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4:46:36

에서 넘어옴
국수/밀가루 면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5획
미배정
일본어 음독
メン
일본어 훈독
むぎこ
표준 중국어
mià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
2.1. 이체자
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여담

[clearfix]

1. 개요

麪은 '국수 면' 또는 '밀가루 면'이라는 한자로, '국수' 를 뜻하며 麵(국수 면)은 속자(俗字)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EA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NMLS(竹女月女大)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보리 맥)과 음을 나타내는 (가릴 면)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2.1. 이체자

파일:밀가루 면 한자 이체자 속자.png
麪이 정자, 麵[1][2]속자(사실상 정자), 麺이 신자체. 糆, 麫이 이체자이다.

정자를 사용하는 지역 중에서 麪을 표준으로 잡은 곳은 홍콩밖에 없다. 일본에서는 신자체로 麺을 사용하며, 중국 본토에서는 간화자로 성부(聲符) 만 떼어 사용하고, 한국, 대만 등 나머지 국가에서는 속자인 麵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심지어 홍콩마저도 학교에서는 麪으로 가르치지만 실제로는 거의 다 麵을 쓰고, 麪은 거의 안 쓰인다. 원래 (가릴 면)이 잘 안 쓰이다 보니 面이 들어간 형태를 더 많이 쓰는 듯하다.

파일:밀가루 면 글꼴따 변화.png
또 각각의 한자들이 글꼴에 따라 부분의 3번째 획이 길거나 짧게 나온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물이름/빠질 면)
  • (곁눈질할 면)

6. 여담

신 중화일미에 이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있다. 유마오신의 주사 시험에서 최종 문제가 '麵否麵'(면인데 면이 아닌 것)이었다. 麵의 부수인 麥가 떨어지면 면이 아니기 때문에 결선 진출자들은 이 뜻을 알아보고 밀가루가 아닌 재료로 국수를 만들기 시작했다. 시험문제를 국수 모양이 아닌 밀가루 음식으로 해석한 탄만 빼고...


[1] 유니코드에는 U+99EB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NMWL(十弓一田中)로 입력한다.[2] 농심의 제품 안성탕면의 '면'자가 이것이다.