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01:22:43

도쿄 국립경기장

도쿄 신국립 경기장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철거한 구 경기장에 대한 내용은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역대 하계올림픽 주경기장 파일:external/pixabay.com/olive-30264_960_720.png
(Citius, Altius, Fortius)
31회 32회 33회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2020 도쿄 올림픽
도쿄 국립경기장
2024 파리 올림픽
스타드 드 프랑스
파일:도쿄 국립경기장.jpg
파일:Tokyo National Stadium 1.jpg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国立競技場
도쿄 국립경기장
Japan National Stadium
<colbgcolor=#000040><colcolor=#fff> 홈 구단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2020~ )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2020~ )
방포레 고후 (2023-24 시즌, ACL 한정)
착공 2016년 12월 11일
완공 2019년 11월 30일
개장 2019년 12월 21일
소유 일본 스포츠 진흥 센터
설계 구마 겐고
소재지 도쿄도 신주쿠구 카스미가오카마치 10-1[1]
건축 비용 약 14억 달러
경기장 형태 종합 운동장
피치 크기 105 × 68 m
수용 규모 68,000석 [2]

1. 개요2. 재건축 이전3. 건설4. 특징5. 대중매체 관련6. 논란7. 올림픽 이후 활용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홈페이지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재건축한 일본의 육상 경기장으로 2020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주경기장으로 건설되었다.

일반적으로는 건설 당시 가칭이었던 신국립경기장으로 통용되나 공식 명칭은 '국립경기장'으로 명명되었다. 단 올림픽 및 패럴림픽 기간중에는 '올림픽 스타디움'(オリンピックスタジアム) 명칭을 사용하였다.(스포츠호치 기사)

공식 개장일은 2019년 12월 21일이다. 본래는 2019년 3월 개장을 목표로하고, 2019 럭비 월드컵을 개최하려 했으나 개장이 연기되는 바람에 2019 럭비 월드컵은 이곳에서 개최되지 못하였다.[3] 개장 경기는 2020년 1월 1일에 열린 제 99회 천황배 JFA 전일본축구선수권대회 결승전이다.

202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주경기장으로 선정되었다.

2. 재건축 이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건설

2011년, 당시 도쿄도지사인 이시하라 신타로는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입후보하면서 기존 경기장을 재활용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때 주경기장으로 구 국립경기장이 선택되어 개보수 방안을 조사하기 시작했는데 경기장의 규모가 1964 도쿄 올림픽 시절과는 달리 새로운 국제 대회 규격에 맞지 않는데다 노후화가 심각해 재건축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결국 2013년 9월, 하계 올림픽 개최가 확정되자 도쿄도는 개보수 방안을 모두 철회하고 전면 재건축하기로 결정한다.

2014년 1월, 도쿄도는 미래적인 디자인과 함께 관중석 8만 규모, 전천후 개폐식 돔 방식의 최첨단 경기장을 짓기로 결의하고 국내외를 대상으로 공모전을 실시하여 46개의 설계안을 모아 영국의 유명 건축가인 자하 하디드의 안을 선택하였다.
파일:lead_ap_386989733038.jpg

하지만 자하 하디드의 설계안은 재검토 결과 도쿄도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2,520억엔의 비용과 3년 8개월의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에 2015년 7월, 아베 신조 총리가 직접 개입해 예산 부족 및 '일본적이어야 할 국립 경기장의 설계를 외국인에게 맡길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자하 하디드의 안을 폐기처분한 후 개폐식 지붕 포기, 경기장 규모 축소 등을 거쳐 건설비를 1,500억엔 이하로 맞출 수 있도록 새로운 요구를 걸고 자국 건축 업체를 대상으로 다시 공모전을 열었다. 그리고 2015년 12월 22일, 가장 건축비용이 저렴했던 타이세이건설의 안을 최종 선택한다. 주 설계는 구마 겐고(隈研吾)가 맡았다.

기공은 2016년 12월 11일에 시작했으며, 총 건설비용은 1,490억엔이다.

2019년 11월 30일, 약 3년 간의 공사 끝에 완공되었고. 2019년 12월 15일, 준공식을 가졌다

4. 특징

도쿄 신국립 경기장은 내외부에 목재를 많이 사용하며 층마다 식목을 심어 주변 경관을 될 수 있도록 해치지 않게 설계되었다. 특히 설계자 구마 겐고의 방침으로 도쿄도, 후쿠시마현을 포함한 일본 47개 전체 도도부현의 목재를 구조물에 사용하였다.

5. 대중매체 관련

  • 러브라이브 슈퍼스타: 미디어믹스에서 최초로 선보인 경기장으로 애니메이션에서 OP과 작중 최종 결승전 무대로 나온다.

6. 논란

천문학적인 건설 비용과 디자인 변경 그리고 확정된 경기장 설계도에서의 결함 등 여러가지로 문제가 된 경기장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이러한 문제는 일본 내에서도 까야 제맛이 되고 있는지, 2018년 7월 신작 애니메이션즐겁게 놀아보세에서는 "제가 죽는 한이 있어도 신국립 경기장 설계도 및 건설비용보다 유익하게 사용할 것을 약속드리겠습니다!"라고 디스를 당하기도 했다.

