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7:24:29

서울경제진흥원

서울산업진흥원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e1932><colcolor=#fff> 지방공기업 서울특별시 서울아리수본부 | 서울특별시 하수도
서울교통공사 | 서울주택도시공사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 서울에너지공사 | 서울시설공단 | 서울물재생시설공단
지방출연기관 서울의료원 | 서울연구원 | 서울경제진흥원 | 서울신용보증재단 | 세종문화회관 |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서울시복지재단 | 서울문화재단 | 서울시립교향악단 | 서울디자인재단 | 서울장학재단 |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 서울디지털재단 | 120다산콜재단 | 서울특별시공공보건의료재단 | 서울기술연구원 | 서울관광재단 | 서울특별시사회서비스원 | 서울특별시미디어재단(TBS)
}}}}}}}}} ||
서울경제진흥원
Seoul Business Agency
파일:서울경제진흥원 CI.svg
<colbgcolor=#00a0dd><colcolor=#ffffff,#191919> 상급기관 <colbgcolor=#ffffff,#191919>서울특별시청
대표이사 김현우
설립일 1998년 3월 31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상암동)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상징
3.1. 로고3.2. 슬로건3.3. 캐릭터
4. 조직도5. 주요 정책과제
5.1.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
5.1.1. 서울창업허브
5.2. 기업매출[수출] 증대 지원
5.2.1. SBA 글로벌마케팅센터
5.3. 인재양성 및 고용지원
5.3.1. 청년취업사관학교 새싹(SeSAC)
5.4. 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5.5. 산업거점 활성화5.6. 콘텐츠 산업 육성
5.6.1. 서울콘
5.7. 뷰티·패션 산업 육성
5.7.1. B the B

1. 개요

파일:서울경제진흥원 전경.jpg
서울경제진흥원
1988년에 설립된 서울특별시청 산하 출연기관. 창업 촉진, 기업 성장, 산업 육성을 통한 서울시 경제 진흥 및 활성화에 목적을 둔 공공기관이다. 본사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에 위치해 있으며, 한국영상자료원 본원과 한국영상박물관과 건물을 공유하고 있다.

설립 당시의 사명은 서울산업진흥재단으로, 서울산업통상진흥원, 서울산업진흥원을 거쳐 2023년 서울경제진흥원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영문명은 Seoul Business Agency, 이를 따서 주로 SBA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2. 연혁

<rowcolor=white> 연도 일시 연혁
1998년 3월 31일 서울산업진흥재단 설립
1999년 5월 3일 서울애니메이션센터 개관[1]
2001년 11월 1일 서울창업보육센터
2005년 3월 17일 서울산업통상진흥원(SBA) 사명 변경
5월 24일 북경서울무역관 개관
10월 1일 서울무역전시장(SETEC) 인수 운영
2006년 11월 29일 DMC산학협력연구센터 개관
2008년 10월 27일 DMC첨단산업센터 개관
2009년 4월 7일 서울지식센터 개관
9월 15일 서울시 창업지원센터 개관
2014년 4월 9일 서울산업진흥원 사명 변경
6월 30일 서울산업진흥원 상암DMC 이전
2016년 3월 30일 예스플렉스센터 개관
4월 29일 국제유통센터 개관
2017년 6월 21일 서울창업허브 개관
2019년 6월 20일 금천 메이커스페이스(G밸리) 개관
2020년 7월 6일 서울창업허브 성수 개관
10월 28일 새싹(SeSAC) 영등포 캠퍼스 개관
2021년 12월 27일 서울창업허브 M+ 개관
12월 28일 새싹(SeSAC) 금천 캠퍼스 개관
2022년 4월 29일 새싹(SeSAC) 마포 캠퍼스 개관
9월 30일 B the B 개관
11월 8일 새싹(SeSAC) 용산 캠퍼스 개관
11월 30일 새싹(SeSAC) 강서 캠퍼스 개관
12월 15일 새싹(SeSAC) 강동 캠퍼스 개관
12월 28일 새싹(SeSAC) 동작 캠퍼스 개관
2023년 3월 28일 서울경제진흥원 사명 변경
5월 30일 새싹(SeSAC) 광진 캠퍼스 개관
6월 29일 새싹(SeSAC) 서대문 캠퍼스 개관
7월 31일 새싹(SeSAC) 중구 캠퍼스 개관
8월 28일 새싹(SeSAC) 종로 캠퍼스 개관
10월 16일 새싹(SeSAC) 성동 캠퍼스 개관
12월 11일 새싹(SeSAC) 동대문 캠퍼스 개관
12월 18일 새싹(SeSAC) 성북 캠퍼스 개관
12월 20일 새싹(SeSAC) 도봉 캠퍼스 개관
12월 30일 - 1월 1일 서울콘(SeoulCON) 개최

