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6:29:21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글로스터 공작 헨리에서 넘어옴
파일:aussiegovernor.png
호주 총독
{{{#!wiki style="word-break: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존 호프 할람 테니슨 헨리 노스코트 윌리엄 와드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토마스 덴맨 로널드 퍼거슨 헨리 폴스터 존 베얼드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아이작 아이작스 알렉산더 호어-러스벤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윌리엄 맥켈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윌리엄 슬림 윌리엄 모리슨 윌리엄 시드니 리처드 케이시
<rowcolor=#fff>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폴 하스럭 존 커 젤맨 코웬 니니안 스테픈
<rowcolor=#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빌 헤이든 윌리엄 P. 딘 피터 홀링워스 마이클 제프리
<rowcolor=#fff>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퀜틴 브라이스 피터 코즈그로브 데이비드 헐리 사만사 모스틴
<rowcolor=#fff>
<rowcolor=#fff> ※ 호주 총독은 호주 국왕이 임명하며,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임기는 5년으로 한다. }}}}}}}}}

파일:BritishArmedForces.svg
영국군
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원수
Field Marshal / Admiral of the Fleet
Marshal of the Royal Air Force
육군
Army
헨리 시모어 콘웨이 | 윌리엄 헨리 | 조지 하워드 | 프레더릭 어거스터스 | 존 켐벨 | 제프리 에머스트 | 존 그리핀 | 스터드홈 호지슨 | 조지 타운센드 | 프레데릭 캐번디시 | 찰스 레녹스 | 에드워드 어거스터스 | 아서 웰즐리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 아돌푸스 프레더릭 | 윌리엄 프레더릭 | *레오폴드 1세 | 찰스 무어 | 윌리엄 하코트 | 앨러리드 클라크 | 사무엘 헐스 | *앨버트 공 | *빌럼 2세 | 조지 누겐트 | 토머스 그로스베너 | 헨리 파제트 | 피츠로이 서머싯 | 스테이플튼 코튼 | 존 빙 | 헨리 하딩 | 존 콜보른 | 에드워드 블레이크니 | 휴 고프 | 조지 윌리엄 프레데릭 찰스 | 콜린 켐벨 | 알렉산더 우드포드 | 윌리엄 곰 | 휴 로스 | 존 폭스 버고인 | 조지 폴록 | 존 포스터 피츠제럴드 | 조지 헤이 | *에드워드 7세 | 윌리엄 로완 | 찰스 요르크 | 휴 로스 | 로버트 네이피어 | 패트릭 그랜트 | 존 미첼 | 리처드 제임스 데이커스 | 윌리엄 파울렛 | 조지 빙햄 | 린톤 사이먼스 | 프레더릭 헤인스 | 도널드 마틴 스튜어트 | 가넷 울즐리 | 프레더릭 로버츠 | 작센바이마르제나흐의 빌헬름아우구스트 | 네빌 보울즈 체임벌린 | *빌헬름 2세 | 헨리 노르만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 헨리 에블린 우드 | 조지 화이트 | *프란츠 요제프 1세 | 프랜시스 그렌펠 | 찰스 헨리 브라운로우 | 허버트 키치너 | *조지 5세M | 폴 샌포드 메수엔 | 윌리엄 니콜슨 | 존 프렌치 | *니콜라이 2세 | 더글러스 헤이그 | 찰스 에저턴 | *다이쇼 덴노 | 페르디낭 포슈 | 허버트 플러머 | 에드먼드 앨런비 | 헨리 휴스 윌슨 | 윌리엄 로버트슨 | 아서 바렛 | *알베르 1세 | 윌리엄 버드후드 | 클라우드 제이콥 | 조지 밀른 | *알폰소 13세 | *히로히토 | 줄리안 빙 | 루돌프 램바르트 | 필립 체트우드 | 아치볼드 몽고메리매싱버드 | *에드워드 8세M | 시릴 데버렐 | *조지 6세M | 윌리엄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 | 얀 스뮈츠 | 존 딜 | 존 베레커 | 아치볼드 퍼시벌 웨이벌 | 앨런 브룩 | 해럴드 알렉산더 | 버나드 로 몽고메리 | 헨리 매이틀랜드 윌슨 | 클로드 오친렉 | 윌리엄 조셉 슬림 | *필립 마운트배튼M | 존 하딩 |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 제럴드 템플러 | 프랜시스 페스팅 | *마헨드라 | *하일레 셀라시에 | 리처드 헐 | 제임스 카셀스 | 제프리 베이커 | 마이클 카버 | 로널드 깁스 | *비렌드라 | 에드윈 브래멀 | 존 스테니어 | 나이젤 바그날 | 리처드 빈센트 | 존 채플 | *켄트 공작 에드워드 공자 | 피터 잉게 | *찰스 3세M | 찰스 거스리H | 마이클 워커H
해군
Navy
공군
Air Force
휴 트렌차드 | 존 살몬드 | *에드워드 8세 | *조지 6세 | 에드워드 엘링턴 | 시릴 뉴월 | 찰스 포탈 | 아서 테더 | 숄토 더글러스 | 아서 해리스 | 존 슬레소르 | *필립 마운트배튼 | 윌리엄 딕슨 | 더모트 보일 |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 토머스 파이크 | 찰스 엘워디 | 존 그랜디 | 데니스 스포츠우드 | 앤드류 험프리 | 네일 카메론 | 마이클 비덤 | 키스 윌리엄슨 | 데이비드 크레이그 | 피터 하딩 | *찰스 3세 | 조크 스터럽H
비고 M : 해병대, H : 명예진급(비왕실)
※ 진급시기 기준 세분,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통일된 1707년 이후 기준으로 서술
}}}}}}}}}
<colbgcolor=#012169><colcolor=#ffffff,#010101>
제11대 호주 총독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Prince Henry, Duke of Gloucester
파일:1280px-Prince_Henry,_Duke_of_Gloucester.jpg
이름 헨리 윌리엄 프레더릭 앨버트
Henry William Frederick Albert
출생 1900년 3월 31일
영국 잉글랜드 노퍽주 샌드링엄 하우스 요크 코티지
사망 1974년 6월 10일 (향년 74세)
영국 잉글랜드 노샘프턴셔주
재임기간 제11대 호주 총독
1945년 1월 30일 ~ 1947년 3월 11일
학력 세인트 피터스 코트 (졸업)
이튼 칼리지 (졸업)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 (중퇴)
신장 185cm
배우자 앨리스 몬태규 더글라스 스캇 (1935년 결혼)
자녀 윌리엄, 리처드
아버지 조지 5세
어머니 테크의 메리
형제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누나 메리, 남동생 조지,
서명 파일: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군사 경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2169><colcolor=#ffffff> 임관 영국육군사관학교 (1919년)
복무 영국 육군
1919년 ~ 1945년
최종 계급 소령
명예 계급 원수 (영국 육군)
원수 (영국 공군)
참전 제2차 세계대전 }}}}}}}}}