경기장 일부에 후쿠시마산 나무를 썼다는 것이 밝혀져 큰 논란을 빚고 있다.#

도쿄 올림픽 수영경기가 열리는 오다이바 앞바다에서 대량의 대장균이 검출됨에 따라 일명 "똥물"로 불리는 탓에 도쿄 신국립 경기장도 변기같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4]

올림픽 육상경기 진행을 위해 필수적인 보조 트랙 건설에 난항을 겪었다. 당초 보조트랙 부지로 검토되었던 것은 진구 제2야구장 부지였으나,(기사) 부지 조정에 난항을 겪어 좌초되고 진구 가이엔의 연식야구장 부지에 임시 건설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2019년 7월 현재 일단 트랙 조성은 늦지 않게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어디까지나 임시 시설이기 때문에 올림픽 후에는 철거된다.[5] 일본육상연맹은 경기장 규정에 올림픽 경기장 예외규정을 넣어 국립에 계속 1종 경기장 공인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5년 세계 선수권에는 임시 트랙 대신 아예 2km 이상 떨어진 요요기공원 육상경기장과 도쿄대학 고마바 운동장을 보조경기장으로 쓸 계획이다.#

건설 노동자를 2~3시간 수면밖에 취하지 못할 정도로 혹사시켜 그 중 23세 인부가 휴식을 충분히 취하지 못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 그런데 대책이 인력을 늘려 인부들의 피로도를 낮추고 과로사하더라도 소생시킬 수 있는 의사를 배치하겠다는 것이라 논란이 되었다. 인력을 늘리겠다는 것은 인부들의 시급을 줄이고 일을 많이 시키겠다는 것이며 과로사 소생 의사 배치 발언은 인부들의 목숨을 경시한 것이기 때문이다.

7. 올림픽 이후 활용



당초 올림픽 후에는 FIFA 월드컵 결승전 규모(8만석 이상)의 구기 전용 경기장으로 개수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축구, 럭비 등의 대표팀 외에도 FC 도쿄가시마 앤틀러스같은 간토 연고의 J리그 클럽을 유치하여 홈경기를 고정 개최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개조 비용 문제나 육상계의 반발로 흐지부지되었고, 2025년 세계 육상 선수권 유치로 사실상 폐기된 상황이다. J리그 또한 국립경기장의 사용료가 부담이 되어 미온적인 상황으로, 도쿄 연고의 FC 도쿄와 도쿄 베르디시부야구 중심으로 추진 중인 요요기 공원 축구전용구장 쪽에 더 관심을 보여 왔다. 단 요요기 공원 경기장도 2020년 이후로는 별다른 진척이 되지 않고 있다.

올림픽 후 정기 스포츠 이벤트로는 축구계의 양대 토너먼트인 천황배 JFA 전일본축구선수권대회(1월)와 J리그컵 결승전(11월)이 매년 국립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 2020년 이래 홈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단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은 홈경기장을 고정하지 않고 전국의 여러 경기장을 순회하고 있다.

2020년 11월 3일 아라시(아이돌) 아라페스2020 at 국립 경기장이 무관객으로 열렸다.

2022년 8월 27일 · 28일 야자와 에이키치 50주년 투어 "MY WAY" 일환으로 첫 유관객 라이브가 열렸다.

2023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한 J2리그 방포레 고후가 ACL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2023년부터 J리그 1, 2, 3부 모든 구단이 의무적으로 국립경기장에서 홈경기를 치러야 하는 규정이 만들어졌다. 모든 리그, 구단 서포터즈의 반발이 거세지만 흥행은 크게 성공. 공짜표 크래쉬는 넘어가자

2023년부터 J리그 국립경기장 의무사용규정이 도입되면서 축구 팬들이 반발하고 있는 동시에 모리야스 하지메 대표팀 감독이 잔디 상태에 대해 불평했으며, 축구 팬들 사이에서는 아예 일본육상경기연맹 측에서 돈 내고 국립경기장을 관리하고 돈 없으면 아지노모토 스타디움이나 지방 육상경기장으로 꺼지라는 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당초 올림픽 이후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었으나 진척이 늦어지고 있었는데, 2024년 6월 NTT 도코모과 J리그가 구성한 컨서시엄이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다.# 운영권리금은 2025년 4월부터 30년간 528억엔으로 제시되었으며, 대신 운영에 국비 지원이 없는 조건이다.