3. 상징

3.1. 로고

파일:서울경제진흥원 CI_1.png
<rowcolor=white> 서울경제진흥원 CI

3.2. 슬로건

파일:서울경제진흥원 슬로건_01.png
<rowcolor=white> 서울경제진흥원 슬로건
서울을 생각합니다. 또한 당신의 미래를,

3.3. 캐릭터

파일:스바씨.png
<rowcolor=white> 서울경제진흥원 공식 캐릭터 스바씨

4. 조직도

파일:서울경제진흥원 조직도.png

5. 주요 정책과제

아래는 서울경제진흥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주요 정책사업과 운영 중인 산하 기관들이다.

기관소개서

5.1.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

글로벌 최고의 액셀러레이터로서 서울시 창업 생태계 혁신을 위해 글로벌 창업기업을 육성하고 투자를 지원하는 정책과업.

민간 협력과 창업허브 등을 통한 우수창업기업을 발굴하고, 미래 혁신 산업을 지원하는 등 궁극적으로 투자생태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해외 투자기업의 투자 유치를 위해 인베스트서울을 운영하고 있다.

스타트업 집중 지원을 위해 서울시 주도로 CES에 서울통합관을 조성하여 운영중이기도 하다.

5.1.1. 서울창업허브

파일:창업허브공덕.png 파일:창업허브창동.jpg
<rowcolor=white> 서울창업허브 공덕
(서울 마포구 공덕동)
서울창업허브 창동
(서울 도봉구 창동)
창업생태계 혁신 거점 센터
공식 홈페이지
뉴미디어 마케팅 & 테크 거점 센터
공식 홈페이지
파일:창업허브성수.jpg 파일:창업허브동작.png
<rowcolor=white> 서울창업허브 성수
(서울 성동구 성수동)
서울창업허브 동작
(서울 동작구 대방동)
ESG 분야 거점 센터
공식 홈페이지
중장년 중심 기술창업 & 동행 테크 거점 센터
공식 홈페이지
파일:창업허브M+.jpg 파일:창업허브스케일업.jpg
<rowcolor=white> 서울창업허브 M+
(서울 강서구 마곡동)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센터
(서울 강남구 역삼동)
R&D 융복합 단지 기반 기업 벤처링 특화 센터
공식 홈페이지
투자 원스톱 지원 창업생태계 혁신 파트너
공식 홈페이지
서울시 창업 생태계 활성화와 유망 스타트업의 성장을 목적으로 설립된 창업지원기관. 서울창업허브 공덕을 중심으로 창업 혁신 거점을 형성하여 분야별 창업기업을 육성하고 있다.

주요 사업은 대·중견기업과 스타트업 간 기술을 매칭시키는 오픈 이노베이션, 민관 협력을 통해 우수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인큐베이팅, 글로벌 스타트업 대축제 Try Everything 개최, 온라인 창업생태계 스타트업플러스 구축 및 운영 등이 있다.

5.2. 기업매출[수출] 증대 지원

유통센터 운영, 우수제품 브랜드 및 국내·외 판로지원을 통해 기업의 매출[수출] 증대를 지원하는 정책과업.