1. 개요2. 작위3. 생애4. 결혼과 자녀5. 가족관계
5.1. 조상5.2. 자녀
6. 관련 틀

[clearfix]

1. 개요

영국의 왕족. 조지 5세의 5남 1녀 중 넷째이자 삼남으로 엘리자베스 2세의 작은아버지이자 현 영국 국왕인 찰스 3세의 작은외할아버지이기도 하다.[1]

생전의 작위는 글로스터 공작이였다. 증조할머니인 빅토리아 여왕 재임 기간 중에 태어나, 할아버지 에드워드 7세, 아버지 조지 5세, 형 에드워드 8세조지 6세, 조카 엘리자베스 2세까지 무려 6명의 국왕을 겪었다.

조지 5세의 자녀들 중 유일하게 수염을 기른 사람이다.

2. 작위

파일:Coat_of_Arms_of_Henry,_Duke_of_Gloucester.svg.png
문장
  • 요크의 헨리 공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Prince Henry of York (1900년 3월 31일 ~ 1901년 1월 22일)
  • 콘월과 요크의 헨리 공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Prince Henry of Cornwall and York (1901년 1월 22일 ~ 1901년 11월 9일)
  • 웨일스의 헨리 공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Prince Henry of Wales (1901년 11월 9일 ~ 1910년 5월 6일)
  • 헨리 왕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Prince Henry (1910년 5월 6일 ~ 1928년 3월 31일)
  • 글로스터 공작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Gloucester (1928년 3월 31일 ~ 1974년 6월 10일)

3. 생애

1900년 3월 31일, 조지 5세메리 왕비의 넷째이자 삼남으로 태어났다. 작은형 조지 6세의 어린 시절과 닮은 점이 많은데, 어렸을 때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고 소심했으며 언어장애를 갖고 있었다. 또래에 비해 체구가 작고 심한 감기에 잘 걸리는 등, 형보다도 더 연약했다. 이런 탓에 그의 건강 문제는 조지 5세메리 왕비의 걱정거리였다. 조지 5세는 헨리의 가정교사에게 "그가 연약하다는 걸 기억해야 하고 튼튼한 두 형들과는 다르게 대해야 한다."고 편지까지 썼다고 한다.