8. 둘러보기

세계에서 가장 비싼 경기장 TOP 20
(2023년 기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순위 경기장 국가 종목 리그 홈팀 개장 건축비용
1 소파이
스타디움
파일:미국 국기.svg 미식축구 NFL 로스앤젤레스 램스
로스앤젤레스 차저스
2020년 $5 billion
2 얼리전트
스타디움
파일:미국 국기.svg 미식축구 NFL 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2020년 $1.8 billion
3 메트라이프
스타디움
파일:미국 국기.svg 미식축구 NFL 뉴욕 자이언츠
뉴욕 제츠
2010년 $1.6 billion
4 메르세데스-
벤츠 스타디움
파일:미국 국기.svg 미식축구
축구
NFL
MLS
애틀랜타 팰컨스
애틀랜타 유나이티드 FC
2017년 $1.5 billion
양키
스타디움
파일:미국 국기.svg 야구
축구
MLB
MLS
뉴욕 양키스
뉴욕 시티 FC
2009년 $1.5 billion
6 도쿄 국립
경기장
파일:일본 국기.svg 종합 없음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럭비 국가대표팀
2019년 ¥157 billion
7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종합 없음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싱가포르 크리켓 국가대표팀
2014년 S$1.87 billion
8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
파일:영국 국기.svg 축구 PL 토트넘 홋스퍼 FC 2019년 £1 billion
9 AT&T
스타디움
파일:미국 국기.svg 미식축구 NFL 댈러스 카우보이스 2009년 $1.3 billion
리바이스
스타디움
파일:미국 국기.svg 미식축구 NFL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2014년 $1.3 billion
11 글로브
라이프 필드
파일:미국 국기.svg 야구 MLB 텍사스 레인저스 2020년 $1.1 billion
12 US 뱅크
스타디움
파일:미국 국기.svg 미식축구 NFL 미네소타 바이킹스 2016년 $1.061 billion
13 웸블리
스타디움
파일:영국 국기.svg 축구 없음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2007년 £789 million
14 바클리스
센터
파일:미국 국기.svg 농구 NBA
WNBA
브루클린 네츠
뉴욕 리버티
2012년 $1 billion
15 UBS
아레나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스하키 NHL 뉴욕 아일런더스 2021년 $1 billion
16 시티
필드
파일:미국 국기.svg 야구 MLB 뉴욕 메츠 2009년 $900 million
17 리틀 시저스
아레나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스하키
농구
NHL
NBA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2017년 $862 million
18 후쿠오카
PayPay 돔
파일:일본 국기.svg 야구 NPB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993년 ¥76 billion
19 루카스 오일
스타디움
파일:미국 국기.svg 미식축구 NFL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2008년 $720 million
20 내셔널스
파크
파일:미국 국기.svg 야구 MLB 워싱턴 내셔널스 2008년 $693 million
※ 본 정보는 위키백과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리노베이션 사례는 제외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aaa>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2020
도쿄 올림픽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02b5a,#222><colcolor=#fff,#ddd> 주요 정보 유치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개막식 · 픽토그램 판토마임 공연 · 폐막식) · 대한민국 대표팀 · 논란 및 사건 사고 · 평가
개별 종목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농구 픽토그램_원형.svg 농구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사격 픽토그램_원형.svg 사격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스케이트보딩 픽토그램_원형.svg 스케이트보딩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_원형.svg 야구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양궁 픽토그램_원형.svg 양궁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_원형.svg 축구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태권도 픽토그램_원형.svg 태권도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펜싱 픽토그램_원형.svg 펜싱
대한민국 대표팀
개설 종목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농구 픽토그램_원형.svg 농구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배구 픽토그램_원형.svg 배구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양궁 픽토그램_원형.svg 양궁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유도 픽토그램_원형.svg 유도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태권도 픽토그램_원형.svg 태권도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펜싱 픽토그램_원형.svg 펜싱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핸드볼 픽토그램_원형.svg 핸드볼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미라이토와 ·
주경기장
도쿄 국립경기장 ·
패럴림픽
2020 도쿄 패럴림픽 ·
개회 선언자
나루히토 ·
성화 점화자
오사카 나오미
{{{#!wiki style="margin: -5px -5px"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_White.svg感動で、私たちはひとつになる
United by Emotion
감동으로 우리들은 하나가 된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2020 도쿄 패럴림픽 로고.svg2020
도쿄 패럴림픽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02b5a,#222><colcolor=#fff,#ddd> 주요 정보 유치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대표팀
개별 종목 파일:2020 도쿄 패럴림픽 골볼 픽토그램_원형.svg 골볼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소메이티 ·
주경기장
도쿄 국립경기장 ·
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 ·
개회 선언자
나루히토 ·
성화 점화자
가미지 유이, 우치다 슌스케, 모리사키 카린
{{{#!wiki style="margin: -5px -5px" 파일:2020 도쿄 패럴림픽 로고_White.svg感動で、私たちはひとつになる
United by Emotion
감동으로 우리들은 하나가 된다
}}}||}}}}}}}}} ||



[1] 東京都新宿区霞ヶ丘町10-1.[2] 증설 시 80.000석 대응.[3] 대신에 결승전은 요코하마 국제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4] 다만 비슷한 시기에 개장한 런던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이 형태가 살짝 비대칭인 데다 부속건물이 한쪽에 붙는 탓에 제대로 변기 취급을 받고 있어서 비교적 덜한 상황.[5] 구 국립경기장 또한 1964년 올림픽과 1991년 세계육상선수권 당시 연식야구장에 가설 보조 트랙을 꾸렸다가 철거한 전례가 있다. 국내 육상대회는 인근 도쿄체육관에 부속된 규격미달 간이 트랙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