국기.svg 디비 케이타 Diby Keita
88 GK 파일:그리스 국기.svg 콘스탄티노스 촐라키스 Konstantinos Tzolakis
99 GK 파일:그리스 국기.svg 아타나시오스 파파두디스 Athanasios Papadoudis
<colbgcolor=#c10e17> 구단 정보
구단주: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 감독: 카를루스 카르발랼 / 홈 구장: 요르요스 카라이스카키스 스타디움
출처: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8월 21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 노팅엄 포레스트 FC에서 임대[3] FC 포르투에서 임대[4]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임대

}}}}}}}}} ||

6. 주요 경기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 홈 팀 스코어 어웨이 팀
1974-75 올림피아코스 2-0 셀틱
1974-75 올림피아코스 3-0 안데를레흐트
1983-84 올림피아코스 2-0 아약스
1983-84 올림피아코스 1-0 벤피카
1997-98 올림피아코스 1-0 포르투
1998-99 올림피아코스 1-0 아약스
2001-01 올림피아코스 1-0 발렌시아
2002-03 올림피아코스 6-2 레버쿠젠
2003-04 올림피아코스 3-0 갈라타사라이 SK
2004-05 올림피아코스 1-0 리버풀
2004-05 올림피아코스 1-0 모나코
2005-06 올림피아코스 2-1 레알 마드리드
2007-08 베르더 브레멘 1-3 올림피아코스
2007-08 라치오 1-2 올림피아코스
2007-08 올림피아코스 3-0 베르더 브레멘
2009-10 올림피아코스 1-0 아스날
2011-12 올림피아코스 3-1 아스날
2012-13 올림피아코스 2-1 아스날
2013-14 올림피아코스 2-0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4-15 올림피아코스 3-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5-16 아스날 2-3 올림피아코스
UEFA 컵 위너스 컵
시즌 홈 팀 스코어 어웨이 팀
1971-72 디나모 모스크바 1-2 올림피아코스
1992-93 모나코 0-1 올림피아코스
UEFA 유로파 리그
시즌 홈 팀 스코어 어웨이 팀
1972-73 칼리아리 0-1 올림피아코스
1972-73 올림피아코스 1-0 토트넘 핫스퍼
1999-00 유벤투스 1-2 올림피아코스
2008-09 올림피아코스 5-1 벤피카
2008-09 올림피아코스 4-0 헤르타 베를린
2019-20 아스날 1-2 올림피아코스

7. 기타

  • 올림피아코스 F.C.는 17종목의 팀을 운영하는 스포츠 클럽, '올림피아코스 C.F.P.'의 축구부이다.
  • 2006년 4월 기준 83,000명의 등록된 회원을 가지고 있고, 세계 전역에 약 250만 그리스인 팬들이 있는데 이는 2006년 기준으로 세계 9위에 해당하는 유료 회원 규모이다. 덕분에 열악한 수익 문제로 중하위팀들이 큰 골치를 겪는 그리스 리그에서 드물게 돈 넘치게 버는 구단이다. 라이벌 파나티나이코스와 차원이 다를 정도.
  • 2022년 한국인 유튜버 부오나세바가 2022-2023 유로파 리그 G조 2라운드 올림피아코스와 프라이부르크의 경기를 보려고 라이브를 하면서 길을 가는 도중에 올림피아코스 서포터즈에게 집단 구타를 당하고 물건을 빼앗기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 사건이 알려지면서 그리스 전역에 언론까지 거론했을 정도로 세계적으로 큰 논란이 되었다. 한편, 공식 인스타에서도 공개적으로 사과문을 내걸고 해당 범인들을 반드시 잡겠다고 밝혔는데 나중에 범인이 체포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8.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00> 파일:uefaeuropaconferenceleague.png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우승 클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순서 우승팀 국가 첫 우승연도 우승 횟수
1 파일:AS 로마 로고.svg AS 로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2년
1회
2 파일: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023년
1회
3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올림피아코스 FC 파일:그리스 국기.svg 2024년
1회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9fc93c><tablecolor=#373a3c><tablebgcolor=#9fc93c>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A_Official_Logo.pngECA
유럽 클럽 협회 창립 회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파일:GNK 디나모 자그레브 로고.svg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레인저스 FC 로고.svg 파일:올랭피크 리옹 로고.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레알 마드리드 CF 레인저스 FC 올랭피크 리옹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AC 밀란 로고.svg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AC 밀란 FC 바르셀로나 FC 바이에른 뮌헨
파일:비르키르카라 FC 로고.svg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파일:RSC 안데를레흐트 로고.svg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비르키르카라 FC AFC 아약스 RSC 안데를레흐트 올림피아코스 FC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파일:첼시 FC 로고.svg 파일:FC 코펜하겐 로고.svg 파일:FC 포르투 로고.svg
유벤투스 FC 첼시 FC FC 코펜하겐 FC 포르투
}}}}}}}}}}}}}}} ||