이후 가정교사는 조지 5세에게 헨리가 또래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학교에 다닐 것을 설득했고, 두 형들을 학교에 보낼 것을 거절했었던 조지 5세도 학교가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해 동의했다. 그래서 헨리 왕자는 학교에 다닌 최초의 영국 왕족이 되었다. 초등학교를 거쳐 이튼 칼리지[2],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3]를 다녔다. 공부를 잘하는 편은 아니었지만, 학교를 다닌 것이 확실히 그의 성격과 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성인이 되었을 즈음에는 두 형들보다 키와 체구가 더 컸고 건강 상태도 아주 좋았다.[4][5]

해군에 입대했던 두 형들과 달리 영국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해 육군의 길을 걷는다. 1919년 소위로 임관하여 1955년 육군 원수, 1958년 왕립공군 원수까지 지냈다. 군인으로서 큰 야망을 갖고 있었고 군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기 원했지만 국왕의 아들임에 따라 제약도 따랐고 왕족의 신분으로서 공무도 담당해야 했기 때문에 그의 바람만큼 군생활이 잘 되지는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바 있다.

1928년, 아버지 조지 5세로부터 글로스터 공작(Duke of Gloucester), 얼스터 백작(Earl of Ulster), 컬로든 남작(Baron Culloden) 작위를 받았다. 각각 잉글랜드, 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지역의 작위들이다.

1936년 12월, 큰형 에드워드 8세가 이혼녀인 월리스 심프슨과 결혼하기 위해 퇴위하면서 작은형 앨버트가 갑작스레 왕위에 올랐다. 조지 6세의 자녀들인 엘리자베스마거릿이 있었기 때문에 당시 헨리의 왕위 계승 서열은 3위였지만, 조카들이 둘 다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성인 왕족들 중에서는 계승 서열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혹시나 조지 6세에게 무슨 일이 생긴다면 왕위 계승 서열 1위인 엘리자베스 공주가 성인이 되기 전까지 섭정을 해야 하는 위치였다. 이 때문에 조지 6세와 동시에 해외에 나가 있을 수가 없었으며, 동생 켄트 공작 조지 왕자[6]와 함께 새로운 국왕이 된 조지 6세를 뒷받침 하기 위해 많은 공무를 담당했다. 1953년 조카 엘리자베스가 국왕에 즉위한 뒤에도 부인과 함께 해외 순방 등 공무를 계속 했다.

1945년, 예상치 못하게 호주 총독이 되었다. 원래는 동생 켄트 공작 조지 왕자가 총독이 될 예정이었지만 1942년에 스코틀랜드에서 비행기 사고로 조지 왕자가 갑작스레 사망하면서 헨리가 약 2년간 호주 총독을 지냈다. 현재까지 영국 왕족으로서 호주 총독을 역임한 유일한 사례이다.[7]

말년에 몇 차례의 뇌졸중을 겪은 탓에 휠체어에 의존하고 말을 못했다고 한다. 1967년을 끝으로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1972년 5월에 사망한 에드워드 8세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못했으며, 2달 뒤에 열린 차남 리처드의 결혼식에도 참석하지 못했다. 설상가상으로 8월에 장남 윌리엄 공자가 켄트 공작 조지 왕자처럼 비행기 사고로 30살의 나이로 사망했다. 헨리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부인 앨리스는 아들의 죽음을 말할지 말지 망설이다 말을 안했지만 아마 그가 뉴스 소식을 통해 알았을지도 모른다고 말한 바 있다.

에드워드 8세가 사망하면서 조지 5세의 자녀들 중 최후로 생존한 자녀였다. 2년 뒤 1974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프로그모어 왕립 묘지에 안장됐다.

4. 결혼과 자녀

1928년 즈음 유부녀였던 베릴 마캄[8]과 사랑에 빠졌으나, 이 소식이 국왕 부부에게 전해지면서 이후 둘의 관계는 끝이 났다. 여담으로 맏형 에드워드 왕자는 동생이 자기처럼 유부녀와의 애정 행각으로 국왕 부부를 속 썩인다는 이야기를 듣고 매우 기뻐했다고 한다.
파일:01-princess-alice-pink-royal-wedding-dress-norman-hartnell.jpg
결혼사진
1935년 11월 6일, 버클루 공작 가문의 딸인 앨리스 몬태규 더글라스 스캇버킹엄 궁전에서 결혼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결혼식을 할 예정이었으나 결혼식 한 달 전 앨리스의 아버지가 으로 사망하고 조지 5세의 건강도 좋지 않았기 때문에[9] 버킹엄 궁전의 개인예배당에서 비교적 조용하게 결혼식을 올렸다. 당시 결혼식에는 조카 엘리자베스 2세마거릿 공주가 신부 들러리로 참석했다.
파일:prince-william-of-gloucester-walks-between-his-parents-the-news-photo-809693802-1566831787.jpg
가족사진[10]
1941년 장남 윌리엄이 태어났고, 1944년 차남 리처드가 태어났다. 장남 윌리엄 공자는 비행기를 조종하던 중 사고로 30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당시 미혼이었다. 차남 리처드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건축학을 전공한 후 런던에서 건축가로서 일하고 있었는데, 결혼 직후 형이 사망하여 아버지의 후계자가 되어 건축가 일을 그만두고 가문의 의무와 왕족으로서의 공무 등을 맡기 시작했다.