우수 중소기업 상품을 발굴하고 국내/외 온·오프라인 판로 확대를 통해 중소기업의 매출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표적인 지원사업이 바로 하이서울기업.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생산성이 양호하고 기술과 품질이 우수한 중소기업에게 하이서울기업 인증을 부여하여 검증된 역량을 보증하고 국내외 판로개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5.2.1. SBA 글로벌마케팅센터[2]

파일:서울경제진흥원 전경.jpg
SBA 글로벌마케팅센터
본사에서 독립되어 운영중인 글로벌커머스 및 글로벌마케팅 사업 센터. 글로벌 커머스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기업의 해외 커머스 시장 진출을 돕거나 글로벌 마케터[3]를 육성한다. 또한 인·아웃바운드 해외 진출 프로그램을 통한 서울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5.3. 인재양성 및 고용지원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인재를 양성하고 고용을 지원하는 정책과업.

5.3.1. 청년취업사관학교 새싹(SeSAC)

파일:새싹.png
<rowcolor=white> 청년취업사관학교 새싹(SeSAC) BI
파일:새싹이 (1).png
<rowcolor=white> 청년취업사관학교 새싹(SeSAC) 캐릭터 새싹이
서울특별시와 서울경제진흥원이 운영하는 SW분야 인재 양성 교육기관. 서울시 청년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SW 개발자 과정과 디지털 융합 인재 양성과정(DT과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기업형 인재를 길러낼 뿐 아니라 현장 수요기업과의 연결을 통해 취업을 직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20년 영등포캠퍼스 개관을 시작으로 2024년 6월 현재 16개 캠퍼스가 개관한 상태이다.

5.4. 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혁신기술 개발과 사업화 중심의 R&D 및 지식재산권 확보 및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과업.

크게 “혁신기술 R&D 지원”과 “지식재산권 확보 및 성장 지원”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해당 과업을 실행하고 있다.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사업, 서울혁신챌린지 등의 사업을 통해 혁신 아이디어 발굴 및 공공분야 실증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식재산 창출 및 보호를 지원하며 지식재산 중심 기업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5.5. 산업거점 활성화

서울시 신산업 거점별 융합 및 협력 활성화를 통한 강소기업, 소기업, 도시형소공인 간의 상생 발전을 목표로 하는 정책과업.

주요 산업거점은 마곡동 일대 마곡산업단지, 상암동 일대 디지털미디어시티(DMC), 그리고 구로구금천구에 위치한 서울디지털산업단지, 통칭 G밸리가 있다. 마곡산업단지는 R&D 융복합 산업 단지로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여 발굴 및 육성, 마곡 입주 후 성장을 도모시키고 있으며 DMC는 확장현실(XR) 기반의 창조산업 중심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G밸리 역시 민·관·공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5.5.1. SETEC

강남 대치동에 위치한 종합 전시장.

보통 SETEC이라는 약칭으로 불리며, 공식 명칭은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2005년부터 서울경제진흥원이 인계받아 중소기업 판로지원과 전시산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SETEC 항목 참조.

5.6. 콘텐츠 산업 육성

웹툰,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콘텐츠 산업 성장을 목표로 하는 정책과업.

남산일대를 콘텐츠 산업 거점으로 잡고 창작지원시설 상상타운 클러스터, 웹툰 및 웹소설 교육기관 상상비즈아카데미 등을 운영하고 있다. 우수 콘텐츠 기업이나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들을 육성중이다. 또한 e스포츠 대회 개최와 e스포츠 전용경기장 운영 활성화 등 게임 산업의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5.6.1. 서울콘

(사진)
2023년에 DDP에서 개최된 세계 최초 글로벌 인플루언서 박람회. 50개국 3,000여 팀의 인플루언서가 초청되었고, 약 10만 명이 행사장을 방문하였다.

5.7. 뷰티·패션 산업 육성

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발맞춘 서울형 뷰티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정책과업.

주요 산업 거점은 역시 DDP. DDP 패션 상권을 중심으로 하이테크 연계 신규 문화공간 조성, 창업자 양성, B the B 운영 등으로 뷰티·패션의 메카로서의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중이다.

5.7.1. B the B

DDP 지하 1층에 위치한 뷰티 패션 라운지.

서울형 뷰티 중소기업 제품과 기술의 체험형 전시 공간이자 프로모션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1] 현재는 운영을 종료했다.[2] 청년취업사관학교 강서캠퍼스와 건물을 공유한다.[3] 일명 쇼플루언서, 쇼호스트와 인플루언서의 합성어로 라이브커머스 방송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쇼호스트이자 동시에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을 함께 가진 전문가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