[1] #[2] 수도 아테네 인근에 있는 해안 도시로 아테네의 위성 도시 취급되는지 올림피아코스를 아테네 클럽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3] 노팅엄 포레스트 FC의 구단주이자 AC 몬차의 구단주이기도 하다. 2021-22 유로파리그 조별리그에서 페네르바흐체 원정을 3-0으로 이기자 대놓고 콘스탄티노플에서 이긴 것은 우리 그리스 땅을 되찾는 효과라고 정치적인 발언을 하여 튀르키예에서 항의하고 난리가 벌어졌다.[4] 노팅엄 포레스트 FC에서 임대[5] 1969~1976년 사이 그리스컵 우승팀과 그리스의 이웃 나라인 키프로스 컵 우승팀 간에 열렸던 컵 경기이다. 1974, 1975년 대회는 정치적 이유로 열리지 않아 이 대회는 8년간 6번 열렸다.[6] 게오르기오스 카라이스카키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의 영웅 이름이다.[21-22시즌] 시작 기준, UEFA 18위인 그리스 리그에는 리그 1위에게 챔피언스리그 2차예선 진출권을, 컵 대회 우승팀에게 컨퍼런스리그 3차예선 진출권이, 리그 2,3위에게 컨퍼런스리그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22-23시즌] 시작 기준, UEFA 20위인 그리스 리그는 리그 1위에게 챔피언스리그 2차예선 진출권이, 컵대회 우승팀에게 컨퍼런스리그 3차예선 진출권이, 리그 2,3위에게 컨퍼런스리그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9] 그리스 1부리그 입단 1호 장결희는 끝내 리그 경기를 소화하지 못한 채 계약을 종료했었다.[23-24시즌] 시작 기준, UEFA 15위인 그리스 리그는 리그 1위에게 챔피언스 리그 3차예선 진출권이, 리그 2위에게 챔피언스 리그 2차예선 진출권이, 컵 대회 우승팀에게 유로파리그 3차예선 진출권이, 리그 3,4위에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11] 2022-23 시즌 그리스컵 우승팀인 AEK가 리그도 우승하면서 컵 대회 우승팀 진출 자격이 리그 3위에게 양도되었다.[12]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이스라엘이 아닌 세르비아에서 열리게 되었다.[13] 리그 라이벌인 파나티나이코스 FC가 1970-71 시즌 유러피언 컵 결승전에 오른 것이 처음으로, 당시 감독이 그 유명한 페렌츠 푸스카스였으며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AFC 아약스와 대결해 0-2로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다.[24-25시즌] 시작 기준,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우승팀은 별도의 예선 없이 다음 시즌 유로파 리그 본선(32강)에 직행한다.[15] 성적은 나쁘지 않았는데 리그에서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었고 유로파 리그는 16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후반기 부진과 구단 수뇌부와의 마찰로 경질되며 한 시즌 만에 팀을 떠나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