2004년 부인 글로스터 공작부인 앨리스가 102세에 켄싱턴 궁전에서 사망하였으며, 영국 왕실 역사에서 가장 장수한 왕족으로 기록되어 있다.

5. 가족관계

5.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Prince Henry, Duke of Gloucester)
<colbgcolor=#fff3e4,#331c00> 조지 5세
(George V)
<colbgcolor=#ffffe4,#323300> 에드워드 7세
(Edward VII)
작센코부르크고타 알베르트 공자
(Prince Albert of Saxe-Coburg and Gotha)
빅토리아 여왕
(Victoria)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
(Princess Alexandra of Denmark)
크리스티안 9세
(Christian IX)
헤센카셀의 루이제
(Princess Louise of Hesse-Kassel)
테크의 공녀 메리
(Princess Mary of Teck)
테크 공작 프란츠
(Francis, Duke of Teck)
뷔르템베르크의 알렉산더 공작
(Duke Alexander of Württemberg)
키스레데 여백작
레데이 클라우디아
(Countess Claudine Rhédey von Kis-Rhéde)
케임브리지의 메리 애들레이드 공녀
(Princess Mary Adelaide of Cambridge)
케임브리지 공작 아돌푸스 왕자
(Prince Adolphus, Duke of Cambridge)
헤센카셀의 아우구스타
(Princess Augusta of Hesse-Kassel)

5.2. 자녀

자식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자녀
1남 글로스터의 윌리엄 공자
(Prince William of Gloucester)
1941년 12월 18일 1972년 8월 28일 (향년 30세)
2남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 공자
(Prince Richard, Duke of Gloucester)
1944년 8월 26일 비르기트 반 더스 헨릭센
슬하 1남 2녀

6. 관련 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03F7E> 파일:축구협회(잉글랜드) 로고.svgPresidents of the FA
축구협회 회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아서 펨버 에베제르 몰리 프랜시스 마린딘 아서 킨나르드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찰스 클레그 윌리엄 픽포드 알렉산더 케임브리지 에든버러 공작
필립
<rowcolor=#fff> 9대 10대 11대 12대
글로스터 공작
헨리
조지 래슬스 켄트 공작
에드워드
요크 공작
앤드루
<rowcolor=#fff> 13대
웨일스 공
윌리엄
}}}}}}}}} ||


[1] 만일 살리카법이 영국 왕실에 남아있었다면 이 사람이 1952년 2월 6일, 작은 형 조지 6세 사후 영국 국왕으로 즉위해 헨리 9세가 됐을 것이며 엘리자베스 2세 시대는 없었을 것이다.[2] 헨리 왕자가 이튼 칼리지에 다닐 당시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이었는데 벨기에독일한테 점령당한 탓에, 훗날 벨기에의 국왕이 되는 레오폴드 3세도 헨리 왕자와 같은 기숙사(House) 소속으로 영국의 이튼 칼리지에 다니게 되었다고 한다.[3] 1년간 재학했다.[4] 아버지인 조지 5세가 168cm, 큰형 에드워드 8세가 168cm, 작은형 조지 6세가 175cm였다. 반면 어머니인 테크의 메리는 168cm였다고 하니 아무래도 아버지를 닮은 형들보단, 어머니를 많이 닮은 듯하다.[5] 서양인들 중 장신들이 많으니 보통보다 조금 더 크다 정도로만 생각할 수도 있는데, 현재 영국 왕실에서도 장신인 서식스 공작 해리 왕자보다 겨우 1cm! 작다.[6] 그로부터 6년 후인 1942년에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7] 찰스 3세가 왕세자 시절에 니니언 스티븐의 후임 총독으로 지명되었으나, 호주 정부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총독 파견이 무산된 적이 있다. 웨일스 공 윌리엄도 왕세손 시절에 호주 총독 임명설이 잠시 돌았으나, 최종적으로 임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8]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4살 때 아버지를 따라 영국 식민지였던 케냐로 이주했다. 오늘날 대서양을 서쪽으로 단독 횡단한 최초의 여성 비행사로 잘 알려져 있으며, 자전적 에세이인 <이 밤과 서쪽으로>는 에세이의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9] 결혼식으로부터 약 두 달 뒤 서거하였다.[10] 왼쪽부터 차남 리처드, 부인 앨리스, 장남 윌리엄, 헨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